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193A -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 Google Patents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193A
KR19980033193A KR1019970055173A KR19970055173A KR19980033193A KR 19980033193 A KR19980033193 A KR 19980033193A KR 1019970055173 A KR1019970055173 A KR 1019970055173A KR 19970055173 A KR19970055173 A KR 19970055173A KR 19980033193 A KR19980033193 A KR 19980033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catalyst
isobutene
metathesis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알렝코도르지
도미니끄꼬메뤽
장꼬젱
Original Assignee
프랑스와앙드레프
앵스띠뛰프랑세뒤뻬뜨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와앙드레프, 앵스띠뛰프랑세뒤뻬뜨롤 filed Critical 프랑스와앙드레프
Publication of KR1998003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 C10G45/04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45/06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nickel or cobalt metal,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08Alkenes with four carbon atoms
    • C07C11/09Isobut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1/00Aliphatic unsaturated hydrocarbons
    • C07C11/02Alkenes
    • C07C11/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5/2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carbon atoms by isomerisation
    • C07C5/23Rearrangement of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7C5/25Migration of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7C5/2506Catalytic processes
    • C07C5/2556Catalytic processes wi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 C07C6/02Metathesis reactions at an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 C07C6/04Metathesis reactions at an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at a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7/00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 C10G47/02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47/10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with catalysts deposited on a carrier
    • C10G47/12Inorganic carriers
    • C10G47/14Inorganic carriers the catalyst containing platinum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C07C25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C07C2521/04Alumin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20Vanadium,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1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arsenic, antimony, bismuth, vanadium, niobium, tantalum, polonium,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32Manganese, technetium or rhenium
    • C07C2523/36Rhe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 C07C25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C07C2523/42Plati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 C07C25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C07C2523/44Pall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 C07C25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7C25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C07C2523/74Iron group metals
    • C07C2523/755Nick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 C4분급물의 복분해에 의해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켜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고,
2) 이소부텐을 상부에서 생성하고 부텐-2 하부 분급물을 남기도록 증류에 의해 분리하고,
3) 부텐-2 분급물을 에틸렌으로 복분해시키는 3가지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의 잇점은 프로판의 탈수소화 반응 또는 기타 분해증류 공정과 달리 프로필렌을 중합 반응시켜 높은 선택율로 생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본 발명은 C4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질 파라핀성 분급물로 구성된 증기 분해증류 공급물은 석유화학에서 요구되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생성한다. 또한, 이는 특정 수의 기타 중질 생성물, 특히 미량의 아세틸렌형 탄화수소가 포함된 주로 1,3-부타디엔, 이소부텐, n-부텐 및 부탄을 포함하는 C4탄화수소 분급물을 생성한다.
주 생성물로서 가솔린 및 경유 이외에도, 중질 탄화수소 공급물의 촉매 분해증류로 소량의 1,3-부타디엔 및 아세틸렌형 탄화수소와 함께 주로 이소부탄, 이소부텐, n-부텐 및 부탄을 포함하는 C4탄화수소 분급물의 경질 생성물을 생성한다.
최근까지, 1,3-부타디엔 및 이소부텐만이 중합체 업계, 특히 전자에 대해 타이어 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다. 타이어 수명 증가 및 상대적인 수요 부진은 잔여 부타디엔이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예를들면, 자동차 연료에서의 첨가제로서 또는 폴리이소부텐의 합성에 대한 단량체로서 사용하기 위한 에테르의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이소부텐에 대한 관심이 다시 일깨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증류에 의해 이소부텐을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들면 중합화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1,3-부타디엔 및 n-부텐을 프로필렌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함량의 이소부텐, n-부텐, 부탄 및 1,3-부타디엔을 포함하는 C4탄화수소 분급물의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증기 분해증류 조작에서 생성된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상대적인 비율은 공급물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분해증류의 작동 조건(엄격도)을 개질시킴으로써 어느 정도로까지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대량의 프로필렌을 생성하도록 하는 작동 형태는 C4분급물 및 가솔린 분획의 에틸렌의 수득율 및 고 생성율의 감소를 불가피하게 동반한다.
본 발명의 부가의 목적은 프로필렌의 생성을 증가시키면서, C4탄화수소 분급물을 처리하여 고 수득율의 에틸렌을 유지하여 증기 분해증류기의 엄격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어지게 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올레핀성 C4분급물을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분급물은 디올레핀, 부텐-1, 부텐-2, 이소부텐 및 아세틸렌성 불순물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1)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키고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니켈, 팔라듐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상에서 액체 상내의 분급물을 20∼200℃의 온도, 0.1∼5㎫의 압력, 0.5∼10시-1의 공간 속도 및 0.5∼5, 바람직하게는 1∼3의 H2/디올레핀 몰비로 통과시켜 주로 부텐-2 및 이소부텐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는 디올레핀 또는 아세틸렌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제 1 단계동안 전환되지 않은 주로 이소부텐 및 부텐-1을 포함하는 상부 분급물을, 주로 부텐-2 및 부탄을 포함하고 1중량% 이하의 이소부텐 및 1중량% 이하의 부텐-1을 포함하는 하부 분급물과 증류로 분리하는 단계,
3) 지지체상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산화 루테늄을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을 포함하는 상기 단계로부터 부텐-2 분급물을, 0∼100℃ 범위내의 온도에서, 반응 온도에서 반응 혼합물의 증기압에 적어도 상응하는 압력에서 복분해시켜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유출물을 수득하고, 복분해 이후에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단계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라인(1)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C4탄화수소 분급물을 사용하는 도 1 에 도시된 반응 도식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며, 상기 분급물은 주로 이소부텐, n-부텐, 부탄, 다양한 함량의 부타디엔을 포함한다. C4분급물은
-아세틸렌성 탄화수소 및 부타디엔을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고,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키고,
-이소부텐 및 부텐-1을 부텐-2와 분리시키고,
-에틸렌(에텐올 분해) 생성 프로필렌의 존재하에 부텐-2을 복분해시키는 단계로 연속 처리하여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연속 처리는 여러가지 잇점을 갖는다. 분급물내에서 가장 반응성이 큰 화합물, 이른바, 다양한 함량의 1,3-부타디엔, 또한, 미량의 아세틸렌 탄화수소는 제 1 단계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의 단계에서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부가로, 디올레핀(1,3-부타디엔 및 1,2-부타디엔)의 부텐으로의 선택적 수소화 반응 및 부텐-1의 수소이성질체화 반응은 분급물내의 부텐-2의 농축을 상당하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이는 복분해 단계에서 프로필렌의 수득울을 높게 한다.
수소 이성질체화 단계로부터의 분급물을 이소부텐 및 부텐-1 및 부텐-2로 분별 증류에 의해, 부텐-2를 포함하는 분획내로 오염물이 유입된 후 복분해를 실시하지 않아도 이소부텐은 다양한 방법으로 향상된다. 또한, 낮은 또는 실질적으로 0 인 이성질체화 작용을 갖는 복분해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부가로, 예를들면, 이소부텐은 메탄올과의 반응에 의해 메틸-t-부틸에테르로 전환되는 경우, 반응이 수소 이성질체화된 분급물상에서 직접 실시되면 부텐-2가 통상적인 바와같이 산소 함유 부산물에 의해 오염된다. 또한, 이소부텐이 중합 반응에 의해 전환되는 경우, 이소부텐을 향상시키는 바람직한 경로도 마찬가지다.
부가로, 차후의 복분해 단계에서, 부텐-2가 풍부한 분획내의 저 함량 부텐-1이 100%에 가까운 프로필렌 선택도로 생성될 수 있다. 부텐-1은 부텐-2와 반응하여 프로필렌 및 펜텐을 생성하며, 자신과 반응하여 헥센을 생성한다. 펜텐 및 헥센은 값비싼 공정으로 반드시 제거해야만 하는 이용가치가 낮은 부산물이다. 그래서, 이러한 방법은 프로필렌 수득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미량의 펜텐 및 헥센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복분해 반응으로 부텐-2를 재순환시키는 것을 촉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1) 전환시키고자 하는 분급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1), 유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3) 및 수소를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2)을 포함하며, 또한 지지체상에 부착된 니켈, 팔라듐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촉매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하나이상의 촉매 층을 포함하는,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키는 선택적 수소화 반응을 위한 영역(1);
2) 영역(1)으로부터의 유출물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3), 이소부텐 및 부텐-1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5) 및 부텐-2 및 n-부탄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4)을 포함하는 분리 영역(2);
3)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산화 루테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하나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며, 영역(2)으로부터의 유출물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4), 에틸렌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6) 및 프로필렌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7)을 포함하는 복분해 영역(3)을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C4분급물은 상류 증기 분해증류 영역으로부터 유래하며, 전환시키고자 하는 분급물을 영역(1)에 투입하기 위한 수단은 증기 분해증류 영역에 연결되어 으며, 에틸렌을 영역(4)으로 투입하기 위한 수단은 증기 분해증류 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제 1 단계의 주목적은 부타디엔 및 n-부텐을 부텐-2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부텐-2은 에틸렌의 존재하에 최종 복분해 단계에서 생성되는 프로필렌의 공급원이다. 그래서, 부텐-2의 수득율을 열역학적 비율에 가능한한 가까운 정도로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의 제 2 목적은 이러한 분급물내에 항상 존재하고, 추후의 단계를 오염시키는 미량의 아세틸렌형 탄화수소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 1 단계(제 1 영역)에서는
-열역학적으로 평형인 상태에서 부타디엔을 n-부텐 혼합물로 선택적 수소화시키고,
-부텐-1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켜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가까은 분포를 수득하고,
-미량의 아세틸렌형 탄화수소를 부텐으로 선택적으로 수소화시키는 것을, 라인(2)을 경유하여 공급된 수소의 존재하에 동시에 실시한다.
이러한 반응은 하나이상의 금속, 예를들면 지지체상에 부착되어 있는 원소 주기율표의 VIII 족 금속(Ni, Pd, Pt)을 포함하는 다양한 특이성 촉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내화성 무기 지지체, 예를들면, 알루미나상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팔라듐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상의 팔라듐 함량은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5∼1중량% 범위내가 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예비처리 방법을 응용하여 반드시 배제되어야만 하는 부탄으로의 완전 수소화 반응에 손해를 끼치는 부타디엔의 부텐으로의 수소화 반응의 선택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촉매는 0.05∼10중량%의 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상에 부착된 팔라듐 및 황으로 구성된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는 프랑스 특허 제 93/09529 호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즉, 수소화 반응기로 장입하기 이전에, 촉매를 용매내에서 희석된 하나이상의 황 함유 화합물로 처리한 후, 0.05∼10중량%의 황을 포함하는 수득된 촉매를 반응기에 장입하고, 중성 또는 환원 대기내에서 20∼300℃ 범위내의 온도에서 0.1∼5㎫ 범위내의 압력, 50∼600시-1범위내의 HSV로 활성화시키고, 공급물을 상기 활성화된 촉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실시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촉매, 바람직하게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방식은 그리 중요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촉매의 고정 층을 통과하는 하류 유형으로 하나이상의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타디엔이 특정 용도에 대해 제거되지 않을 때, 증기 분해증류를 포함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분급물내의 부타디엔의 비율이 높을 경우, 직렬의 두 개의 반응기내에서 변환 반응을 실시하여 수소화 반응에 대해 선택도를 우수하게 조절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두 번째 반응기는 상류 반응기가 될 수 있으며, 마무리 반응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실시된 모든 반응에 대해 요구되는 수소의 함량은 분급물 조성의 함수로서 조절될 수 있어서 수소는 이론적인 화학양론에 대해 약간 과량으로만 존재하게 되는 것이 이롭다.
작동 조건은 반응물 및 생성물이 액체 상이 되도록 선택한다. 그러나, 생성물이 반응기 출구에서 부분적으로 기화되어 반응의 열 조절을 촉진하도록 하는 작동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온도는 20∼200℃, 바람직하게는 50∼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00℃일 수 있다. 압력은 0.1∼5㎫, 바람직하게는 0.5∼4㎫, 이롭게는 0.5∼3㎫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반응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상이 되게 한다. 공간 속도는 0.5∼20시-1, 바람직하게는 1∼10시-1범위내가 될 수 있으며, H2/디올레핀 몰비는 0.5∼5, 바람직하게는 1∼3이다.
수소이성질체화 반응기(들) 이후에 공급된 수소내에 존재할 수 있는 미량의 기체성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안정화 칼럼이 제공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제 2 단계(영역 2)의 목적은 증류에 의해 이전의 단계로부터 라인(3)을 경유하여 공급된 C4분급물을 분리하여 이소부텐 및 대부분의 부텐-1을 포함하는 분획을 수득하며, 상기 분획은 소량의 부텐-1, 부텐-2 및 n-부텐을 포함한다. 이러한 라인(5)을 경유하여 회수된 농축 이소부텐은 다양한 유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텐-2 분획을 라인(4)를 통해 복분해 단계로 보내진다.
증류 영역의 하부에서의 부텐-2 분획은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의 부텐-1 및 1중량% 이하, 이롭게는 0.5중량% 이하의 이소부텐을 포함한다. 부가로, 부텐-2의 상부 손실은 칼럼으로 유입되는 부텐-2에 대해 3중량%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이롭다. 최적의 증류 칼럼은 90∼120개의 판 및 3∼5 의 환류/공급 비로 작동된다.
이전의 단계로부터의 부텐-2 분획은 외부 오염물(예를들면, 에테르화 단계로부터의 산소 함유 오염물)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래서, 제 3 공정(영역 3)에 직접이송될 수 있다. 최종 단계에서, 부텐-2는 라인(6)을 경유하여 공급된 에틸렌과 반응하여 복분해에 의해 프로필렌이 (라인(7)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수득된다. 공급물내의 소량의 부텐-1 및 이소부텐의 함량이 낮기 때문에, 부산물의 형성이 매우 낮게 된다.
부텐-2를 사용한 에틸렌의 복분해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다양한 금속 산화물에 의해 촉매화될 수 있다. 적어도 알루미나, 예를들면, 알루미나 그 자체, 실리카-알루미나 또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며 산성을 띠는 내화성 산화물로 구성된 지지체상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산화 루테늄을 포함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는 미국 특허 제 4,795,734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은 촉매를 개질시키는데 사용된 것과 유사한 γ-알루미나상에 부착된 칠산화 레늄을 포함하는 촉매가 있다. 레늄 함량(레늄 금속을 기준으로 하여)은 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5중량% 범위내일 수 있다. 촉매는 예를들면 400∼1,000℃ 범위내의 온도에서, 10분∼5시간동안 비환원성 대기내에서 최종 열 활성화 처리된다.
또한 알루미나상에 부착된 칠산화 레늄을 포함하는 촉매는 다른 금속의 산화물을 첨가하여 개질될 수 있다. 예로서, 프랑스 특허 FR-A-2,709,125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상기 개질된 촉매는 75중량% 이상의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금속성 레늄을 기준으로 하여 산화물로서 레늄을 0.01∼20중량% 및 니오븀 및 탄탈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0.01∼30중량%의 하나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복분해 반응은 액체 상내에서, 산소, 산소 함유 화합물 및 수분의 부재하에 0∼200℃, 바람직하게는 20∼150℃ 범위내의 온도에서, 반응 온도에서의 반응 혼합물의 증기압에 적어도 상응하는 압력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는 고정 층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흔히 이들이 재생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평행으로 배치된 둘이상의 반응기를 사용해야만 하며, 하나는 작동용으로, 다른 하나는 재생용으로 사용된다. 프랑스 특허 제 FR-A-2,608,595 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이동 촉매 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를 규칙적인 시간마다 반응기 하부로부터 빼내고, 재생 시스템으로부터 반응기의 상부로 보내지는 재생 시스템으로 연속적으로 옮긴다.
열역학에 의해 부가된 제한점들로 인해서, 비전환 에틸렌을 제 1 증류 칼럼내에서 분별 증류시키고, 복분해 반응기로 재순환시킨다. 제 2 증류 칼럼은 프로필렌 및 비전환된 C4탄화수소를 분리하여 복분해 반응기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그래서, 부텐을 재순환시키기 이전에 제거해야만 하는 펜텐 및 헥센을 생성하게 될수록 분별 증류 반응 도식은 대량의 부텐-1이 공급물내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 더욱더 단순해진다.
이러한 공정을 C4증기 분해증류 분급물에 응용하는 경우, 복분해 유니트를 분해증류기와 통합시키는 것이 잇점이 될 수 있으며, 이때 후자의 분별 증류 체인을 이용하게 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1
증기 분해증류기에서 배출된 C4분급물은 하기 표 1(흐름 1)에 제시된 바와같은 조성을 갖게 된다. 표에 사용된 약어로는, MAPD가 메틸아세틸렌+프로파디엔, BBV 가 1,2-부타디엔+1-부틴+비닐아세틸렌을 나타낸다.
이러한 C4분급물을 우선 수소화 및 수소이성질체화 반응으로 처리했다. 이를 하기 표 1 에 제시된 중량 유속 및 2㎫의 압력에서, 미리 황화시킨 알루미나상의 팔라듐으로 구성된 촉매의 2.6T 의 고정 층을 포함하는 제 1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투입했다. 또한, 표 1 (흐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소를 (메탄과 혼합됨) 상기 반응기에 투입했다. 제 1 반응기로부터의 유출물을 2.5T의 동일한 촉매가 장입된 마무리 반응기내에서 처리했다. 배출구(표 1, 흐름 3)에서, 분급물은 아세틸렌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게 되며, 부타디엔은 실질적으로 부텐으로 전환되었으며, 상기 부텐은 거의 부텐-2이며, 부텐-1은 이성질체화되었다. 그후, 분급물을 안정화 칼럼내에서 처리했으며, 여기에서 잔류 수소 및 메탄이 분리됐다. 이러한 처리후, 분급물은 흐름 4(표 1)의 조성을 갖는다.
흐름 번호(실시예 1)(㎏/시) 1 2 3 4 5 6 7 8
C4공급물 공급물수소 이성질체화 배출구수소 이성질체화 C4배출구안정화 칼럼 상부이소부텐 칼럼 하부이소부텐 유입구복분해 배출구복분해
(C3+C3 =) 10 10 41
MAPD 31 31
이소부탄 446 446 446 434 434
n-부탄 545 545 988 981 981 981 981
이소부텐 5,741 5,741 5,741 5,667 5,575 92 92 46
부텐-1 3,407 3,407 1,003 951 911 40 40 20
부텐-2 2,250 2,250 12,737 12,686 386 12,300 12,300 1,230
1,3-부타디엔 8,095 8,095
BBV 104 104
수소 343 16
메탄 197 197
에틸렌 5,590 56
프로필렌 16,520
펜텐+ 150
20,629 21,169 21,169 20,719 7,306 13,413 19,003 19,003
제 2 단계에서, 수소이성질체화된 C4분급물을 증류 칼럼내에서 분별증류 처리했다. 이 칼럼은 약 90개의 판을 포함하며, 0.7㎫의 압력에서 환류 드럼내에서 작동하여 상부 응축기내에서 냉각수를 사용한다. 환류비는 증류물내의 부텐-2의 손실을 제한하고, 하부 생성물내의 부텐-1 및 이소부텐 함량을 각각 0.3 및 0.7%로 감소시켜 차후의 복분해 단계에서의 부산물인 펜텐 및 헥센의 형성을 최대한으로 제한한다.
제 3 단계에서, 주로 부텐-2를 포함하는 증류 단계로부터의 바닥 분획을 US-A-4,795,734에 기재된 바와같이 제조된 γ-알루미나상의 산화 레늄으로 구성된 복분해 촉매상에서 에틸렌(전체 조성 : 표 1에서의 흐름 7)으로 반응시켰다. C4분급물을 복분해 반응기의 유입로 공급된 에틸렌 및 재순환된 에틸렌 및 부텐 흐름과 혼합했다. 반응기는 FR-A-2,608,595 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35℃의 온도 및 3.5㎫의 압력의 이동 층 반응기이며, 이는 대기압하에 550℃에서 작동하는 재생기와 함께 사용된다. 촉매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응기의 하부로부터 빼내고, 반응기의 상부로 보내지는 재생기로 옮겼으며, 이러한 옮김은 완충 트랩을 통해 이루어졌다. 반응기의 배출구에서, 비전환 에틸렌은 제 1 증류 칼럼에서 분별 증류되고, 재순환되었다. 제 2 증류 칼럼은 재순환된 프로필렌 및 비전환 C4탄화수소를 분리했다. 복분해 유출물의 조성을 표 1 의 흐름 8에 나타냈다.
전환 반응의 나머지는 하기와 같다. 증기 분해증류기로부터 배출된 100중량부(pw)의 C4분급물의 경우 1.6pw의 수소 및 28pw 의 에틸렌이 소모되고, 27pw의 이소부텐 및 83pw의 프로필렌이 생성되었다. 처리된 C4분급물이 유출되는 증기 분해증류기의 경우, 이러한 균형은 낮은 에틸렌 소모를 나타내며, 분해증류기의 작동 조건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보충적인 고 생성률의 프로필렌을 얻게 한다.
그래서, 본 발명 공정의 잇점은 소량의 부텐-1 및 이소부텐만을 포함하는 부텐-2 공급물의 복분해로 인해서 중합 반응 고 품질 프로필렌 생성에 대해 선택율이 높다는 점이다.

Claims (15)

  1. 디올레핀, 부텐-1, 부텐-2, 이소부텐 및 아세틸렌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C4분급물을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켜 디올레핀 및 아세틸렌형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수소화시켜 주로 부텐-2 및 이소부텐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는 디올레핀 또는 아세틸렌형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제 1 단계동안 전환되지 않은 주로 이소부텐 및 부텐-1을 포함하는 상부 분급물 및, 주로 부텐-2 및 부탄을 포함하고 1중량% 이하의 이소부텐 및 1중량% 이하의 부텐-1을 포함하는 하부 분급물을 증류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
    3) 지지체상에 부착된 하나이상의 산화 루테늄을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하에, 상기 단계로부터의 부텐-2 분급물을 에틸렌으로 0∼100℃ 범위내의 온도에서, 반응 온도에서의 반응 혼합물의 증기압에 적어도 상응하는 압력에서 복분해시켜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유출물을 수득하고, 복분해 이후에 프로필렌을 분리하는 단계의 연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지지체 상에 부착된 니켈, 팔라듐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상에서 액체 상내의 상기 분급물을 20∼200℃의 온도에서, 0.1∼5㎫의 압력에서, 0.5∼10시-1의 공간 속도 및 0.5∼5, 바람직하게는 1∼3의 H2/디올레핀 몰비로 통과시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0.05∼10중량%의 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반응기에 장입하게 전에, 수소화 단계용 촉매를 용매내에서 희석된 하나이상의 황 함유 화합물로 처리한 후, 0.05∼10중량%의 황을 포함하는 촉매를 반응기에 장입시키고, 중성 또는 환원 대기내에서 20∼300℃ 범위내의 온도에서 0.1∼5㎫의 압력에서 50∼600시-1의 HSV 로 활성화시키고, 공급물을 상기 활성화된 촉매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성 수소화 촉매는 황 및, 알루미나 상에 부착된 팔라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해는 75% 이상의 알루미나 및, 니오븀 및 탄탈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0.01∼30중량%의 하나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금속 레늄을 기준으로 하여 0.01∼20중량% 비율로 산화 레늄을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하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해는 이동 층내의 촉매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해는 이동 층내의 촉매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해는 이동 층내의 촉매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로부터의 상부 분급물은 3중량% 이하의 부텐-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분급물에 이소부텐 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올레핀성 C4분급물을 이소부텐 및 프로필렌으로 전환시키는 장치로서,
    1) 전환시키고자 하는 분급물을 투입시키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1), 유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3) 및 수소를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2)을 포함하며, 또한 하나이상의 촉매 층을 포함하는, 부텐-1 을 부텐-2로 이성질체화시키는 선택적 수소화 반응을 위한 영역(1);
    2) 영역(1)으로부터의 유출물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3), 이소부텐 및 부텐-1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5) 및 부텐-2 및 n-부탄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4)을 포함하는 분리 영역(2);
    3) 바람직하게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산화 루테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하나이상의 촉매를 포함하며, 영역(2)으로부터의 유출물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4), 에틸렌을 투입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6) 및 프로필렌을 제거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수단(7)을 포함하는 복분해 영역(3)을 연속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해 영역이 이동 촉매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1)의 촉매는 지지체상에 부착된 니켈, 팔라듐 및 백금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환시키고자 하는 C4분급물을 투입하기 위한 수단이 증기 분해증류 영역에 연결되어 있으며, 에틸렌을 복분해 영역으로 투입하기 위한 수단은 증기 분해증류 영역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
KR1019970055173A 1996-10-28 1997-10-27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KR19980033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3298A FR2755130B1 (fr) 1996-10-28 1996-10-28 Nouveau procede de production d'isobutene et de propylene a partir de coupes d'hydrocarbures a quatre atomes de carbone
FR9613298 1996-10-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93A true KR19980033193A (ko) 1998-07-25

Family

ID=94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173A KR19980033193A (ko) 1996-10-28 1997-10-27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급물로부터 이소부텐및 프로필렌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075173A (ko)
EP (1) EP0838449B1 (ko)
KR (1) KR19980033193A (ko)
DE (1) DE69707808T2 (ko)
ES (1) ES2166960T3 (ko)
FR (1) FR27551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199A3 (en) * 2009-03-25 2011-01-13 Lummus Technology Inc. Production of propylene from butane
WO2022030784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1-부텐 및 프로필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5716A1 (de) * 1998-02-12 1999-08-1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pen und gegebenenfalls 1-Buten
FR2784040B1 (fr) * 1998-10-05 2000-11-17 Inst Francais Du Petrole Catalyseur de metathese a base de rhenium et cesium et procede de conversion de coupes c4 olefiniques par metathese
US6743958B2 (en) * 1999-12-24 2004-06-01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Process for selective production of propylene from hydrocarbon fractions with four carbon atoms
FR2802920B1 (fr) * 1999-12-24 2002-12-1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oduction selective de propylene a partir de coupes d'hydrocarbures a quatre atomes de carbone
FR2802921B1 (fr) 1999-12-24 2002-08-2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duction d'isobutene de haute purete et de propylene a partir de coupes d'hydrocarbures a quatre atomes de carbone
US6420619B1 (en) 2001-01-25 2002-07-16 Robert J. Gartside Cracked gas processing and conversion for propylene production
US20050124839A1 (en) * 2001-06-13 2005-06-09 Gartside Robert J. Catalyst and process for the metathesis of ethylene and butene to produce propylene
US6777582B2 (en) * 2002-03-07 2004-08-17 Abb Lummus Global Inc. Process for producing propylene and hexene from C4 olefin streams
US20040192994A1 (en) * 2003-03-26 2004-09-30 Bridges Robert S. Propylene production
US6872862B2 (en) * 2003-06-25 2005-03-29 Equistar Chemicals, Lp Propylene production
US7214841B2 (en) * 2003-07-15 2007-05-08 Abb Lummus Global Inc. Processing C4 olefin streams for the maximum production of propylene
US7074976B2 (en) * 2003-08-19 2006-07-11 Equistar Chemicals, Lp Propylene production
FR2879189B1 (fr) 2004-12-13 2007-03-30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pour transporter des hydrates en suspension dans des effluents de production utilisant un additif non-polluant
FR2880018B1 (fr) * 2004-12-27 2007-02-2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duction de propylene mettant en oeuvre la dimerisation de l'ethylene en butene-1, l'hydro-isomerisation en butene-2 et la metathese par l'ethylene
DE102005009665A1 (de) * 2005-02-28 2006-08-31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open aus 2-Buten- und Isobuten-reichen Feedströmen
US20060235255A1 (en) * 2005-04-15 2006-10-19 Gartside Robert J Double bond hydroisomerization process
US7576251B2 (en) * 2005-04-15 2009-08-18 Abb Lummus Global Inc. Process for the double bond hydroisomerization of butenes
EP1953129A4 (en) * 2005-11-14 2011-04-20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EPARING PROPYLENE CONTAINING BIOMASS CARBON
US7459593B1 (en) 2005-11-18 2008-12-02 Uop Llc Metathesis unit pretreatment process with formation of octene
WO2007096296A1 (de) * 2006-02-23 2007-08-30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isobutylen mit einem gehalt an endständigen doppelbindungen von mehr als 50% aus einem technischen 1-buten-, 2-buten- und isobuten-haltigen c4-kohlenwasserstoffstrom
WO2007112242A1 (en) * 2006-03-23 2007-10-04 Shell Oil Company Olefin conversion process and olefin recovery process
CA2733890C (en) 2008-08-12 2013-10-01 Lummus Technology Inc. Integrated propylene production
AR078212A1 (es) 2008-09-04 2011-10-26 Basf Catalysts Llc Catalizador para isomerizacion y metatesis de olefinas
US9157037B2 (en) * 2008-12-18 2015-10-13 Uop Llc Process for improving flow properties of crude petroleum
US8263008B2 (en) * 2008-12-18 2012-09-11 Uop Llc Apparatus for improving flow properties of crude petroleum
US7982086B2 (en) * 2009-02-03 2011-07-19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Deisobutenizer
US8586813B2 (en) 2009-07-21 2013-11-19 Lummus Technology Inc. Catalyst for metathesis of ethylene and 2-butene and/or double bond isomerization
EP2519485A1 (en) * 2009-12-29 2012-11-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ducing alpha-olefins
BR112015005606B1 (pt) 2012-09-14 2021-03-09 Lummus Technology Inc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propileno
FR3001728B1 (fr) 2013-02-04 2015-11-13 Adisseo France Sas Procede de preparation d’une olefine par conversion catalytique d’au moins un alcool
DE102013014802A1 (de) 2013-09-05 2015-03-05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Kohlenwasserstoffprodukten
DE102013014867A1 (de) 2013-09-05 2015-03-19 Linde Ag Verfahren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Kohlenwasserstoffprodukten
EP2982431A1 (en) 2014-08-05 2016-02-10 Scg Chemicals Co. Ltd. Stabilized rhenium-based heterogeneous catalyst and use thereof
EP2995599A1 (de) 2014-09-11 2016-03-16 Lind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Kohlenwasserstoffen
WO2018116091A1 (en) * 2016-12-21 2018-06-2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to produce olefins from a catalytically cracked hydrocarbons stream
CN109369318B (zh) * 2018-12-07 2021-05-21 宁波旭合瑞石化工程有限公司 一种以c5烯烃为主的原料最大化生产丙烯的方法
US11572516B2 (en) 2020-03-26 2023-02-07 Saudi Arabian Oil Company Systems and processes integrating steam cracking with dual catalyst metathesis for producing olefins
CN114426449B (zh) * 2020-09-09 2024-05-0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混合碳四利用率的方法及装置
CN114433070B (zh) 2020-10-20 2023-08-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用于烯烃歧化反应的催化剂颗粒、制备方法及其应用
US11845705B2 (en) 2021-08-17 2023-12-19 Saudi Arabian Oil Company Processes integrating hydrocarbon cracking with metathesis for producing prope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35727A (fr) 1931-07-22 1932-11-14 Comptoir Textiles Artificiels Procédé de fabrication de soie artificielle
GB1110826A (en) * 1965-09-22 1968-04-24 British Petroleum Co Isomerisation of butene-1 to butene-2
FR1493983A (fr) * 1965-09-22 1967-09-01 British Petroleum Co Procédé pour transformer le butène-1 en butène-2 en présence d'isobutène et produits obtenus
US3422381A (en) * 1966-02-16 1969-01-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pole circuit breaker with common trip bar
CA930382A (en) * 1968-07-08 1973-07-17 W. Garner James Olefin isomerization process
NL7002795A (ko) * 1970-02-27 1971-08-31
US3764633A (en) * 1970-09-18 1973-10-09 Phillips Petroleum Co Olefin isomerization process
US4132745A (en) * 1976-06-25 1979-01-02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Process for isomerizing 1-butene to 2-butene
US4287378A (en) * 1978-10-25 1981-09-01 Phillips Petroleum Company Conversion of olefinic compounds
FR2463802A1 (fr) * 1979-08-21 1981-02-2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valorisation des coupes c4 olefiniques
US4558170A (en) * 1983-06-29 1985-12-1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isobutylene process
US5120894A (en) * 1988-09-19 1992-06-09 Lyondell Petrochemical Company Olefin conversion process
FR2709125B1 (fr) * 1993-08-20 1995-10-06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édé de métathèse des oléfines mettant en Óoeuvre un catalyseur au rhénium amélioré.
US5523502A (en) * 1993-11-10 1996-06-04 Stone & Webster Engineering Corp. Flexible light olefins production
US5414179A (en) * 1994-04-29 1995-05-09 Phillips Petroleum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the feed composition to a process for polymerizing isobutylene
FR2733986B1 (fr) * 1995-05-11 1997-06-1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conversion de coupes c4 olefiniques en polyisobutenes et en propyle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1199A3 (en) * 2009-03-25 2011-01-13 Lummus Technology Inc. Production of propylene from butane
WO2022030784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1-부텐 및 프로필렌 제조방법
US11905238B2 (en) 2020-08-07 2024-02-20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1-butene and propy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55130B1 (fr) 1998-12-11
FR2755130A1 (fr) 1998-04-30
US6075173A (en) 2000-06-13
EP0838449B1 (fr) 2001-10-31
US6358482B1 (en) 2002-03-19
DE69707808T2 (de) 2002-04-04
ES2166960T3 (es) 2002-05-01
DE69707808D1 (de) 2001-12-06
EP0838449A1 (fr) 199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8482B1 (en) Facility for the production of isobutene and propylene from hydrocarbon cuts containing four carbon atoms
US6916448B2 (en) Process for selective production of propylene from hydrocarbon fractions with four carbon atoms
US6686510B2 (en) Production of high-purity isobutene and propylene from hydrocarbon fractions with four carbon atoms
US5898091A (en) Process and plant for the conversion of olefinic C4 and C5 cuts to an ether and to propylene
AU682385B2 (en) Selective hydrogenation of highly unsaturated compounds in hydrocarbon streams
KR100937080B1 (ko) 부텐의 이중 결합 수소이성화
US6207115B1 (en) Process and plant for the conversion of olefinic C4 cuts to polyisobutene and to propylene
JP4214474B2 (ja) C4オレフィン流からプロピレン及びヘキセンを製造する方法
US6169218B1 (en) Selective hydrogenation of highly unsaturated compounds in hydrocarbon streams
US4197185A (en)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olefinic C4 cuts from steam cracking to high octane gasoline and butane
CA2603484C (en) Process for the double bond hydroisomerization of butenes
JPH11322637A (ja) オレフィンの製造
KR20110099222A (ko) 옥텐의 형성을 이용한 복분해 유닛 전처리 방법
US4277313A (en) Recovery of 1,3-butadiene
CN101583581A (zh) 含氧化合物通过二聚和复分解向烯烃的转化
EP0605822A1 (en) Integra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ethyl tert-butyl ether (mtbe)
US5698760A (en) Olefin metathesis
JPH01279848A (ja) Hfアルキル化及び選択的水素化法
KR20110093897A (ko) 부탄으로부터 프로필렌 생산
US6159433A (en) Plant for the conversion of olefinic C4 and C5 cuts to an ether and to propylene
KR20060018252A (ko) 묽은 에틸렌 스트림들로부터 프로필렌 및 에틸벤젠 제조방법
US3671603A (en) Butene recovery
US6495732B1 (en) Olefin isomerization process
US20040192994A1 (en) Propylene production
KR20040030431A (ko) 아세틸렌계 및 디올레핀계 불순물을 함유하는 올레핀원료류의 선택적 수소첨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