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962U -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962U
KR19980034962U KR2019960047928U KR19960047928U KR19980034962U KR 19980034962 U KR19980034962 U KR 19980034962U KR 2019960047928 U KR2019960047928 U KR 2019960047928U KR 19960047928 U KR19960047928 U KR 19960047928U KR 19980034962 U KR19980034962 U KR 19980034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return spring
locking
present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7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962U/ko
Publication of KR19980034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962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양측 하단이 힌지연결된 글러브 박스(1)의 내측면 상단에 부착되고, 상부로부터 소정길이만큼 공간부가 형성된 브래키트(20); 상기 브래키트(20)의 공간부내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22); 상기 리턴 스프링(22)의 상단에 설치된 로킹볼(21); 상기 로킹볼(21)과 글러브 박스(1)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부착된 고정편(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본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수석 앞쪽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마련된 글러브 박스를 개폐시키는 장치의 구조 단순화를 도모한 자동치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자동차 등록증이나 각종 서류 및 작은 부피의 비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글러브 박스(1)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수석 앞쪽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글러브 박스(1)는 양하단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힌지연결되어, 이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글러브 박스(1)의 내측면 상단에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공간부 상단에는 로킹장치의 하나인 스트라이커(13)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13)에 맞물려 글러브 박스(1)를 고정시키는 장치가 제 2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의 상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덮어 씌우는 구조의 걸림턱(12)이 돌출부(11)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내에 리턴 스프링(11)이 설치되어 있고, 리턴 스프링(11)의 상단에 걸림턱(12)과 상호작용되어 스트라이커(13)에 고정되는 로킹편(10)이 부착되어 있다. 이 로킹편(10)은 글러브 박스(1)에 중간부가 힌지연결되며 외측면에 설치된 노브(1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노브(14)를 당기면, 로킹편(10)이 스프링(11)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된다. 따라서, 로킹편(10)과 걸림턱(12) 사이에 맞물려 있던 스트라이커(13)의 로킹상태가 해제되어, 글러브 박스(1)는 하단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개방된다. 이때, 로킹편(10)은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반대로, 글러브 박스(1)을 닫기 위해 앞으로 밀면, 로킹편(10)과 걸림턱(12) 사이로 스트라이커(13)가 로킹편(10)을 밀면서 진입하고, 로킹편(10)과 걸림턱(12) 사이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리턴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편(12)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스트라이커(13)는 걸림턱(12)에 삽입된 채로 로킹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는, 글러브 박스(1)에 돌출부(11) 걸림턱(12)을 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로킹편(10)과 연결된 노브(14)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부품수와 형상의 복잡으로 인해서 글러브 박스(1)의 금형 제작이 매우 어렵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수를 줄임과 아울러 일체형 구조를 가급적 줄여서 금형을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종래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글러브 박스2 - 인스트루먼트 패널
20 - 브래키트21 - 로킹볼
22 - 리턴 스프링23 - 고정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양측 하단이 힌지연결된 글러브 박스의 내측면 상단에 부착되고, 상단부로부터 소정길이만큼 공간부가 형성된 브래키트; 상기 브래키트의 공간부내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 상기 리턴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로킹볼; 상기 로킹볼과 글러브 박스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에는 개폐장치를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대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별도의 브래키트만을 설치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감소되고, 또한 금형 제작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며, 따라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제 4 도는 본 고안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 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키트(20)가 글러브 박스(1)의 내측면 상단에 스크류(24)로 고정된다. 상기 브래키트(20)의 중앙에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부분에 상부로부터 소정길이만큼 공간부가 형성된다.
리턴 스프링(22)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에 설치되고 로킹볼(21)이 리턴 스프링(22)의 상단에 설치되는데, 대략 로킹볼(21)의 정도가 공간부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로킹볼(21)과 상호작용하여 글러브 박스(1)를 로킹시키는 고정편(23)이 글러브 박스(1)가 설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상단에 부착된다. 고정편(23)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이 수평면이 아니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글러브 박스(1)의 외측면에 노브가 설치되고, 이 노브는 종래와는 달리 로킹볼(21)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글러브 박스(1)가 닫혀 있을 때는, 고정편(23)이 로킹볼(21)과 글러브 박스(1)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브를 뒤로 당기면, 고정편(23)에 의해 로킹볼(21)이 리턴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어, 고정편(23)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글러브 박스(1)는 하단 힌지점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로킹볼(21)은 노브의 동작에 상관없이 동작되기 때문에, 노브를 로킹볼(21)과 연결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반대로, 글러브 박스(1)을 앞으로 밀면, 로킹볼(21)이 고정편(23)에 하면서, 고정편(23)에 의해 리턴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다가, 고정편(23)이 로킹볼(21)과 글러브 박스(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리턴 스프링(22)에 의해 상승된 로킹볼(21)이 고정편(23)의 후단부를 탄력지지하게 되면서 글러브 박스(1)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글러브 박스(1)에는 개폐장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가 전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대신에 간단한 구조의 브래키트(20)를 별도로 설치하기만 하면 되므로, 글러브 박스(1)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게 되어 금형 제작이 보다 용이해지게 되어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양측 하단이 힌지연결된 글러브 박스의 내측면 상단에 부착되고, 상부로부터 소정길이만큼 공간부가 형성된 브래키트; 상기 브래키트의 공간부내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 상기 리턴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로킹볼; 상기 로킹볼과 글러브 박스의 내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KR2019960047928U 1996-12-12 1996-12-12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KR199800349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928U KR19980034962U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928U KR19980034962U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962U true KR19980034962U (ko) 1998-09-15

Family

ID=5398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928U KR19980034962U (ko) 1996-12-12 1996-12-12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96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476B1 (ko) 자동차의 리어암레스트용 스위치커버 개폐구조
KR19980034962U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KR19980056688A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개폐장치
KR100510297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KR101022692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 리드 잠금구조
KR200162097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스톱퍼 기구
KR100250705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구조
KR100529187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개방구조
KR0135273Y1 (ko) 차량의 퓨즈박스 및 콤비램프 커버
KR200146405Y1 (ko) 자동차 도어의 보조 개폐장치
KR0134513B1 (ko) 연료필러 록크의 케이블 클립(A clip of cable in a fuel-filler lock)
KR200158168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도어 록킹장치
KR19980036509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덮개를 탄지하는 댐퍼
KR200158295Y1 (ko) 자동차의 연료 필러 도어 개폐기구
KR0131792Y1 (ko) 자동차의 후드 래치 케이블의 고정브라켓
KR0137525Y1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로킹장치
KR0117354Y1 (ko) 보관함을 갖는 자동차용 팔걸이
KR19980059564A (ko) 자동차의 필러 리드 개폐장치
KR0120804Y1 (ko) 자동차의 후드록크장치
KR0121668Y1 (ko) 센터 페이시아 덮개장치
KR19980015936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결합구조
JPH075282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20050117918A (ko) 글로브 박스의 락 장치
KR19980078372A (ko) 자동차 도어의 외부 핸들 구조
KR980007904U (ko) 자동차용 개방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