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895A -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3전극을 가진 에칭 챔버 - Google Patents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3전극을 가진 에칭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895A
KR19980033895A KR1019960051725A KR19960051725A KR19980033895A KR 19980033895 A KR19980033895 A KR 19980033895A KR 1019960051725 A KR1019960051725 A KR 1019960051725A KR 19960051725 A KR19960051725 A KR 19960051725A KR 19980033895 A KR19980033895 A KR 19980033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electric window
enclosure
semiconductor wafer
electro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142B1 (ko
Inventor
비린더 에스. 그루월
폴커 베. 라욱스
Original Assignee
알베르트 발도르프; 롤프 옴케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베르트 발도르프; 롤프 옴케,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알베르트 발도르프; 롤프 옴케
Priority to KR101996005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1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68Relative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electrodes; mo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532Electrodes
    • H01J37/32541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15Workpiece h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63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 H01L21/67069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etching for drying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01J37/3211Antennas, e.g. particular shapes of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에칭 챔버는 유전체 창과 챔버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에 인접하는 외부적으로 위치된 제1전극 부재를 포함한다. 제2전극부재는 상기 제1전극 부재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여기시키는 챔버내에 위치된다. 제3전극은 상기 챔버내에 위치된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에칭을 위한 측벽 패시베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유전체 창을 스퍼터링하는 상기 제1전극 부재와 유전체창 사이에 위치된다. 각각의 전극 부재는 분리된 RF 발생기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 장치는 챔버내에 위치된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을 최적화 하기 위해 제3전극 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3전극을 가진 에칭 챔버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반도체 웨이퍼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웨이퍼 제조에서 다결정 실리콘 및 메탈 컨덕터를 선택 및 이방성 에칭하기 위한 3전극 에칭 챔버에 관한 것이다.
다결정 실리콘은 반도체 웨이퍼 제조에서 게이트 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관련한 현재의 추세는 반도체 웨이퍼 공정중에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는 보다 작은 최소 특성의 크기를 필요로 하는 장치의 조밀도가 점점 더 커지는 경향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으로서 제공되는 고 밀도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이용하여 성취되고 있다.
이미 공지된 기술에서와 같이, 플라즈마 에칭은 기판의 비보호 층으로 제작된 휘발성 에칭을 형성하는 화학적 활성 부식액을 만들기 위해 RF 전압에 결합된 플라즈마를 이용한다. 이러한 기술은 기판 및 에칭 가스의 안정한 결합의 존재물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술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이용되는 대부분의 박막에 유용하다. 전형적인 에칭 가스의 예로는 CCl4및 CF4의 형태로서 각각 유용한 클로린과 플루오린의 화합물이 있다. 이들 화합물은 폴리 실리콘, SiO2, Si3N4및 메탈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플루오린 기는 휘발성 실리콘 테트라 플루오라이드 에칭 산물을 생성하기 위해 실리콘과 반응한다. 산소함유 플라즈마는 레시스트를 함유하는 유기체 막을 에칭하거나 에칭 가스의 에칭율을 실제로 증가시키는데 공통적으로 이용된다.
플라즈마 에칭은 도 1에 나타낸 에칭 챔버내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도 1의 종래의 에칭 챔버는 측벽(12)과 극도로 순수한 수정판으로부터 이루어진 유전체 창(14)을 포함한다. 유도 코일(16)은 챔버(10)의 유전체 창(14)위에 위치되고 RF 발생기(18)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챔버(10)는 일반적으로 척으로 공지된 전기 전도성 웨이퍼 유지 메카니즘(22)내에 위치된다. 제2의 RF 발생기(20)는 웨이퍼 척에 전력을 공급한다. 농밀하게 유도적으로 결합된 플라즈마는 발생기(18)로 코일(16)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생된다. 제2의 발생기는 웨이퍼(24)의 RF 바이어스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며 이것은 이방성 반응 이온 에칭(R, I, E)에 필요한 웨이퍼 표면에 대해 이온 충격을 일으킨다.
그러나, 상술한 챔버내에서의 에칭은 언제나 요구하는 이방성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도의 챔버내에서 플라즈마 에칭에 의한 폴리 실리콘 게이트의 제조는 경사지거나 아래를 잘라낸 측벽을 가진 게이트를 종종 생산한다. 특히, 장치가 더 작아지는 경우에 필요한 에칭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선택율은 아래에 놓인 얇은 게이트 산화물을 제거하지 않고 폴리 실리콘 게이트 산화물을 패턴하는데 요구된다. 좀더 특별하게, 접합깊이가 필드 산화물의 두께보다 더 빨리 감소하기 때문에 실리콘에 대한 실리콘 이산화물의 선택도가 좀더 높을 필요가 있다. 또한 게이트 산화물의 두께는 게이트 전극의 두께보다 더 빠른 비율로 감소하기 때문에, 실리콘 이산화물 대한 실리콘의 선택도가 좀더 높아야만 한다. 더욱이 요구하는 선택도는 에칭되어 아래에 놓이는 막의 두께 뿐만 아니라 초기의 처리 단계에 의해 생성된 포토그래피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도 1의 챔버내에서 플라즈마 에칭중에 이방성을 얻기 위해, 접합 측벽 패시베이션이 필요하다. 이것은 초기에 기술된 에칭 산물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도 1의 종래의 챔버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적절한 선택조차도, 이들 에칭 산물의 농도가 에칭 과정의 끝에서 거의 고갈되며 따라서 측벽 패시베이션의 축적이 느려진다. 여러 경우에, 이것은 게이트 산화물과 같은 아래에 놓이는 층에 대하여 감소된 선택율과 노칭을 야기한다. 따라서, 에칭 산물의 신중한 선택과는 달리 어떤 것을 이용하여 측벽 패시베이션의 형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좀더 정확히 제어될 측벽 패시베이션의 형성을 가능케하는 개선된 에칭 챔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에칭과 선택 에칭을 위한 에칭 챔버는 유전체 창을 갖는 엔클로져를 포함한다. 제1전극 수단은 엔클로져 외부에 제공되며, 또한 가스를 플라즈마로 변환하기 위해 엔클로져에 도입될 처리가스와 RF 전압과 유도적으로 결합하는 유전체 창 가까이에 제공된다.
제2전극 수단은 상기 제1전극 수단에 의해 에칭될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고 상기 제1전극 수단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여기하는 엔클로져 내에 제공된다.
제3전극 수단은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측벽 패시베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유전체 창을 스퍼터링하는 상기 제1전극 수단과 유전체 창 사이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극 수단은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을 최적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칭 챔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에칭 챔버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챔버31 : 엔클로져
34 : 유전체 창36 : 유도 코일
42 : 척44 : 웨이퍼
48 : 격자 전극50 : RF 발생기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에칭 챔버는 특히 반도체 게이트 컨덕터 스택과 메탈 라인의 이방성 에칭 및 선택 에칭을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에칭 챔버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구조를 에칭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도 2를 보면, 참조번호 30으로 지정된 본 발명의 에칭 챔버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에칭 챔버(30)는 연속적인 측벽(32)과 극도로 순수한 수정 판으로 이루어진 평면 유전체 창(34)을 갖는 종래에 설계된 엔클로져(31)를 포함한다. 엔클로져(31)는 알루미늄과 같은 전도성 메탈로부터 제조되며, 어떤 다른 적절한 공지의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도 2를 다시 보면, 본 발명의 에칭 챔버(30)는 반도체 웨이퍼상에서 게이트 컨덕터 스택과 메탈 라인의 선택 및 이방성 에칭을 바로 가능케하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3전극(36, 42, 48)을 포함한다. 좀더 특별하게, 전극(36)은 엔클로져(31)의 유전체 창위로 향하는 나선형 유도 코일을 포함한다. 전극(36)은 이와 결합되는 RF 발생기(38)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엔클로져(31)의 내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반도체 웨이퍼(42)를 지지하는 종래의 전기 전도 척을 포함하는 전극(42)이 위치된다. 척(42)은 웨이퍼(44)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에칭중 일정한 레벨에서 웨이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동작한다. 제2의 RF 발생기(46)는 척(42)과 웨이퍼(4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척(42)과 결합된다. 전극(48)은 측벽 패시베이션의 형성을 통해 독립 제어 가능하며 새로운 격자형 전극(48)을 포함한다. 격자형 전극(48)은 어떤 적절한 전도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격자형 전극(48)은 유도 코일(36)과 챔버(30)의 유전체 창(34)사이로 향한다. 제3의 RF 발생기(50)는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RF 에너지 원을 이곳에 제공하기 위해 격자형 전극(48)과 결합된다.
반도체 웨이퍼(44)를 에칭하기 위해, RF 발생기(38), 유도 코일(36) 및 유전체 창(34)은 위치(40)에서 엔클로져(31)에 안내되는 선택 처리 가스와 RF 전압을 유도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호 작용한다. 그러한 가스의 예로는 하이드로겐 클로라이드(HCL), 클로라인(Cl2), 니트로겐(N2) 및 옥시겐(O2) 또는 다른 적절한 에칭 가스를 포함한다. 유도 결합은 선택 가스 또는 가스를 유도 플라즈마로 변환시킨다. 제2의 RF 발생기(46)는 유도 코일(36)과 유전체 창(34)에 의해 생성된 유도 플라즈마를 좀더 여기시키기 위해 척과 웨이퍼를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격자 전극(48)에 전력을 공급하는 RF 발생기(50)는 에칭의 농도가 주 에칭의 끝에서 거의 고갈될 때 챔버(30)의 유전체 창(34)을 스퍼터링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 패시베이션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것은 또한 아래에 놓이는 웨이퍼(44)의 산화물층에 대한 선택율을 강화시킨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이용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 명백해지는 그러한 모든 변경이나 수정 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좀더 정확히 제어될 측벽 패시베이션의 형성을 가능케하는 개선된 에칭 챔버가 얻어진다.

Claims (20)

  1.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에칭 챔버에 있어서,
    유전체 창을 갖는 엔클로져와;
    상기 엔클로져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엔클로져로 도입되는 처리 가스와 RF 전압을 유도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가스를 플라즈마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에 인접한 제1전극과;
    에칭될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고 상기 제1전극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플라즈마를 여기하는 상기 엔클로져내에 위치된 제2전극 수단 및;
    상기 제1전극수단과 상기 유전체 창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측벽 패시베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을 스퍼터링 하는 제3전극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제2 및 제3전극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을 최적화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창은 수정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웨이퍼는 폴리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수단은 제1의 RF 발생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수단은 제2의 RF 발생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수단은 제3의 RF 발생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수단은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수단은 웨이퍼 지지 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격자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0.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에칭 챔버에 있어서,
    유전체 창을 갖는 엔클로져와;
    상기 엔클로져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엔클로져로 도입되는 처리 가스와 RF 전압을 유도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가스를 플라즈마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에 인접한 제1전극과;
    에칭될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를 지지하고 상기 제1전극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플라즈마를 여기하는 상기 엔클로져내에 위치된 제2전극 수단과;
    상기 제1전극수단과 상기 유전체 창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 에칭을 위한 측벽 패시베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을 스퍼터링 하는 제3전극 및;
    RF 에너지 원을 상기 제1, 제2 및 제3전극 수단에 공급하는 RF 발생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RF 발생기 수단은 상기 제1, 제2 및 제3전극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을 최적화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 발생기 수단은 분리된 3개의 RF 발생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RF 발생기는 연결된 상기 제1, 제2 및 제3전극수단 중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수단은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 수단은 웨이퍼 지지 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격자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창은 수정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6. 유전체 창을 갖는 엔클로져와, 상기 엔클로져에 외부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엔클로져내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상기 유전체 창에 인접한 유도코일과, 상기 유도 코일에 의해 발생된 상기 플라즈마를 여기시키는 상기 엔클로져내에 위치된 웨이퍼 지지 척을 갖는 형태의 에칭 챔버에서, 반도체 웨이퍼의 이방성 및 선택에칭을 하는데 이용되는 에칭 챔버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과 상기 유전체 창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엔클로져내의 상기 척에서 지지될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를 이방성 및 선택 에칭하는 측별 패시베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전체 창을 스퍼터링하는 전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 상기 척 및 상기 전극 수단에 에너지원을 공급하는 RF 발생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RF 발생기 수단은 분리된 3개의 RF 발생기를 포함하는데, 상기 각각의 RF 발생기는 연결된 상기 유도 코일, 상기 척, 상기 전극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RF 발생기 수단은 상기 유도 코일, 상기 척 및 상기 전극 수단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웨이퍼의 에칭을 최적화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창은 수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수단은 격자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칭 챔버.
KR1019960051725A 1996-11-04 1996-11-04 독립적으로제어된3전극을가진에칭챔버 KR10040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25A KR100402142B1 (ko) 1996-11-04 1996-11-04 독립적으로제어된3전극을가진에칭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725A KR100402142B1 (ko) 1996-11-04 1996-11-04 독립적으로제어된3전극을가진에칭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895A true KR19980033895A (ko) 1998-08-05
KR100402142B1 KR100402142B1 (ko) 2004-03-09

Family

ID=49516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725A KR100402142B1 (ko) 1996-11-04 1996-11-04 독립적으로제어된3전극을가진에칭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1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42A (ko) * 2002-04-12 2003-10-22 우형철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칭처리장치
KR100513442B1 (ko) * 1999-06-15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결합 플라즈마 식각 장치
KR100748144B1 (ko) * 1999-12-30 2007-08-09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집적회로에서의 금속화구조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442B1 (ko) * 1999-06-15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결합 플라즈마 식각 장치
KR100748144B1 (ko) * 1999-12-30 2007-08-09 사이프레스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집적회로에서의 금속화구조 형성방법
KR20030081742A (ko) * 2002-04-12 2003-10-22 우형철 플라즈마를 이용한 에칭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142B1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7438A (en) Etch chamber having three independently controlled electrodes
JP2006066408A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2603217B2 (ja) 表面処理方法及び表面処理装置
EP1774542A2 (en) Method for bilayer resist plasma etch
JP2014039050A (ja) パルス化したサンプルバイアスを用いる、半導体構造をエッチングするためのパルス化プラズマシステム
KR20020027520A (ko) 에칭 공정용 측벽 폴리머 형성 가스 첨가제
US5824602A (en) Helicon wave excitation to produce energetic electrons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s
JP2019207911A (ja) 膜をエッチングする方法及びプラズマ処理装置
US6677244B2 (en) Specimen surface processing method
US11637003B2 (en) Method for etching film an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JP4594235B2 (ja) Arc層をエッチングする方法
US5304514A (en) Dry etching method
TWI571928B (zh) 藉由氬濺鍍之硬遮罩臨界尺寸控制方法
KR100402142B1 (ko) 독립적으로제어된3전극을가진에칭챔버
US6506687B1 (en) Dry etch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s
JP5547495B2 (ja) 半導体構造をエッチングするための、パルス化反応ガスを補充するパルス化プラズマシステム
JPH07263408A (ja) プラズマエッチング方法
EP0840348B1 (en) Etch chamber having three independently controlled electrodes
US7189653B2 (en) Etching method and etching apparatus
JP200029462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306894A (ja) 基板のプラズマ処理方法
JP4436463B2 (ja) 3つの独立制御電極を具備したエッチングチャンバ装置
JP3516741B2 (ja) プラズマ処理方法
JP2917993B1 (ja) ドライエッチング方法
JP3732079B2 (ja) 試料の表面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