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241U -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 Google Patents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241U
KR19980036241U KR2019960049239U KR19960049239U KR19980036241U KR 19980036241 U KR19980036241 U KR 19980036241U KR 2019960049239 U KR2019960049239 U KR 2019960049239U KR 19960049239 U KR19960049239 U KR 19960049239U KR 19980036241 U KR19980036241 U KR 199800362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ight driving
visualization device
driv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9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241U/ko
Publication of KR19980036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2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글래스의 차실측 내면에 구비되어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는 리어글래스에 구비된 열선의 피막에 도포되어 발광하는 야광물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주행시에 리어 컴비네이션램프가 고장나더라도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확실하게 알릴 수 있어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본 고안은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주행시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항상 확실하게 알릴 수 있는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C)에는 그 주위에서 운행하는 차량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는 차량(C)의 전단 양측에 구비되는 후론트 컴비네이션램프(미도시)와, 차량(C)의 후단 양측에 구비되는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가 있다. 이와 같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에는 브레이크등, 턴시그널등, 후진등 등이 있다. 그리고, 후론트 컴비네이션램프에는 헤드램프와 턴시그널등이 있다.
이중,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는 뒤따르는 차량에게 여러 가지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등은 차량의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주행속도를 늦추거나 차량이 정지한다는 것을 뒤따르는 차량(C)에게 알리는 것이고, 상기 턴시그널등은 차량(C)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후진등은 후진기어가 넣어져 차량(C)이 후진할 것임을 후방의 차량에게 알려준다.
상기와 같은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는 특히 야간 주행시에 뒤따르는 차량에게 선행하는 차량(C)의 존재를 알리고 또 선행하는 차량(C)의 다음 동작을 알 수 있도록 하여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도면부호 1은 프론트 도어, 2는 리어 도어, 3은 사이드미러, 4는 리어글래스, 4' 는 열선이다.
그런데, 특히 야간에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가 고정나거나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의 어떠한 등도 사용하지 않고 차량(C)이 주행되는 경우에 뒤따르던 차량이 선행하는 차량(C)의 존재를 알지 못하여 추돌사고가 발생하거나 선행하는 차량(C)을 갑자기 발견하게 되어 운전자가 크게 놀라 급정거를 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야간주행시에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항상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을 후방에서 본 후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보인 후방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프론트 도어2 : 리어 도어
3 : 사이드미러4 : 리어 글래스
4' : 열선5 : 리어 컴비네이션램프
10 : 야광물질C : 차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리어글래스의 차실측 내면에 구비되어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발광부는 리어글래스에 구비된 열선의 피막에 도포되어 발광하는 야광물질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따르면, 차량(C)의 후방에는 차실내부를 외부로부터 분리하면서도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글래스(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리어글래스(4) 내면에는 열선(4')이 구비되어 있어 리어글래스(4)에 습기가 찬 경우에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글래스(4) 내면의 열선(4')의 피막에는 특히 야간주행시에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인 야광물질(10)이 도포된다. 이와 같은 야광물질(10)은 상기 열선(4')을 따라 횡으로 길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야광물질(10)의 도포형태는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이 횡으로 길게 도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종으로 도포되거나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의 형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C)이 야간에 주행할 때, 뒤따르는 차량들은 앞서가는 차량(C)의 후방에 구비된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을 보고 앞서가는 차량(C)의 주행방향 및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리어 컴비네이션램프(5)가 고장나거나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야광물질(10)에 의해 선행하는 차량(C)의 존재를 항상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가는 차량(C)의 존재를 알지 못하고 주행하다가 갑자기 선행차량의 존재를 인식하여 생기는 추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는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야광물질을 리어글래스에 도포하여 야간 주행시에 후방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특히 야간에 리어 컴비네 이션램프의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차량의 추돌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어글래스의 차실측 내면에 구비되어 뒤따르는 차량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리어글래스에 구비된 열선의 피막에 도포되어 발광하는 야광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장치.
KR2019960049239U 1996-12-14 1996-12-14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KR199800362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39U KR19980036241U (ko) 1996-12-14 1996-12-14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39U KR19980036241U (ko) 1996-12-14 1996-12-14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41U true KR19980036241U (ko) 1998-09-15

Family

ID=5399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239U KR19980036241U (ko) 1996-12-14 1996-12-14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2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0225A (en) Optical fiber illumination device
KR19980036241U (ko) 야간주행시 차량가시화 장치
GB2136741A (en) Infant carriages
KR0152754B1 (ko) 상용차용 보조 브레이크등
KR950005372Y1 (ko) 차량 전조등의 보조등 장치
KR0138074Y1 (ko) 차량의 비상등구동시 방향표시회로
KR20000039345A (ko) 차량의 눈부심 방지 장치
KR0139931B1 (ko) 차량의 비상점등장치
KR20000016381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ES2133073B1 (es) Sistema de señalizacion del movimiento de los vehiculos automoviles.
KR0125735Y1 (ko) 브레이크 작동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비상등
KR0129693Y1 (ko) 자동차의 이원화된 램프
JP2005053460A (ja) 点滅方向指示灯付き自動車及び自動車用点滅方向指示灯装置
JP3119752U (ja) 自動車用テールランプ装置
KR200213506Y1 (ko) 안전등화장치
RU2025332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ов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автомобиля
KR19980062179A (ko) 차량의 측면확인구조
CA2139892A1 (en) Advanced warning light
KR19980038930A (ko) 자동차용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조
KR20050008415A (ko) 차량의 차폭등 보조구
KR19980037972U (ko) 자동차의 보조용 방향지시등이 구비된 아웃트사이트 밀러
KR19980037205A (ko) 차량 보호용 반사기
KR19980047827U (ko) 경고등 장착 후방 미러
KR19980036948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내장형 차폭등
KR19980013298U (ko) 자동차의 차폭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