KR19980036773U -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 Google Patents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773U
KR19980036773U KR2019960049784U KR19960049784U KR19980036773U KR 19980036773 U KR19980036773 U KR 19980036773U KR 2019960049784 U KR2019960049784 U KR 2019960049784U KR 19960049784 U KR19960049784 U KR 19960049784U KR 19980036773 U KR19980036773 U KR 199800367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uel
auxiliary
pump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9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773U/ko
Publication of KR19980036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77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장형 연료탱크의 연료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탱크(1)의 보조탱크(2) 하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주탱크(3)의 리턴파이프(4)에 형성된 단면축소부(5)에 연결되어 벤츄리 작용으로 연료를 주탱크(3)로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펌핑튜브(6)가 설치된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보조탱크(2)의 연료를 압송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리턴파이프(4)로 회수되는 연료의 유동을 이용하여 보조탱크(2)의 연료가 주탱크(3)를 경유하여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 보조펌프의 제거에 따른 구조 간단화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조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의 소모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장형 연료탱크의 연료펌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및 상기 실린더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폭발력을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커넥팅 로드를 통해 크랭크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서 열에너지를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엔진에는 연소실에서 연소될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장치가 설치되는 바, 연료를 각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통로인 흡기 매니폴드에 각각 직접 분사하는 MPI엔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50)의 연료를 흡입 송출하는 연료펌프(51)와, 상기 연료펌프(51)로부터의 연료를 여과하는 연료필터(52)와, 상기 연료필터(52)를 통해 제공되는 연료를 흡기 매니폴드에 설치된 각각의 인젝터(53)에 제공하기 위한 딜리버리 파이프(54)와, 상기 딜리버리 파이프(54)의 연료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잉여 연료를 연료탱크(50)로 리턴시키는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55) 및 리턴파이프(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장치는 엔진이 작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연료펌프(51)가 지속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딜리버리 파이프(54)에 계속적으로 연료가 압송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압송되는 연료는 상기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55)에 의해 일정한 압력(약 3.3㎏/㎠)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인젝터(53)의 개방에 의해 흡기 매니폴드 내로 분사되어 연소실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소실로 제공되는 연료를 일정량 확보하여 지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료탱크(50)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바, 여기서 차량에 설치되는 구조 및 연료의 잔량확보 등을 위해 사용되는 안장형 연료탱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기 안장형 연료탱크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양쪽에 주탱크(60)와 보조탱크(61)가 설치되고 각각의 탱크 내부에는 주펌프(62)와 보조펌프(63)가 설치되어 각각의 펌핑작용으로 연료를 딜리버리 파이프(54)로 압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안장형 연료탱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료펌프가 주펌프(62)와 보조펌프(63)의 2개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과 가격상승의 요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장형 연료탱크의 내부에 보조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주펌프 하나만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보조탱크의 연료를 원활하게 엔진으로 압송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간단히 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엔진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안장형 연료탱크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탱크2: 보조탱크
3: 주탱크4: 리턴파이프
5: 단면 축소부6: 보조펌핑튜브
7: 주펌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는 보조탱크의 하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주탱크의 리턴파이프에 형성된 단면축소부에 연결되어 벤츄리 작용으로 연료를 주탱크로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펌핑튜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1)의 보조탱크(2) 하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주탱크(3)의 리턴파이프(4)에 형성된 단면축소부(5)에 연결되어 벤츄리 작용으로 연료를 주탱크(3)로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펌핑튜브(6)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도 4에는 상기 보조펌핑튜브(6)와 리턴파이프(4)의 연결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종래의 보조펌프(63)가 수행하던 펌핑작용을 리턴파이프(4)를 통해 회수되는 연료의 벤츄리효과를 이용하여 보조탱크(2)의 연료를 주탱크(3) 내부로 흡입하도록 한 것으로 연료탱크(1)의 내부에는 주탱크(3)의 연료를 압송하는 주펌프(7)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이 작동되면, 상기 주펌프(7)는 주탱크(3)의 연료를 흡입하여 딜리버리 파이프로 송출하며, 상기와 같이 송출되는 연료는 딜리버리 파이프 내에서 인젝터로 분사된 나머지가 리턴파이프(4)를 통해 연료탱크(1)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리턴파이프(4)로 회수되는 연료는 연료탱크(1) 내부에서 리턴파이프(4)의 단면축소부(5)에서 유속이 빨라지면서 부분적인 압력저하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펌핑튜브(6)를 통해 보조탱크(2)의 연료를 흡입하여 주탱크(3)로 이동시키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된 보조탱크(2)로부터의 연료는 주탱크(3)의 주펌프(7)에 의해 딜리버리파이프로 다시 압송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는 보조탱크(2)의 연료를 압송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리턴파이프(4)로 회수되는 연료의 유동을 이용하여 보조탱크(2)의 연료가 주탱크(3)를 경유하여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 보조펌프의 제거에 따른 구조 간단화와 원가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조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의 소모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쪽에 주탱크와 보조탱크를 구비한 안장형 연료탱크에 있어서, 보조탱크의 하부에 일단이 위치되고 타단은 주탱크의 리턴파이프에 형성된 단면축소부에 연결되어 벤츄리 작용으로 연료를 주탱크로 흡입되도록 하는 보조펌핑튜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KR2019960049784U 1996-12-16 1996-12-16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KR199800367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84U KR19980036773U (ko) 1996-12-16 1996-12-16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784U KR19980036773U (ko) 1996-12-16 1996-12-16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773U true KR19980036773U (ko) 1998-09-15

Family

ID=5399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784U KR19980036773U (ko) 1996-12-16 1996-12-16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7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62A (ko) * 2001-10-19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펌프의 구조
KR20030088590A (ko) * 2002-05-13 2003-11-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커먼레일 방식의 연료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262A (ko) * 2001-10-19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펌프의 구조
KR20030088590A (ko) * 2002-05-13 2003-11-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의 커먼레일 방식의 연료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0787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fuel injection device
TW351739B (en) Fuel supplying apparatus
CA1320078C (en) Vacuum bleed and flow restrictor fitting for fuel injected engines with vapor separator
KR100359702B1 (ko) 백본형 자동이륜차의 연료분사 장치
EP1001159A3 (en) In-tank fuel delivery system for marine vessels
JP2003129912A (ja) 燃料装置およびポンプ・インジェクタ
KR19980036773U (ko) 안장형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펌핑구조
US6216672B1 (en) Fuel supply system of outboard motor
WO1996005423A3 (en) A fuel feed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53650B1 (ko) 리턴 연료 온도 저감장치
KR100240397B1 (ko)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JPS60156963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方法
KR0136982Y1 (ko) 엔진의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장착 구조
JP2594037Y2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KR0130714B1 (ko) 가솔린 엔진의 연료 공급장치
KR960005730Y1 (ko) 디젤엔진 연료공급 시스템
KR200209539Y1 (ko) 디젤엔진의예혼합기형성을위한연료공급장치
RU2184265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дизель
JPH03290053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ユニットインジェクタ付き燃料噴射系の空気抜き装置
KR19980062937A (ko) 차량의 연료장치
KR100380076B1 (ko) 차량용 리턴레스 연료 공급장치
US20140261313A1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903491A3 (fr) Circuit d'injection de carburant pour 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et à injection directe
KR20030088590A (ko) 디젤 엔진의 커먼레일 방식의 연료 공급 장치
KR20010044983A (ko) 자동차용 연료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