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051A -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051A
KR19980032051A KR1019970008665A KR19970008665A KR19980032051A KR 19980032051 A KR19980032051 A KR 19980032051A KR 1019970008665 A KR1019970008665 A KR 1019970008665A KR 19970008665 A KR19970008665 A KR 19970008665A KR 19980032051 A KR19980032051 A KR 1998003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list
recording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7303B1 (ko
Inventor
오노히토시
고도도시카즈
아야키야스시
구노요시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5748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514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12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1965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요이치, 마쓰시타덴키산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3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06F3/0676Magnetic disk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3Testing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attempt is made to read or write the data when a first attempt is unsuccessfu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파일의 재배치나 빈 영역의 검색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헤드의 이동이나 회전대기 등의 데이타를 판독기록할 수 없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기억장치를 제공하고, 그 기억장치에 이용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 및 에러회복 처리방법을 얻는 것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빈 영역의 길이와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고속처리용 빈 영역리스트와 저속처리용 빈 영역리스트로 구별하여 등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축적된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과 제한시간의 차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고,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동화상데이타 등의 처리에 적합함

Description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본 발명은, 동화상데이타와 같이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일정한 주기로 고속으로 행할 필요가 있는 데이타를 기록재생하는 경우에 적합한 기록영역관리방법, 특히 분산영역의 관리방법 및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억장치에서의 분산영역의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의 판독/기록헤드와 기록매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데이타를 판독기록하는 기록장치에서는, 판독/기록헤드의 이동이나 회전대기 등 때문에, 판독/기록할 수 없는 시간이 발생한다.
제 23 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자기디스크장치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3 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장치에서의 자기디스크 등을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제 23 도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82)는 데이타를 자기화하여 기록하는 자기기록매체이고, 헤드(188)는 전기신호를 자장으로, 또는 자장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자기디스크(182)상에 데이타를 기록 또는 자기디스크(182)상의 데이타를 판독출력하고 있다. 아암(187)은 헤드(188)을 지지하고, 자기디스크(182)상을 이동시키는 아암이다. 트랙(183)은 자기디스크(182)를 동심원으로 구획지은 기억영역의 단위이다. 섹터(184)는 자기디스크(182)의 최소액세스단위로, 트랙(183)을 일정용량으로 구획지은 기억영역의 한단위이다.
트랙(183)은 트랙번호가 내측으로부터 또는 외측으로부터 차례로 부여되고, 각 트랙(183)내에서는, 섹터(184)에 섹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기디스크상에서의 기억영역은, 예를 들면 0b트랙 20c의 0b섹터 50c와 같이 트랙번호와 섹터번호에 의해서 특정할 수 있다. 자기디스크장치에서는 섹터단위의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1개의 파일이 복수개의 섹터로 구성되는 경우, 반드시 1개의 트랙내나, 서로 이웃하는 트랙내에 그 파일을 구성하는 모든 섹터가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극단적인 경우, 가장 바깥둘레의 트랙의 1개의 섹터와 가장 안둘레의 트랙의 1개의 섹터로 구성되는 파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자기디스크(182)상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먼저, 헤드(188)가 해당하는 데이타를 기록하고 있는 섹터를 가지는 트랙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다음에, 헤드(188)는, 자기디스크(182)가 회전하여 헤드(188)의 아래에 해당하는 섹터가 올 때까지 기다린 후에, 그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판독한다. 이 때, 인접한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헤드(188)의 이동이나 회전대기가 없어서, 게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속되지 않는 복수개의 섹터에 데이타가 분산해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헤드(188)의 이동, 회전대기, 데이타 판독출력이라는 3행정을 각 섹터마다 반복해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속한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하는 경우에 비해서, 연속하지 않는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헤드(188)가 이동하는 시간과 회전대기의 시간이 데이타를 읽을 수 없는 시간으로서 여분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일련의 데이타를 자기디스크(182)에 기록할 때에는, 트랙번호 및 섹터번호가 빠른 번호순으로 비어 있는 섹터 또는 비어 있는 연속하는 섹터를 검색해서 기록한다. 이와 같은 자기디스크(182)에 있어서 기록과 소거를 반복하면, 빈 영역이 복수개의 소영역이 되고, 이 작은 빈 영역으로 분산된 데이타가 기록되면, 기억장치의 판독기록의 속도가 늦어지고, 기억장치의 성능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기록과 소거를 반복하여도, 기억장치의 판독/기록의 속도가 늦어지지 않고, 기억장치의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기록영역관리방법이 몇 개 제안되고 있다.
그 하나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이나 빈 영역을 복수개의 연속영역에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그 일예가 일본국 특개평 1-236488 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1-236488 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억영역관리방법은, 재기록가능형 광디스크를 이용한 기억장치이다. 이 종래의 기억장치에서는, 파일을 1개의 연속영역에 기록하기 때문에, 연속영역을 선두위치와 종료위치 또는 길이로 관리하고, 기록하기 위해서 파일사이즈로부터 긴 빈 영역을 검색하고, 이 빈 영역에 기록함으로써, 영역관리를 간단하게 하고, 또, 고속의 판독기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자기디스크에 있어서, 1개의 파일을 연속한 빈 영역에 격납하는 것을 확보하는 기억장치의 예가 일본국 특개평 7-200369 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억장치에서는, 빈 영역으로부터 뒷쪽에 있는 파일을 앞쪽의 빈 영역으로 이동하여, 뒷쪽에 빈 영역을 이동시키는 파일의 재배치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일본국 특개평 7-200369 호공보에 개시된 기억장치는, 파일의 재배치에 걸리는 처리시간과 그 결과 확보되는 연속한 빈 영역의 크기를 평가함으로써, 효과적인 재배치처리를 행하고, 연속된 빈 영역을 확보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술한 일본국 특개평 1-236488호 공보에서 개시된 종래의 기억장치의 구성에서는, 기록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빈 영역을 빈 영역의 관리정보로부터 검색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을 개시할 때까지 검색시간이 필요하고, 또한, 사전에 기록하는 파일사이즈를 알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7-200369 호 공보에서 개시된 종래의 기억장치와 같이, 파일의 재배치에 의해서 연속된 빈 영역을 확보하는 구성에서는, 자기디스크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서, 재배치의 효율평가처리와 실제의 재배치처리에 걸리는 시간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다음에, 종래의 기억장치에서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디스크나 광디스크 등의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신뢰성의 향상을 위해서, 에러회복 처리기능이 저장되어 있다. 에러회복 처리기능으로서는, 에러가 발생한 영역에 재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실행하는 재실행처리나, 에러가 발생한 영역에 할당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를 다른 영역에 할당하고, 그 데이타를 결함영역테이블에 등록하여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사용을 중지하는 교체처리 등이 있다.
이들 에러회복처리는, 기록/판독출력처리에 비해서 처리에 시간이 걸리고, 또한, 재실행처리의 경우에는 동일처리를 반복하기 때문에 처리완료시간을 추정할 수 없다는 등 실시간동작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제 24 도를 참조해서 종래의 자기디스크 기록장치의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4 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상술한 제 23 도와 동일기능, 구성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제 24 도에 있어서, 자기기록매체인 자기디스크(182)의 기록면에는 동심원으로 구획지은 기억영역의 단위인 복수개의 트랙(183)이 형성되어 있고, 각 트랙(183)은 최소액세스단위인 여러개의 섹터(18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헤드(188)는 자기디스크(182)상에 데이타를 기록, 또는 자기디스크(182)상의 데이타를 판독출력하고 있고, 아암(187)은 헤드(188)를 지지하여 자기디스크(182)상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각 섹터(184)에 부여되어 있는 논리블록어드레스(185)는 논리적인 영역번호이다. 교체섹터(186)는 에러발생시에 사용되는 섹터(184) 중 하나이다. 각 섹터(184)에는 논리적인 영역번호인 논리블록어드레스(185)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자기디스크(182)상의 기억영역은 논리블록어드레스(185)에 의해서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자기디스크(182)에 있어서, 자기디스크(182)에 기록된 데이타를 판독출력하기 위하여, 먼저, 논리블록어드레스(185)에 의해서 지정된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184)가, 어느 트랙의 어느 섹터에 대응하는가를 구한다.
다음에, 헤드(188)는 구해진 섹터가 존재하는 트랙(183)에 이동된다. 또한, 소정의 트랙(183)의 위치에 이동한 헤드(188)는, 자기디스크(182)가 회전하여 헤드(188)의 아래에 소정의 섹터(184)가 도달할 때까지 기다리고, 그 후, 소망하는 데이타를 판독출력한다.
데이타를 기록할 때에도, 상기 판독출력하는 경우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논리블록어드레스(185)에 의해서 지정된 비어 있는 섹터(184)에 헤드(188)를 이동하여 기록한다.
논리블록어드레스(185)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하였을 때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헤드(188)의 위치를 조금만 이동시킨 후 기록 또는 판독을 재실행처리한다. 이와 같은 재실행처리는, 정상적으로 기록 또는 판독할 수 있을 때까지 소정의 회수가 반복된다.
재실행처리를 반복하여도 소정의 섹터(184)에 기록할 수 없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섹터(184)에 할당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185)를 교체섹터(186)로 변경한 후, 그 교체섹터(186)에 대하여 기록처리를 실행한다는 교체처리를 행한다. 판독출력처리에서는, 재실행을 소정의 회수 반복한 후, 판독출력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섹터(184)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교체섹터(186)에 복사하여, 섹터(184)에 할당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185)를 교체섹터(186)로 변경한다는 교체처리를 행한다.
이들 에러회복처리에 있어서는, 소정의 섹터의 위치에 헤드(188)가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대기가 있고, 또 헤드(188)의 이동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에러회복처리는 정상시에 비해서 처리에 시간이 걸리고, 실시간처리 등의 고속처리가 요구되는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특개평 7-111035 호공보에 개시된 기억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기억장치는, 하나의 기록영역을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데이타를 기록하는 영역과, 신뢰성보다도 빠른 처리속도가 요구되는 데이타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기록영역에 따라서 에러회복처리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억장치에서는, 기록영역의 위치나 그 속성, 예를 들면 관리영역이나 데이타영역 등에 따라서, 데이타의 신뢰성을 중시하는 기록재생동작과, 에러회복동작을 생략하여 처리의 고속화를 중시하는 기록/재생동작을 행함으로써, 영상신호 등의 대략의 데이타를 연속해서 기록하는 장치로서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억장치(일본국 특개평 7-111035 호)에서는, 기록영역을 분할하고, 기록영역마다 에러처리를 전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록재생장치의 그 때의 부하에 상관없이, 기록영역의 위치나 그 속성에 의해서 기록재생동작을 선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록재생동작의 부하가 변동하는 경우에는 가장 부하가 무거운 상태를 상정하여 기록재생동작을 선택하므로, 부하가 가벼워 에러회복동작이 실행가능한 상태이어도, 에러회복동작을 행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일본특허출원 특개평 1-236488, 일본국 특개평 7-200369, 일본국 특개평 7-111035는, 전체적으로 선행기수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억장치에서의 분산영역관리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고, 파일의 재배치나 빈 영역의 검색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헤드의 이동이나 회전대기 등의 데이타를 판독기록할 수 없는 시간을 저감할 수 있는 기억장치를 제공하고, 그 기억장치에 이용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 및 에러회복 처리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기억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는, 실시예 1에서의 관리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 3 도는, 실시예 1에서의 최소영역길이를 산출하기 위한 처리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4 도는, 실시예 1에서의 파일의 삭제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5 도는, 실시예 1에서의 파일의 기억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6 도는, 실시예 1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7 도는, 실시예 1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8 도는, 실시예 1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파일의 삭제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10 도는, 실시예 2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11 도는, 실시예 2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12 도는, 실시예 2에서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기억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젼 수신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14 도는, 실시예 3에서의 기억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15 도는, 실시예 3에서의 코멘드 큐(command queue)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 16 도는, 실시예 3에서의 기록·판독출력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17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기록·판독출력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18 도는, 실시예 4에서의 코멘드 큐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 1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기록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20 도는, 실시예 5에서의 가결함영역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도;
제 21 도는, 실시예 5에서의 교체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22 도는, 실시예 5에서의 가결함영역 체크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23 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장치에서의 자기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 24 도는, 종래의 자기디스크장치에서의 자기디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중앙처리장치2 : 프로그램 기억장치
3 : 인터페이스4 : 자기디스크장치
5 : 입력장치6 : 출력장치
7 : 버스8 : 전용버스
9 : 디스크특성리스트10 : 관리정보
11 : 데이타파일12 : 영상신호
13 : 파일리스트14 : 데이타영역리스트
15 : 파일명16 : 선두영역의 위치
17 : 영역의 수51∼55 : 파일정보
56∼61 : 데이타영역정보63∼65 : 빈 영역정보
66 : 파일리스트67 : 데이타영역리스트
68 : 제 1 빈 영역리스트69 : 제 2 빈 영역리스트
101a : 영상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
101b : 음성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
102 : 영상신호처리회로103 : 음성신호처리회로
104a : 영상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변환회로
104b : 음성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변환회로
105 : 영상출력회로 106 : 음성출력회로
107 : CRT 108 : 스피커
109 : 기록·재생회로110 : 자기디스크장치
111 : 코멘드 큐112 : 여유시간추정부
113 : 결함영역테이블114 : 데이타·버퍼
115 : 기록·판독출력부116 : 에러처리방법선택부
117 : 에러처리부
137∼140, 146∼149 : 코맨드
150 : 코멘드 큐151 : 여유시간추정부
152 : 데이터 버퍼153 : 기록·판독출력부
154 : 가결함영역체크부155 : 결함영역테이블
156 : 교체처리부157 : 가결함영역테이블
161 : 데이타182 : 자기디스크
183 : 트랙184 : 섹터
185 : 논리블록어드레스186 : 교환섹터
187 : 아암188 : 헤드
190 : 영상입력단자191 : 음성입력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록영역관리방법은,
일련의 데이타군으로 구성된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파일리스트와,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타군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데이타영역리스트와,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1 빈 영역리스트와,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2 빈 영역리스트를 관리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와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에서의 빈 영역의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하는 영역길이 비교공정과;
상기 영역길이 비교공정에 있어서 상기 빈 영역과 상기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에 등록하는 공정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기록영역관리방법에 의하면, 데이타의 판독기록에 요구되는 속도에 따라서 영역길이가 긴 빈 영역과 짧은 빈 영역을 잘 분리하여, 연속된 빈 영역을 그 길이에 따라서 다른 빈 영역리스트에 등록하여 관리함으로써, 고속의 판독기록이 필요한 데이타는 영역길이가 긴 빈 영역에 기록하고, 고속의 판독기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타는 영역길이가 짧은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보다 고속의 판독기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에러회복 처리방법은:
복수개의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공정과;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공정과;
데이타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공정과;
에러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추정한 상기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공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에러회복 처리방법에 의하면, 여러개의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한 후, 축적된 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고,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축적된 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고,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추정된 여유시간에 따라서 적절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함으로써, 기록/판독출력처리에서의 필요한 에러처리가 확실하게 실시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에러회복 처리방법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결함영역 관리방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에러회복 처리방법을 실행하는 본 발명의 기억장치는:
복수개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요구축적수단과;
상기 요구축적수단에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판독출력수단과;
상기 요구축적수단에 축적된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여유시간 추정수단과;
상기 기록판독출력수단에서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상기 여유시간추정수단에 있어서 추정한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한 에러처리실행수단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는, 에러회복처리가 기록영역의 위치나 그 속성뿐만 아니라, 기록요구 또는 판독요구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고, 그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과 고속처리성을 겸해서 구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의 적절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는 실시예 1에서의 기록영역 관리방법을 실행하는 기억장치인 영상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영상기록장치는, 중앙처리장치(1), 프로그램 기억장치(2), 자기디스크장치(4), 입력장치(5) 및 출력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디스크장치(4)는 인터페이스(3)를 통해서 중앙처리장치(1), 입력장치(5), 출력장치(6) 등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5)에는 영상신호(12)가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신호(12)는 입력장치(5)에 있어서 양자화(量子化)된다. 출력장치(6)는, 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영상신호(12)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 7은 중앙처리장치(1)의 신호를 전송하는 버스이고, 부호 8은 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자기디스크장치(4)와 입력장치(5)나 출력장치(6)와의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한 전용버스이다.
자기디스크장치(4)에는, 디스크특성 리스트(9), 관리정보(10) 및 데이타파일(11)이 기록되어 있다. 디스크특성 리스트(9)는, 최대섹터수, 헤드의 시이크시간의 최대치, 1회전대기시간이나,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 등의 자기디스크장치에서의 각종 특성치를 유지한다. 관리정보(10)는, 자기디스크장치내의 데이타의 배치를 관리하는 것으로, 파일리스트, 데이터영역 리스트, 제 1 빈영역 리스트, 제 2 빈영역 리스트 등이 기억되어 있다. 디스크특성 리스트(9)는 자기디스크장치내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고, 관리정보(10)와 데이타파일(11)은 자기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영상기록장치를 구성하는 상기의 각 장치는, 프로그램 기억장치(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중앙처리장치(1)에 의해서 제어되고, 영상신호(12)의 기록재생처리 및 기록영역관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영상신호(12)를 자기디스크장치(4)에 기록하는 경우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한다.
영상신호(12)는 끊임없이 연속적으로 입력장치(5)에서 양자화된다. 양자화된 영상신호는, 전용버스(8)를 통해서 인터페이스(3)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4)로 보내어져서, 데이타파일(11)에 기록된다.
반대로, 영상신호(12)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자기디스크장치(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파일(11)을 판독출력한다. 판독출력된 데이타파일(11)은, 인터페이스(3)로부터 전용버스(8)를 통해서 출력장치(6)에 입력된다. 출력장치(6)는, 영상신호(12)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자기디스크장치(4)내의 데이타의 배치를 관리하는 관리정보(10)에 대하여 제 2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2 도는 관리정보(10)에서의 파일리스트(13)와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파일리스트(13)에서의 파일명(15)은 파일을 특정하는 파일식별자로서, 부호 16에서 나타내는 장소에는 파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영역에서의 선두영역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부호 17에서 나타내는 장소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의 수가 나타나 있다. 파일리스트(13)는, 자기디스크장치(4)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파일의 각각에 대하여, 파일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이 파일정보는, 상기와 같이, 파일명(15)와 각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의 선두영역의 위치(16)와 영역의 수(17)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타영역리스트(14)는 자기디스크장치(4)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로 구성되는 데이타영역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제 2 도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파일(1)은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1번째의 영역을 선두로 하는 2개의 영역, 즉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1번째의 영역과 2번째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2)은 3번셉의 영역을 선두로 하는 1개의 영역, 즉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3번째의 영역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1번째의 영역은 선두어드레스 1과 종료어드레스 1에서 추정된다. 또한,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2번째의 영역은 선두어드레스 2와 종료어드레스 2에서 추정되고, 데이타영역리스트(14)의 3번째의 영역은 선두어드레스 3와 종료어드레스 3에서 추정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으나, 관리정보(10)에서의 제 1 빈 영역리스트 및 제 2 빈 영역리스트는, 상술한 데이타영역리스트(14)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고, 즉 빈 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로 구성되는 빈 영역정보를 복수개 유지하는 구조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관리정보(10)를 이용한 실시예 1의 기록영역 관리방법을 첨부한 제 3 도로부터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실시예 1에서의 파일의 삭제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는 파일의 삭제처리의 전후상태를 나타내는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도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 있어서, 부호 66은 파일리스트, 부호 67은 데이터영역 리스트, 부호 68은 제 1 빈영역 리스트 및 부호 69는 제 2 빈영역 리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파일리스트(66)에 있어서, 부호 51로부터 54는, 파일리스트(66)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정보이다. 데이터영역 리스트(67)에서 부호 56으로부터 60은, 데이타영역리스트(67)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타영역정보이다. 제 1 빈영역 리스트(68)에서의 부호 63과 64는 제 1 빈영역 리스트(68)에 등록되어 있는 빈영역 정보이고,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서의 부호 65는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정보이다.
이하, 실시예 1에서의 파일삭제처리의 동작을 제 3 도, 제 4 도 및 제 5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배치가 제 4 도에 나타낸 상태일 때, File 3의 삭제가 지시되면, 제 3 도에 나타내는 파일삭제처리가 기동된다.
제 3 도의 처리스텝 21에 있어서, 파일리스트(66)로부터 File 3이라는 파일명을 가지는 파일정보(53)에서의 File 3의 선두영역의 위치와 영역수의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제 4 도에 나타낸 File 3의 선두영역의 위치는 0b40c이므로, 제 3 도의 처리스텝 22에 있어서 데이타영역리스트(67)의 4번째 데이타영역정보(59)로부터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제 3 도의 판단스텝 23에서는 종료어드레스와 선두어드레스로부터 영역의 길이를 산출한 후, 최소영역길이와 비교한다. 최소영역길이란, 액세스시간을 고려한 실효전송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영역을 그 길이로 구별하고, 처리를 전환하기 위한 기준길이이다. 예를 들면, 최소영역길이가 500이라고 하면, 삭제해야할 영역의 길이는 1000이므로, 삭제해야할 영역의 길이가 최소영역길이보다 길다. 이 때문에, 처리스텝 25에 있어서 제 1 빈영역 리스트(68)에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그대로 등록한다. 이 결과,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영역정보(63),(64)가 기억된다.
또한, 제 3 도의 처리스텝 26에 있어서 데이타영역리스트(67)로부터 4번째의 데이타영역정보(59)를 삭제한 후, 제 5 도에 나타낸 데이타영역리스트(67)와 같이, 삭제에 의해서 발생한 빈 영역을 메우도록 5번째의 데이타영역정보를 앞에 채워넣는다.
다음에, 판단스텝 27에 있어서, File 3의 영역수로부터 1을 빼서 미처리된 영역수를 산출하고, File 3의 영역수에 대입함과 동시에, 미처리된 영역이 있는지를 판정한다. 미처리된 영역이 있으면 처리스텝 22로 되돌아가서 처리스텝 22으로부터 판단스텝 27까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번에 예시한 File 3의 영역수는 1이므로, 1을 빼면 0이 되어, 미처리된 영역은 없다. 이 때문에, 처리스텝 28에 있어서, File 3의 파일정보 53(제 4 도)를 삭제하고, 제 5 도의 파일리스트(66)와 같이 File 4의 파일정보(54)를 앞에 채워넣는다. 그리고, 각 파일에서의 선두영역의 위치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신된 데이타영역리스트(67)에 맞추어서 변경되고, File 3의 삭제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상술한 삭제처리에 있어서 이용한 최소영역길이의 계산방법을 제 6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 도는, 최소영역길이의 산출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자기디스크의 초기화시에 있어서 최소영역길이의 산출이 지시되면, 제 6 도에 나타낸 최소영역길이의 산출처리가 기동된다.
처리스텝 18에 있어서, 자기디스크장치(4)의 디스크특성리스트(9)로부터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를 취득한다. 이들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스텝 19에 있어서 최소영역길이가 산출되고, 처리스텝 20에 있어서 최소영역길이를 디스크특성리스트(9)에 기록한다.
처리스텝 19에서의 최소영역길이의 산출처리는, 자기디스크의 초기화시에 기동되어 디스크특성리스트(9)에 기록되고, 그 후는, 이 디스크특성리스트(9)에 기록된 최소영역길이가 참조된다.
이하, 처리스텝 19의 산출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최소영역길이를, 하기 식(1)을 충족시키는 데이타량 L의 최소치로서 구한다:
L / Vs ≥ T + L / Vd ··· (1).
식(1)에 있어서, Vs는 입력장치(5)(제 1 도)에 입력된 영상신호(12)를 양자화하는 신호처리속도, 또는 출력장치(6)에 있어서 양자화된 영상신호를 영상신호(12)로 변환하는 신호처리속도를 나타내고, Vd는 자기디스크장치(4)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를 나타내며, T는 헤드가 가장 바깥둘레로부터 가장 안둘레로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과 1회전대기시간의 합계인 자기디스크장치(4)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를 나타낸다.
식(1)에 있어서는, 최소영역길이를 산출할 때의 최대처리시간으로서 좌변에 나타내는 입력장치(5:제 1 도) 또는 출력장치(6)가 데이타량 L의 데이타를 처리하는 시간, 즉, 입력장치(5)로부터 자기디스크장치(4)로 또는 자기디스크장치(4)로부터 출력장치(6)로의 데이타량 L의 데이타전송에 요할 수 있는 최대의 시간을 사용하였다. 우변은, 자기디스크장치(4)의 헤드가 목적의 영역으로 이동하고, 회전대기하는 것에 요하는 액세스시간의 최대치와 데이타량 L의 데이타를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것에 요하는 시간의 합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식(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데이타량 L의 최소치인 최소영역길이이상의 길이의 연속영역에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나, 최소영역길이이상의 길이의 연속 빈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자기디스크장치(4)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시간이 항상, 최대처리시간을 밑돌기 때문에, 자기디스크장치(4)의 데이타의 입출력이 입력장치(5) 또는 출력장치(6)에서의 신호처리에 달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자기디스크장치(4)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 Vd와 헤드가 가장 바깥둘레로부터 가장 안둘레로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 T은, 자기디스크장치(4)에서의 고유치이므로, 사전에 측정하여, 그 측정결과를 자기디스크상의 특정한 영역에 기록해 둔다. 이 때문에, 자기디스크장치가 교환되어도, 새로운 자기디스크장치에 기억된 값을 이용함으로써, 그 자기디스크장치에 적합한 최소영역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1에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를 계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의 계측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자기디스크의 특정한 영역, 예를 들면 자기디스크상의 각 섹터에 할당한 번호인 논리블록어드레스가 0의 섹터로 헤드를 이동하여, 그 위치를 원점으로 한다.
다음에, 원점으로부터 그 밖의 섹터로의 이동지시를 발행하고, 동작완료동지를 수취할 때까지 기다린다. 지시발행시와 동작완료통지 취득시의 각 시간을 취득하고, 그 차로부터 액세스시간을 구한다. 이 동작을 원점의 섹터이외의 모든 섹터에 대하여 측정한 후, 액세스시간의 최대치를 구한다.
다음에,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의 계측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헤드를 측정하는 트랙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일정량의, 예를 들면 1섹터분의, 데이타를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지시를 발행하고, 그
처리시간을 측정한다. 이 동작을 몇 회 반복해서, 평균하여, 평균처리시간을 산출한다. 이 평균처리시간에는 회전대기의 시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평균처리시간으로부터 평균회전대기시간인 반바퀴회전하는데에 요하는 시간을 빼고, 기록 또는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기록 또는 판독출력한 데이타량으로부터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속도를 산출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을 각 트랙에 대하여 행하고, 최저의 속도를 구하고, 이 속도를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로 한다.
다음에, 실시예 1에서의 파일의 기억처리의 동작에 대하여 제 7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7 도는 실시예 1에서의 파일의 기록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배치가 상술한 제 5 도에 나타낸 상태일 때, 파일식별자를 File 5로서 데이타의 기억이 지시되면, 제 7 도에 나타낸 데이타기억처리가 기동된다.
제 7 도의 판단스텝 33에 있어서, File 5로서 기억되는 데이타가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영역길이가 짧은 빈 영역에 기억하여 좋은 데이타인지 아닌지가 판별된다.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에 기억해서 좋은 데이타이면, 판단스텝(35)에 있어서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이 판단스텝 35에 있어서,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그 빈 영역에 데이타가 기억된다. 한편,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제 1 빈 영역 리스트(68)의 빈 영역을 이용하기 위해서, 판단스텝 34으로 처리의 흐름을 바꾼다.
한편, 판단스텝 33에 있어서,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영역길이가 짧은 빈 영역에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아니라고 판별되고,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등록되어 있는 영역길이가 긴 빈 영역에 기억해야할 데이타라면, 판단스텝 34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조사된다.
예를 들면, File 5로서 기억되는 데이타가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기억해야할 데이타이고, 그 길이가 3000이라고 가정하면, 판단스텝 33으로부터 판단스텝 34으로 나아가고, 판단스텝 34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가가 조사된다. 그 결과,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으면, 처리스텝 36으로 나아간다.
처리스텝 36에 있어서는, 제 1 빈 영역리스트(68)의 선두의 빈 영역정보(63)로부터 빈 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처리스텝(38)에 있어서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빈 영역의 선두어드레스로부터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빈 영역정보(63)의 빈 영역의 길이는 1000이기 때문에,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2000 남은 상태에서 빈 영역정보(63)의 빈 영역이 없어지고, 기억처리는 중단된다.
제 7 도의 처리스텝 40에 있어서, 데이타를 기억시킨 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데이타영역리스트(67)에 데이타영역정보(61)로서 등록한다. 처리스텝 42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의 빈 영역정보(63)의 빈 영역이 데이타의 기억에 모두 사용되었으므로, 빈 영역정보(63)를 제 1 빈 영역리스트(68)로부터 삭제한다.
다음에, 판단스텝 44 에 있어서, 또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있는지 없는지가 판단된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는, 아직 기억해야할 데이타가 2000 남아있기 때문에, 판단스텝 34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데이타의 기억처리가 반복된다. 처리스텝 36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의 빈 영역정보(64)로부터 선두어드레스(10000)과 종료어드레스(100000)를 취득한다. 처리스텝 38에 있어서, 나머지 기억해야할 데이타를 선두어드레스가 10000인 영역에 기억한다.
처리스텝 40에 있어서 데이타영역리스트 67의 데이타영역정보 62로서 선두어드레스 10000, 종료어드레스 12000를 등록한다. 그리고, 처리스텝 42에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의 빈 영역정보(64)의 선두어드레스를 12001로 변경한다. 판단스텝 44에서는 기억해야할 데이타의 잔여의 유무가 판단된다. 상기 예시에서는 기억해야할 데이타의 잔여가 없으므로, 처리스텝 47에 있어서 파일리스트(66)에 파일정보(55)(File 5)를 등록하고, 파일기억처리는 종료한다. 그 결과, 제 8 도에 나타낸 기억구성의 데이타가 작성된다.
상기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파일전체를 삭제 또는 기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파일의 일부분을 삭제 또는 기존의 파일에 부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삭제처리, 기억처리할 수 있다. 또한, 데이타영역리스트, 제 1 빈영역 리스트 및 제 2 빈영역 리스트에서의 영역의 지정에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이용하였으나, 선두어드레스와 영역의 길이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자기디스크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록매체와 판독기록헤드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판독기록하는 기억장치이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속도측정시에, 1섹터분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하여 측정하였으나, 데이타량은 1섹터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섹터에 설정하면 좋다. 또한, 액세스시간의 측정시에 원점을 논리블록어드레스가 0의 위치의 섹터로 하였으나, 액세스시간의 최대치를 계측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를 원점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디스크특성리스트가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외부로부터 판독기록할 수 있으면 좋고,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2의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파일의 삭제처리만이 상술한 실시예 1과는 다르고, 다른 처리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이 파일의 삭제처리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파일의 삭제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10 도,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파일의 삭제처리에서의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 10 도,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있어서, 파일리스트(66), 데이타영역리스트(67), 제 1 빈 영역리스트(68), 제 2 빈 영역리스트(69) 및 각 리스트의 각 정보는 상술한 실시예 1의 설명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2의 최소영역길이는 상술한 실시예 1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500으로 가정한다.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배치가 제 10 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File 2의 삭제가 지시되면, 처리스텝 21(제 9 도)에 있어서, 파일리스트(66)에 등록되어 있는 File 2의 파일정보(52)로부터 File 2의 선두영역의 위치와 영역수를 취득한다.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리스트(66)에서의 File 2의 선두영역의 위치는 0b20c이므로, 처리스텝 22에 있어서 데이타영역리스트(67)의 2번째 데이타영역정보(57)로부터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이 데이타영역정보(57)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삭제영역으로 한다.
제 9 도의 판단스텝 29에 있어서, 취득한 삭제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와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의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삭제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제 10 도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삭제영역이 데이타영역정보(57)의 2001로부터 3000인 것에 대하여, 제 2 빈 영역리스트(69)의 빈 영역정보(65)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은 5801로부터 6000이다. 이 때문에, 제 2 빈 영역리스트 (69)에는 삭제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없고, 그대로 판단스텝 31로 나아간다.
판단스텝 31에 있어서는, 상기 판단스텝 29와 같은 조작으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삭제영역에 인접하는 빈 영역이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는 빈 영역정보(63)에 3001로부터 4000이 빈 영역으로서 등록되어 있으므로, 처리스텝 32에 있어서 삭제영역과 합성하여, 새롭게 2001로부터 4000을 삭제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빈 영역리스트(68)의 빈 영역정보(63)를 삭제한다. 새로운 삭제영역은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등록되어 있던 빈 영역과 합성하여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길이는 최소영역길이의 500보다 길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판단스텝 23을 통하지 않고, 처리스텝 25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선두어드레스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삭제영역을 빈 영역정보(63)로서 등록한다.
처리스텝 26에 있어서, 데이타영역리스트(67)로부터 데이타영역정보 (57)를 삭제하고, 데이타영역정보(58),(60)를 앞에 채워넣는다. 여기까지의 삭제처리에 의해서, 자기디스크내의 데이타의 개략배치는 제 1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다.
다음에, 판단스텝 27에 있어서, File 2의 영역수로부터 1을 빼면 나머지가 1이 되어, 삭제해야할 영역이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시 처리스텝 22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삭제처리를 계속한다. 다음의 삭제영역의 정보는 제 11 도에 나타내는 데이타영역리스트 (67)의 2번째 데이타영역정보(58)(선두어드레스 : 4001, 종료어드레스 : 5800)로부터 취득한다.
판단스텝 29에 있어서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삭제영역에 인접하는 빈 영역이 있는지 없는지가 조사된다. 빈 영역정보(65)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선두어드레스: 5801, 종료어드레스: 6000)이 삭제영역(선두어드레스: 4001, 종료어드레스: 5800 )에 인접하므로, 처리스텝 30에 있어서 삭제영역과 합성하여, 새롭게 4001로부터 6000을 삭제영역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빈 영역리스트(69)로부터 빈 영역정보(65)를 삭제한다. 빈 영역정보(65)로부터 뒤에 다른 빈 영역정보가 있으면, 그들을 앞에 채워넣는 처리를 행하는데, 상기 예에는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는 그 밖에 등록된 빈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앞에 채워넣는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판단스텝 31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삭제영역에 인접하는 빈 영역이 있는지 아닌지가 조사된다. 상기 예시에 있어서는, 빈 영역정보(63)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선두어드레스 : 2001, 종료어드레스 : 4000)이 삭제영역(선두어드레스 : 4001, 종료어드레스 : 6000)과 인접하므로, 처리스텝 32에 있어서 삭제영역과 합성하여, 새롭게 2001로부터 6000을 삭제영역으로 하고,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있어서 빈 영역정보(63)를 삭제한다. 새로운 삭제영역은 제 1 빈 영역리스트 (68)에 등록되어 있던 빈 영역과 합성하여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그 길이는 최소영역길이의 500보다 길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판단스텝 23을 통하지 않고, 처리스텝 25에 있어서 제 1 빈 영역리스트(68)에 새로운 삭제영역을 빈 영역정보(63)로서 등록한다.
처리스텝 26에 있어서는, 데이타영역리스트(67)로부터 데이타영역정보 (58)가 삭제되고, 데이타영역정보(60)를 앞에 채워넣는다.
판단스텝 27에 있어서, File 2의 영역수로부터 1을 빼면 0 이 되어, 삭제해야할 영역이 남아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처리스텝 28에 있어서 File 2의 파일정보(52)가 삭제되고, 파일정보(54)를 앞에 채워넣는다. File 4의 선두영역의 위치는 갱신된 데이타영역리스트에 맞추어서 변경되고, 그 결과, 제 12 도에 나타낸 데이타의 배치가 된다.
파일의 등록처리는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동작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의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파일전체를 삭제 또는 기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파일의 일부분을 삭제 또는 기존의 파일에 부가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데이타영역리스트, 제 1 및 제 2 빈 영역리스트에서의 영역의 지정에 선두어드레스와 종료어드레스를 이용하였으나, 선두어드레스와 영역의 길이로 지정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자기디스크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록매체와 판독기록헤드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판독기록하는 기억장치라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의 실시예 3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3 도는 실시예 3의 기억장치를 이용한 텔레비젼 수신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 13 도에 있어서, 영상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101a)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 또는 영상입력단자(19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영상신호를 디지탈의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음성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101b)는, 튜너 또는 음성입력단자(19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를 디지탈의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신호처리회로(2)는 디지탈의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음성신호처리회로(103)는 디지탈의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영상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a)는 디지탈의 영상신호를 아날로그의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b)는 디지탈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출력회로(105)는 CRT(107)에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음성출력회로(106)는 스피커(108)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기록·재생회로(109)는 디지탈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자기디스크장치(110)에 기록 또는 자기디스크장치(110)로부터 판독출력하는 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3의 텔레비젼 수신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영상입력단자(190)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영상신호와, 음성입력단자(19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의 음성신호는, 영상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101a) 및 음성신호용 아날로그·디지탈변환회로(101b)의 각각에 있어서 디지탈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영상신호처리회로(102) 및 음성신호처리회로(103)로 각각 송출된다.
영상신호처리회로(102)에 있어서는, 디지탈의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한 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기록·재생회로(109)로 송출하거나, 영상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a)로 송출하는 전환을 행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회로(102)는, 기록·재생회로(109)로부터 보내어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영상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a)로 송출하는 전환도 행한다.
음성신호처리회로(103)에 있어서는, 디지탈의 음성신호를 기록·재생회로(109)로 송출하거나, 또는, 음성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b)로 송출하는 전환을 행한다. 또한, 음성신호처리회로(103)는, 기록·재생회로(109)로부터 보내어진 음성신호를 음성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b)로 송출한다.
영상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104a)는, 디지탈의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영상출력회로(105)로 보내고, CRT(107)에 의해서 영상이 재생된다. 음성신호용 디지탈·아날로그변환회로(104b)는, 디지탈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출력회로(106)로 보내고, 스피커(108)에 의해서 음성이 재생된다.
기록·재생회로(109)는, 영상신호처리회로(102)로부터 보내어진 휘도신호와 색차신호와, 음성신호처리회로(103)로부터 보내어진 음성신호를 자기디스크장치(110)에 데이타로서 기록한다. 또한, 기록·재생회로(109)는 자기디스크장치(11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판독출력하고, 휘도신호와 색차신호를 영상신호처리회로(102)로 보내고, 음성신호를 음성신회처리회로(103)로 송출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해서, 자기디스크장치(110)에 영상이나 음성을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신기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텔레비젼 수신기에서의 기억장치인 자기디스크장치(110)의 동작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제 14 도, 제 15 도 및 제 16 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4 도는 실시예 3의 기억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 14 도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는 RAM의 일부영역을 사용하여 외부 코멘드·인터페이스로부터 보내어지는 지시를 그 지시가 실행될 때까지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여유시간 추정부(112)는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실행에 필요한 시간과 사전에 설정된 제한시간으로부터 여유시간을 추정한다. 결함영역테이블(113)은 불휘발성 RAM의 일부영역을 사용하여 이용불가능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기억한다. 데이타·버퍼(114)는 RAM의 일부의 영역을 사용하여 외부데이타·인터페이스와 데이타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이다. 기록·판독출력부(115)는 코멘드 큐(111)의 지시에 따라서 데이타·버퍼(114)와 데이타의 교환을 행하고, 자기디스크장치(110)에 대하여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한다. 에러처리방법 선택부(116)는 기록·판독출력부(115)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여유시간추정부(112)에서 추정된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한다. 에러처리부(117)는 에러처리방법 선택부(116)에 있어서 선택된 에러처리를 실행한다.
외부 코멘드·인터페이스 및 외부데이타·인터페이스는, 기록·재생회로(109)에 접속되어 있고, 기록재생회로(109)로부터 지시를 받고, 데이타를 입출력한다.
제 15 도는 코멘드 큐(111)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부호 137,138,139 및 140은, 각 지시를 나타낸다.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멘드 큐(111)는,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는 0bread0c 또는 0bwrite0c의 기호와, 처리를 행하는 선두섹터의 논리블록어드레스와, 처리를 행하는 섹터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6 도는 실시예 3에서의 기록·판독출력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16 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 중에서 실행하고 있는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실행처리는,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물리적인 조건을 바꾸면서, 반복실행하고,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할 수 있는 조건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재실행의 최대회수가 10회라고 하면, 1,2회째의 재실행처리는 최초와 동일동작조건으로 행하고, 3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를 안둘레측에 기준위치로부터 트랙간격의 10%이동하여 행한다. 또한, 4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를 바깥둘레측에 기준위치로부터 트랙간격의 10%이동하여 행하고, 5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를 안둘레측에 기준위치로부터 트랙간격의 15%이동하여 행하고, 6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를 바깥둘레측에 기준위치로부터 트랙간격의 15%이동하여 행한다. 7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로 흐르게 하는 바이어스전류를 기준치보다 1단계 증가하여 행하고, 8회째의 재실행처리는 헤드로 흐렉 하는 바이어스전류를 기준치로보다 1단계 감소하여 행한다. 9,10회째의 재실행처리에서는 헤드를 최초의 동작조건으로 복귀시켜 행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3에서의 재실행처리는, 각 회마다 정해진 순서로 헤드의 위치나 회로의 패러미터를 변경하여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하는 것이다.
다음에 교체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디스크의 기억영역의 단위인 섹터에 대하여는, 외부의 제어장치가 이용하는 논리적인 영역번호인 논리블록어드레스와, 자기디스크장치(110)내부에서 이용되는 몇 매째의 자기디스크의 어느쪽 면의 가장 바깥둘레로부터 몇 번째의 트랙의 몇 번째의 섹터라는 자기디스크상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물리어드레스의 2개의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자기디스크장치(110)내부에서는, 외부로부터 지시된 논리블록어드레스를, 자기디스크장치(110)내부에 있는 논리블록어드레스로부터 물리어드레스로의 변환테이블에 의해서, 물리어드레스로 변환하여, 데이타의 기록이나 판독출력을 행하는 섹터에 헤드를 이동시키고 있다.
교체처리란, 이 헤드동작처리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영역에 지금까지 부착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를 사전에 교체처리용에 확보되어 있던 섹터의 물리어드레스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 교체처리에 있어서, 변환테이블을 재기록함으로써, 그 논리블록어드레스가 에러가 발생해 있지 않은 섹터로 치환된다. 이와 같이 교체처리를 행함으로써, 외부의 제어장치는 어느 논리블록어드레스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의식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제 16 도를 이용하여 기록·판독출력처리, 특히 에러처리선택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3의 기억장치에 자기디스크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지시되면, 제 14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지시의 내용은 코멘드 큐(111)에 일단 기록된다. 기록·판독출력부(115)는 코멘드 큐(111)에 기록된 지시, 예를 들면 지시 137(제 15 도)의 정보를 취득하여, 기록·판독출력처리를 기동한다.
제 16 도에 나타낸 기록·판독출력처리에 있어서, 처리스텝 118에 잇어서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하고, 판단스텝 119에 있어서 에러발생의 유무를 판단한다. 판단스텝 119에 있어서, 에러발생이 없다고 판단되면, 기록·판독출력처리는 종료한다.
판단스텝 119에 있어서, 에러발생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처리스텝 120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지시, 예를 들면 지시 137, 138,139, 및 140을 실행하는데에 요하는 시간을 추정하여, 기록·판독출력처리를 행하지 않는 여유시간 t을 산출한다.
다음에, 처리스텝 120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를 실행한 경우의 여유시간 t의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유시간 t은, 하기 식(2)에 의해서 산출된다. 여기에서는, 각 지시의 실행시간을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데이타의 양의 비례식으로 근사해 있다. 식 (2)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각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데이타의 양을 Li, 기록·판독출력부(115)에 있어서 단위시간에 기록 또는 판독출력되는 신호의 양을 V, 사전에 설정된 제한시간을 T로 하였다:
t = T - (Σ Li) / V ····· (2).
이 식에 있어서, Σ는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코멘드에 대한 합을 취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코멘드 큐(111)에 지시 137, 138, 139, 및 140 의 4개의 지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1섹터는 512바이트이고, 단위시간에 기록 또는 판독출력되는 신호의 양 V을 4,000,000바이트/초, 제한시간 T을 200밀리 초로 하면, 여유시간 t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t = 0.2 - (100 × 512) × 4 / 4,000,000
= 0.2 - 0.0512 (초)
= 0.1488 (초) ····· (3).
다음에, 제 16 도의 플로우챠트로 되돌아가서 기록·판독출력처리에서의 에러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단스텝 121에서는, 추정된 여유시간 t과 가장 처리시간이 긴 에러처리방법의 실행에 요하는 에러처리시간 T2을 비교한다. 여유시간 t이 가장 긴 에러처리시간 T2보다 짧으면 판단스텝 122에 있어서, 또 여유시간 t과 2번째로 처리시간이 긴 에러처리방법의 실행에 요하는 에러처리시간 T1을 비교한다. 여유시간 t이 2번째로 긴 에러처리시간 T1보다 짧으면 에러처리를 하는 여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처리스텝 127에 있어서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완료하지 않은 것을 상위의 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종료한다.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1과 같거나 또는 길면, 처리스텝 123에 있어서 에러처리로서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재실행처리를 행한다.
재실행처리의 결과는 판단스텝 124에 있어서 체크되고, 에러발생이 없으면 이 플로우는 종료한다. 판단스텝 124에 있어서, 에러발생이 있는 경우에는, 처리스텝 125에 있어서 재실행회수를 카운트한 후, 판단스텝 126에 있어서 카운트한 재실행회수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지 않는가를 판단한다. 판단스텝 126에 있어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지 않으면 처리스텝 123으로 되돌아가서 재실행처리를 행한다. 판단스텝 126에 있어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에러회복불가능이라고 판단하여, 처리스텝 127에 있어서, 상위의 제어장치에 에러발생을 통지하고, 이 흐름을 종료한다.
한편, 판단스텝 121에 있어서, 여유시간 t가 에러처리시간 T2와 동등하거나 또는 길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에러처리로서, 먼저 처리스텝 128에 있어서 기록 또는 판독출력의 재실행처리를 행한다. 이 재실행처리의 결과는 판단스텝 129에 있어서 체크된다. 판단스텝 129에 있어서, 에러발생이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스텝 130에 있어서 재실행회수를 카운트한 후, 판단스텝 131에 있어서 카운트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어 있지 않는가를 판단한다.
판단스텝 131에 있어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지 않으면, 처리스텝 128로 되돌아가서 재실행처리를 행한다. 판단스텝 131에 있어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판단스켑 132에 있어서 지시동작이 기록인지 또는 판독출력인지의 판단을 행한다. 지시동작이 판독출력이면 판독출력이 불가능하다고 하여, 상위의 제어장치에 그 뜻을 통지한다. 또한, 지시동작이 기록이면 처리스텝 133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섹터의 논리블록어드레스를 다른 섹터에 할당하는 교체처리를 실시한다.
판단스텝 134에 있어서, 처리스텝 133에서의 교체논리에서의 에러의 유무를 판정하고, 에러발생이 있으면 처리스텝 133을 반복해서 행하고, 에러발생이 없으면 이 흐름을 종료한다.
판단스텝 129에 있어서 에러발생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판단스텝 135에 있어서 지시동작이 기록인지 또는 판독출력인지를 판단한다. 판단스텝 135에 있어서, 지시동작이 기록이면, 이 흐름은 종료한다. 한편, 지시동작이 판독출력이면, 판독스텝 136에 있어서 재실행회수가 사전에 정해진 기준재실행회수를 넘지 않은가가 판단된다.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기준재실행회수를 넘지 않는 경우에는, 그대로 이 흐름은 종료한다.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기준재실행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장래 그 섹터가 판독출력이 불가능하게 되어 데이타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처리스텝 133에 있어서 교체처리를 행한다. 이 교체처리이후의 흐름은, 상술한 기록시의 교체처리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제 16 도에 나타낸 에러처리흐름의 판단스텝 121, 122에 있어서 이용된 에러처리시간 T1 및 T2 값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에러처리의 조건으로서, 지시의 재실행 1회에 요하는 시간을 10밀리 초, 교체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50밀리 초, 재실행의 중지를 판단하기 위한 최대재실행회수를 10회로 한다.
에러처리시간 T1은, 에러처리로서 재실행처리만 행하거나, 또는 아무적도 행하지 않는 판정기준이다. 따라서, 에러처리시간 T1은, 재실행처리를 최대회수까지 행한 경우에 필요한 시간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1 = (재실행시간) × 10
= 10밀리 초 × 10
= 100밀리 초 ····· (4).
에러처리시간 T2은 에러처리로서 재실행과 교체처리를 행하는가의 판단기준이다.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에러처리시간 T2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2 = (재실행시간) × 10 + (교체처리시간)
= 10밀리 초 × 10 + 50밀리 초
= 150밀리 초 ····· (5).
가 된다.
상술한 제 15 도에 나타낸 코멘드 큐에 137, 138, 139 및 140의 4개의 지시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식(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유시간 t이 148.8밀리 초였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재실행처리만을 행하는 에러처리방법이 선택된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에러처리방법으로서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를 나타내고, 「에러처리없음」, 「재실행처리만」,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의 3가지 중에서 선택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에 3에서의 에러처리방법이나 선택가지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유시간 t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실시예 3과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코멘드 큐의 구조로서 지시동작과 선두섹터의 논리블록어드레서와 섹터수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억장치에서의 코멘드큐는 처리내용을 나타내는 구성이면 좋고, 상기 실시예 3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여유시간 t의 계산방법은, 제한시간과 지시의 처리시간과의 차를 추정할 수 있으면 좋고, 상술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설명에 이용한 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결함영역테이블이, 불휘발성 RAM에 기록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전원을 끊어도 데이타가 사라지지 않는 기록재생장치이면 좋고, 디스크상에 기록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는 기억장치의 일예로서 자기디스크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기억장치이면 좋고, 광자기디스크의 기억장치이어도 좋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의 실시예 4를 첨부한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7 도는 실시예 4의 기억장치에서의 기록·판독출력에서의 에러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18 도는 실시예 4에서의 코멘드큐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이다.
코멘드 큐의 구조를 나타낸 제 18 도에 있어서, 지시 146, 147, 148 및 149는 지시의 구체적인 일예로, 각각의 지시는 0bread0c 또는 0bwrite0c의 동작을 나타내는 기호와, 처리를 행하는 선두섹터의 논리블록어드레스와, 처리를 행하는 섹터수와, 에러처리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제 17 도의 플로우챠트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4의 기억장치는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지시되면, 기록·판독출력처리를 기동하고, 처리스텝 118에 있어서 데이타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한다. 판단스텝 119에 있어서는, 에러발생의 유무가 판단되고, 에러발생이 없으면 기록·판독출력처리는 종료한다. 에러발생이 있는 경우에는, 에러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처리스텝 141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지시, 예를 들면 지시 146, 147, 148 및 149의 실행에 요하는 시간을 추정하고, 기록·판독출력처리를 행하지 않는 여유시간 t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처리스텝 141에 있어서,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를 실행한 경우의 여유시간 t의 추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각 지시로 지정되어 있는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데이타의 양을 Li, 기록·판독출력부(115)에서 단위시간에 기록 또는 판독출력되는 신호의 양을 V, 각 지시가 기록 또는 판독출력하는 영역간을 헤드가 이동하기 위해서 요하는 시간을 Tmi, 사전에 설정된 제한시간을 T로 하였을 때, 여유시간 t은, 다음 식(6)에 의해서 산출된다:
t = T - (Σ Li) / V - Σ Tmi ····· (6).
이 식(6)에 있어서, Σ는 코멘드 큐(111)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지시에 대하여 합을 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코멘드 큐(111)에 지시 146,147,148 및 149의 4개의 지시가 기록되어 있고, 1섹터가 512바이트이고, 단위시간에 기록 또는 판독출력되는 신호의 양 V이 4,000,000바이트/초이고, 헤드의 이동시간 Tmi이 영역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15밀리 초이고, 제한시간 T을 200밀리 초로 하면, 여유시간 t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 = 0.2 - (100 × 512) × 4 / 4,000,000 - 0.015 × 4
= 0.2 - 0.0512 - 0.06
= 0.0888 (초) ····· (7).
가 된다.
다음에, 제 17 도의 실시예 4의 플로우챠트로 되돌아와서 기록·판독출력처리에서의 에러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단스텝 142에 있어서, 지시에 설정되어 있는 에러처리레벨의 값에 의해서, 그 후의 처리가 전환된다.
지시의 에러처리레벨이 1이면, 처리스텝 128로부터 판단스텝 136까지의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를 행한다. 처리스텝 128로부터 판단스텝 136까지의 재실행처리 및 교체처리의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 3의 제 16 도에 나타낸 처리스텝 128로부터 판단스텝 136까지 처리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지시의 에러처리레벨이 2이면, 판단스텝 143에 있어서, 추정된 여유시간 t과 가장 에러처리시간이 긴 에러처리방법의 실행에 요하는 시간 T2을 비교하고,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2과 동등하거나 또는 길면, 처리스텝 128로부터 판단스텝 136까지의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를 한다. 한편,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2보다 짧으면, 처리스텝 123으로부터 판단스텝 127까지의 재실행처리만을 행한다. 처리스텝 123으로부터 판단스텝 127까지의 재실행처리의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 3의 처리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지시의 에러처리레벨이 3이면, 판단스텝 144에 있어서, 추정되는 여유시간 t과 가장 처리시간이 긴 에러처리방법의 실행에 요하는 시간 T2를 비교한다.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2과 동등하거나 또는 길면, 처리스텝 128로부터 판단스텝 136까지의 재실행처리와 교체처리를 행한다.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2보다 짧으면, 또 판단스텝 145에 있어서, 추정된 여유시간 t과 2번째로 처리시간이 긴 에러처리방법의 실행에 요하는 시간 T1을 비교한다. 여유시간 t이 시간 T1보다 짧으면, 처리스텝 127에 있어서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완료하지 않은 것을 상위의 제어장치에 통지하고, 이 흐름은 종료한다.
판단스텝 145에 있어서, 여유시간 t이 에러처리시간 T1과 동등하거나 또는 길면 처리스텝 123으로부터 판단스텝 127까지의 재실행처리만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사전에 각 지시마다 필요한 에러처리레벨을 설정하고,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 t이 충분히 없으면, 사전에 설정된 에러처리레벨에 대응하는 에러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여유시간 t이 충분하면, 보다 처리시간이 필요한 에러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타의 속성에 의해서 다른 신뢰성과 처리의 고속성에 대한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에러처리에 시간적인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에러처리레벨로부터 처리시간은 걸리나 신뢰성이 높은 에러처리에 동적으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기억장치의 실시예 5를 첨부한 제 19 도로부터 제 2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9 도는 에러회복처리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실시예 5의 기억장치의개략구성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 19 도에 있어서, 코멘드 큐(150)는 외부코멘드·인터페이스로부터 보내어지는 코멘드를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여유시간 추정부(151)는 코멘드 큐(150)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과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제한시간으로부터 여유시간을 추정한다. 데이타·버퍼(152)는, 외부데이타·인터페이스와 데이타의 교환을 행하기 위해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가진다. 기록·판독출력부(153)는 코멘드 큐(150)의 지시에 따라서 기록매체에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행한다. 결함영역테이블(155)은 이용불가능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기억한다.
가결함영역테이블(157)은, 기록 또는 판독출력시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교체처리부(156)는 기록·판독출력부(153)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타,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영역에 기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영역을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등록한다. 가결함영역 체크부(154)는, 여유시간 추정부(151)에 있어서 추정된 여유시간이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되어 있는 영역을 사용불가능한 영역인가를 체크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이면 체크를 실행한다. 가결함영역 체크부(154)가 사용불가능한 영역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결함영역 테이블(155)에 그 데이타를 기록하고, 사용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가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그 영역에 관한 데이타를 삭제한다.
제 19 도에 나타낸 기억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멘드 큐(150)에 기록된 지시가 기록·판독출력부(153)에 의해서 판독되고, 판독된 지시가 기억이면, 데이타 ·버퍼(152)에 기록된 데이타를 디스크상에 기록한다. 또한, 코멘드 큐(150)에 기록된 지시가 판독출력의 지시이면, 디스크상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출력하여 데이타·버퍼(152)에 기록한다. 기록 또는 판독출력시에 에러가 발생하면, 기록·판독출력부(153)는, 바로 교체처리부(156)의 교체처리를 기동한다.
교체처리부(156)는 가결함영역테이블(157)에 에러가 발생한 섹터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교체처리를 실시하여 교체섹터에 데이타를 기록한 후, 기록·판독출력부(153)에 지시처리의 계속을 지시한다. 기록·판독출력부(153)는 지시처리가 완료하면 가결함영역 체크부(154)를 기동한다. 가결함영역 체크부(154)는 여유시간 추정부(151)로부터 추정한 여유시간을 취득하고, 그 여유시간이 가결함영역체크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충분한 시간인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을 행한 후,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되어 있는 섹터가 이용불가능한 섹터를 체크한다. 그 섹터가 사용불가능한 영역이면 결함영역테이블(155)에 기록한다. 한편,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되어 있는 섹터가 사용가능한 영역이면, 교체처리용의 영역에 교체처리되어 있던 섹터의 데이타를 사용가능하다고 판단된 섹터에 복사하여, 논리블록어드레스를 다시 할당한다.
제 20 도는 가결함영역테이블(157)의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0 도에 있어서, 데이타(161)는 에러가 발생한 영역을 나타낸 예이고, 에러발생시에 할당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와 디스크상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낸 물리어드레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5에 있어서는, 가결함영역테이블(157)의 구조는 논리블록어드레스와 물리어드레스에 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어드레스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역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데이타와 교체처리되기 전의 논리적인 위치데이타가 포함되어 있으면 좋고, 본 발명은 실시예 5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1 도는,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교체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21 도를 이용하여 실시예 5의 교체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기록·판독출력부(153)(제 19 도)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교체처리가 기동되고, 처리스텝 158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섹터의 논리블록어드레스와 물리어드레스를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한다. 논리블록어드레스와 물리어드레스를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한 후, 처리스텝 159에 있어서, 교체처리용 영역으로서 사전에 확보되어 있는 미사용의 교체섹터에 에러가 발생한 섹터에 할당되어 있던 논리블록어드레스를 할당한다.
처리스텝 160에 있어서, 데이타를 새로운 논리블록어드레스의 교체섹터에 기록한다.
판단스텝 161에 있어서, 교체섹터로의 기록에 있어서 에러발생의 유무를 확인하고, 에러가 없으면, 이 교체처리는 종료한다. 에러가 있던 경우에는, 처리스텝 162에 있어서, 기록처리의 재실행회수를 카운트한다. 다음에, 판단스텝 163에 있어서,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재실행회수보다 작으면, 기록처리를 재실행한다. 현재의 재실행회수가 최대재실행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처리스텝 158로 되돌아가서 다른 교체섹터에 교체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실시예 5의 가결함영역체크처리의 흐름을 제 22 도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22 도는,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있어서 이용되는 가결함영역체크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가결함영역체크처리가 지시되면, 판별스텝 164에 있어서 가결함영역 테이블 157(제 19 도)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에러영역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가결함영역 체크처리는 종료한다. 가결함영역 테이블(157)에 에러영역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스텝 165에 있어서 코멘드 큐(150)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의 처리시간을 추정하고, 기록·판독출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여유시간 t을 산출한다.
판단스텝 166에 있어서는, 산출된 여유시간 t과 체크에 요하는 시간 T를 비교한다. 여유시간 t이 체크시간 T보다 짧으면, 가결함영역 체크처리를 행하는 시간이 없다고 판단하고, 가결함영역 체크처리는 종료한다. 여유시간 t이 체크시간 T과 동등하거나 또는 길면, 처리스텝 167에 있어서 가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데이타, 예를 들면 제 20 도에 나타낸 데이타(161)을 취득한다.
처리스텝 168에 있어서, 가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취득한 에러가 발생한 영역, 예를 들면 물리어드레스 010040021에 테스트데이타를 기록한다. 판별스텝 169에 있어서, 테스트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어떤지를 확인한다. 테스트데이타에 에러가 없으면, 처리스텝 170에 있어서, 기록한 데이타를 판독출력한다. 판별스텝 171에 있어서 판독출력시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처리스텝 172에 있어서 기록한 테스트 데이타와 판독출력한 테스트 데이타의 조합을 행한다.
판별스텝 173에 있어서, 기록한 테스트 데이타와 판독출력한 테스트데이타가 일치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일치한 경우에는, 처리스텝 174에 있어서, 교체처리를 해제하고, 예를 들면, 논리블록어드레스 5000가 할당된 교체섹터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타를, 물리어드레스 010040021에 복사한다. 그리고, 물리어드레스 010040021에 논리블록어드레스 5000을 할당한 후, 처리스텝 175에 있어서 가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교체섹터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타를 삭제하고, 판별스텝 164로 되돌아간다.
판별스텝 173에 있어서, 기록한 테스트데이타와 판독출력한 테스트데이타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스텝 178에 있어서, 결함영역테이블(155)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데이타를 기록한 후, 처리스텝 175로 나아간다.
판별스텝 169에 있어서, 테스트데이타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처리스텝 179에 있어서 재실행회수를 카운트한다. 판별스텝 180에 있어서, 현재의 카운트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지 않는지를 판별한다. 현재의 카운트가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지 않으면, 처리스텝 168로 되돌아가서 테스트 데이타의 기록을 행한다. 현재의 카운트가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은 경우에는, 처리스텝 178에 있어서 결함영역 테이블(155)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테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판별스텝 171에서 판독출력시에 에러발생을 확인한 경우에는, 처리스텝 176에 있어서, 재실행회수를 카운트한다. 판별스텝 177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지 않는지를 판별하고, 넘지 않으면 처리스텝 170으로 되돌아가서 테스트 데이타의 판독출력을 행한다. 판별스텝 177에 있어서 현재의 카운트가 최대 재실행회수를 넘었다고 판별되면, 처리스텝 178에 있어서 결함영역테이블(155)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상기 실시예 1의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빈 영역의 길이와 최소영역길이를 영역길이 비교수단에 의해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빈영역을, 제 1 빈영역 리스트 또는 제 2 빈영역 리스트에 등록한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의하면, 데이타의 판독기록에 요구되는 속도에 따라서, 영역길이가 긴 빈영역과 짧은 빈영역을 잘 분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실시예 1의 기억장치는, 기억영역의 최소영역길이를, 빈영역 또는 기억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기억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기억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의 합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최대처리시간이하가 되는 최소의 데이타량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의하면,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이나 기록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이 다른 기억매체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최소영역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기억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기억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억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계측하여 기억함으로써, 기록판독출력시간이 다른 기억매체로 교환하여도 자동적으로 가장 적절한 최소영역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빈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제 1 빈 영역리스트 또는 제 2 빈 영역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중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빈 영역이 존재하면, 빈 영역을 인접하는 빈 영역과 통합하여 새로운 연속한 빈 영역으로 하고, 새로운 연속한 빈 영역의 길이를 최소영역길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제 1 빈 영역리스트 또는 제 2 빈 영역리스트에 등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2의 기억장치에 있어서는, 연속한 영역이 복수개의 소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빈 영역으로서 관리되는 일이 없어지고, 빈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3 에 있어서는, 지시처리에 필요한 시간과 제한시간과의 차인 여유시간 t에 따라서 에러처리를 전환함으로써,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에러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제한하고, 에러처리에 의한 기록·판독출력처리의 지연을 삭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4에서의 에러회복처리방법은,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사전에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마다 지정된 동작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의 모든 또는 일부의 에러처리방법을 상기 추정한 여유시간에 따라서 선택하여 실행함으로써, 기록 또는 판독출력되는 데이타에 요구되는 최저한의 신뢰성을 보증하고, 또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에러가 발생한 영역을 일시적으로 결함영역으로서 가결함영역 테이블에 등록하여 교체처리를 행하고, 기록·판독출력처리를 계속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에러처리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의하면, 가결함영역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영역의 체크를 행함으로써, 기록 또는 판독출력이 어떠한 원인으로 할 수 없게 된 영역인지, 또는, 기록 또는 판독출력을 하려고 하였을 때의 헤드의 위치나 타이밍의 어긋남 등의 일시적인 원인에 의해서 에러가 된 것인가를 판정함으로써, 일시적 원인에 의한 결함영역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코멘드·큐에 기록되어 있는 지시의 처리시간을 추정하고, 추정한 처리시간으로부터 산출한 여유시간 t이 체크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긴 경우에, 가결함영역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영역의 체크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5의 에러회복처리방법을 가지는 기억장치는, 체크에 의한 기록·판독출력처리의 지연을 삭감할 수 있고, 실시간동작에 대응가능한 에러처리기능을 가진다.

Claims (22)

  1. 일련의 데이타군으로 구성되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파일리스트(66)와,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타군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데이타영역리스트(67)와,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2 빈 영역리스트(69)를 관리하는 기록영역관리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서의 빈 영역의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하는 영역길이 비교공정과;
    상기 영역길이 비교공정에 있어서 상기 빈 영역과 상기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를,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과의 합이,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최대처리시간이하가 된다는 관계를 충족시키는 상기 기록영역의 영역길이를 최소영역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
  3. 일련의 데이타군으로 구성되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파일리스트(66)와,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타군이 기억되어 있는 여러개의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데이타영역리스트(67)와,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2 빈 영역리스트(69)를 관리하는 기록영역관리방법으로서:
    빈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중에 존재하는가를 판정하는 인접영역판정공정과;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서 인접하는 빈 영역이 존재하면, 이 빈 영역을 상기 인접하는 빈 영역과 통합하여 새로운 연속된 빈 영역으로 하고, 상기 인접하는 빈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로부터 삭제하는 공정과;
    빈 영역의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하는 영역길이 비교공정과;
    상기 새로운 연속된 빈 영역의 길이를 상기 영역길이 비교공정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영역 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등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의 합이,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최대처리시간이하가 된다는 관계를 충족시키는 상기 등록영역의 영역길이를 최소영역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록영역관리방법.
  5. 일련의 데이타군으로 구성되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파일리스트(66)와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타군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데이타영역리스트(67)와,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2 빈 영역리스트(69)를 가지는 관리정보(10)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서의 빈 영역의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하는 영역길이 비교수단과;
    상기 영역길이 비교수단에서의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과의 합이,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최대처리시간이하가 된다는 관계를 충족시키는 상기 기록영역의 영역길이를 최소영역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계측된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8. 일련의 데이타군으로 구성되는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파일리스트(66)와, 상기 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데이타군이 기억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데이타영역리스트(67)와,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빈 영역의 위치정보의 리스트인 제 2 빈 영역리스트(69)로 구성되는 관리정보(10)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와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서의 빈 영역의 길이와, 사전에 설정된 최소영역길이를 비교하는 영역길이 비교수단과;
    빈 영역에 인접하는 영역이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되어 있는 빈 영역중에 존재하는가를 판정하는 인접영역판정수단과;
    상기 인접영역판정수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빈 영역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빈 영역을 상기 인접하는 빈 영역과 통합하여 새로운 연속한 빈 영역으로 하고, 상기 인접하는 빈 영역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새로운 연속한 빈 영역의 길이를 상기 영역길이 비교수단으로 상기 최소영역길이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 1 빈 영역리스트(68) 또는 상기 제 2 빈 영역리스트(69)에 등록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과의 합이,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최대처리시간이하가 된다는 관계를 충족시키는 상기 기록영역의 영역길이를 최소영역길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빈 영역 또는 파일을 구성하는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계측된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액세스에 요하는 시간의 최대치와, 상기 기록영역으로의 데이타의 기록 또는 상기 기록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에 요하는 시간을 기억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11. 복수개의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공정(111)과;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공정(115)과;
    데이타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공정(112)과;
    에러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추정한 상기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하여 실행하는 공정 (116 , 1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회복 처리방법.
  12. 복수개의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공정(111)과;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공정(115)과;
    데이타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공정(112)과;
    에러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사전에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마다 추정된 동작을 고려하고, 상기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의 모든 또는 일부의 에러처리방법을 추정한 상기 여유시간에 따라서 선택하여 실행하는 공정(116, 1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회복 처리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그 영역에 기록하는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교체처리(156)를 행한 후에,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에 기록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정(154)하고, 이용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제 2 결함영역테이블(155)에 기록하고, 이용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함영역테이블로부터 이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삭제하고, 이후 이 영역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에러처리방법을 가지는 에러회복처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제 1 결함영역테이블(157)에 기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그 영역에 기록하는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교체처리(156)를 행한 후에, 상기 제 1 결함영역데이블(157)에 기록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정(154)하고, 이용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그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제 2 결함영역 테이블(155)에 기록하고, 이용가능하다록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이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삭제하고, 이후 이 영역을 이용가능하도록 하는 에러처리방법을 가지는 에러회복 처리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제 1 결함영역테이블(157)에 기록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의 추정(151)을 행하고, 상기 여유시간이 상기 판정의 실시에 충분한 시간인 경우에 상기 판정(154)을 실행하는 에러회복 처리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의 판정(151)을 행하고, 상기 여유시간이 상기 판정의 실시에 충분한 시간인 경우에 상기 판정(154)을 실행하는 에러회복 처리방법.
  17. 복수개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요구축적수단(111)과;
    상기 요구축적수단(111)에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판독출력수단(115)과;
    상기 요구축적수단(111)에 축적된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여유시간 추정수단(112)과;
    상기 기록판독 출력수단(115)에서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상기 여유시간추정수단(112)에 있어서 추정한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한 에러처리 실행수단(116),(1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18. 복수개의 기록 또는 판독출력요구를 축적하는 요구축적수단(111)과;
    상기 요구축적수단(111)에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에 따라서, 기록매체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출력 또는 기록매체로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기록판독 출력수단(115)과;
    상기 요구축적수단(111)에 축적된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에러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을 추정하는 여유시간 추정수단(112)과;
    상기 기록판독 출력수단에서의 판독출력에러 또는 기록에러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다른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을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한 에러처리 실행수단(117)과;
    상기 에러처리 실행수단이 실행가능한 복수개의 에러처리방법으로부터 상기 여유시간 추정수단(112)에 있어서 추정된 여유시간에 따라서 에러처리방법을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마다 선택하는 에러처리방법 선택수단(1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결함영역의 위치데이타를 기록하는 제 1 결함영역테이블(157)과 제 2 결함영역테이블(155)을 가지는 결함영역기록수단과, 결함영역판별수단(154)을 구비하며,
    상기 결함영역판별수단(154)이, 기록 또는 판독출력할 때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상기 제 1 결함영역테이블(157)에 기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이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타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교체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억된 이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용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상기 제 2 결함영역 테이블(155)에 기록하고, 이용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함영역테이블(157)로부터 삭제하여 그 영역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기억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결함영역의 위치데이타를 기록하는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과 제 2 결함영역 테이블(155)을 가지는 결함영역 기록수단과, 결함영역 판별수단(154)을 구비하며,
    상기 결함영역 판별수단(154)이, 기록 또는 판독출력할 때에 에러가 발생한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록하고, 에러가 발생한 이 영역에 기록하는 데이타 또는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교체처리를 행한 후,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억된 그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용불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 영역의 위치데이타를 상기 제 2 결함영역테이블(155)에 기록하고, 이용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로부터 삭제하여 그 영역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기억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여유시간 추정수단(151)이,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등록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의 추정을 행하고, 상기 여유시간이 상기 판정의 실시에 충분한 시간이 경우에 상기 판정을 실행하는 기억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여유시간 추정수단(151)이, 기록요구 또는 판독출력요구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으로부터, 제 1 결함영역 테이블(157)에 기억된 영역이 이용불가능한 영역인지 아닌지의 판정에 이용할 수 있는 여유시간의 추정을 행하고, 상기 여유시간이 상기 판정의 실시에 충분한 시간인 경우에 상기 판정을 실행하는 기억장치.
KR1019970008665A 1996-03-14 1997-03-14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KR100257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57483A JPH09251407A (ja) 1996-03-14 1996-03-14 記憶領域管理方法及び記憶装置
JP96-57483 1996-03-14
JP96-281120 1996-10-23
JP28112096A JP3351965B2 (ja) 1996-10-23 1996-10-23 欠陥領域管理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51A true KR19980032051A (ko) 1998-07-25
KR100257303B1 KR100257303B1 (ko) 2000-05-15

Family

ID=2639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65A KR100257303B1 (ko) 1996-03-14 1997-03-14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72905A (ko)
EP (2) EP0795813B1 (ko)
KR (1) KR100257303B1 (ko)
DE (1) DE6972299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7982B2 (en) * 1997-05-30 2004-03-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image data
US6029179A (en) * 1997-12-18 2000-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read-only volume processing in a virtual tape server
US6029259A (en) * 1998-06-15 2000-02-22 T.T.R. Technolog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digital optical media
EP2200032A3 (en) * 1998-09-18 2010-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3252810B2 (ja) * 1998-11-05 2002-02-04 日本電気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のリトライ方法
JP2000148604A (ja) * 1998-11-12 2000-05-30 Hitachi Ltd 記憶装置の制御方法
US6799283B1 (en) * 1998-12-04 2004-09-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array device
JP2000195144A (ja) * 1998-12-25 2000-07-14 Sony Corp 記録媒体駆動装置および方法、情報記録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1100935A (ja) * 1999-09-28 2001-04-1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539496B1 (en) 1999-10-22 2003-03-25 Iomega Corporation Method for preventing repeating non-recoverable read errors at same physical location on data storage media
CA2366576A1 (en) * 2000-02-10 2001-08-16 Sony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recording/recorded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method for recognizing recording/recorded mediu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for apparatus using recording/recorded medium
JP2001357637A (ja) * 2000-06-14 2001-12-26 Sony Corp 情報再生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US6986012B2 (en) 2001-09-03 2006-01-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data from and writing data to a memory
JP2003186627A (ja) * 2001-12-18 2003-07-04 Nec Corp 磁気テープ装置データパックアップ制御方式
JP3825375B2 (ja) 2002-08-02 2006-09-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エラー訂正システム
US6775461B2 (en) * 2002-10-15 2004-08-10 Sony Corporation Data management method for recorded programs stored on a digital recording device
KR100498491B1 (ko) * 2003-03-1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US7996645B2 (en) * 2003-09-26 2011-08-09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Log-structured file system for disk drives with shingled writing
CN1890645B (zh) * 2003-12-03 2010-09-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介质的数据处理装置以及数据记录方法
EP1650761B1 (en) * 2004-05-11 2013-02-27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US20070025695A1 (en) * 2005-07-26 2007-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recording space for video signals on a recording medium
JP2007122831A (ja) * 2005-10-31 2007-05-17 Fujitsu Ltd 記憶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037348B2 (en) * 2007-12-21 2011-10-11 Seagate Technologies Llc Vibration-aware data reassignment
US8769048B2 (en) 2008-06-18 2014-07-01 Commvault Systems, Inc. Data protection scheduling, such as providing a flexible backup window in a data protection system
US8352954B2 (en) 2008-06-19 2013-01-08 Commvault Systems, Inc. Data storage resource allocation by employing dynamic methods and blacklisting resource request pools
US9128883B2 (en) 2008-06-19 2015-09-08 Commvault Systems, Inc Data storage resource allocation by performing abbreviated resource checks based on relative chances of failure of the data storage resources to determine whether data storage requests would fail
US8725688B2 (en) 2008-09-05 2014-05-13 Commvault Systems, Inc. Image level copy or restore, such as image level restore without knowledge of data object metadata
JP2010256652A (ja) * 2009-04-27 2010-11-11 Renesas Electronics Corp 記憶媒体暗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9633216B2 (en) 2012-12-27 2017-04-25 Commvault Systems, Inc. Applicat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policies based on operation with a geographic entity
US9459968B2 (en) 2013-03-11 2016-10-04 Commvault Systems, Inc. Single index to query multiple backup formats
US10169121B2 (en) * 2014-02-27 2019-01-01 Commvault Systems, Inc. Work flow management for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9648100B2 (en) 2014-03-05 2017-05-09 Commvault Systems, Inc. Cross-system storage management for transferring data across autonomou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US9740574B2 (en) 2014-05-09 2017-08-22 Commvault Systems, Inc. Load balancing across multiple data paths
US11249858B2 (en) 2014-08-06 2022-02-15 Commvault Systems, Inc. Point-in-time backups of a production application made accessible over fibre channel and/or ISCSI as data sources to a remote application by representing the backups as pseudo-disks operating apart from the production application and its host
US9852026B2 (en) 2014-08-06 2017-12-26 Commvault Systems, Inc. Efficient application recovery i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a pseudo-storage-device driver
US9444811B2 (en) 2014-10-21 2016-09-13 Commvault Systems, Inc. Using an enhanced data agent to restore backed up data across autonomous storage management systems
US9766825B2 (en) 2015-07-22 2017-09-19 Commvault Systems, Inc. Browse and restore for block-level backups
US10296368B2 (en) 2016-03-09 2019-05-21 Commvault Systems, Inc. Hypervisor-independent block-level live browse for access to backed up virtual machine (VM) data and hypervisor-free file-level recovery (block-level pseudo-mount)
US10338999B2 (en) 2016-09-02 2019-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firming memory marks indicating an error in computer memory
US10297335B2 (en) 2016-09-02 2019-05-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cking address ranges for computer memory errors
US10353669B2 (en) 2016-09-02 2019-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entries in a mark table of computer memory errors
US10304560B2 (en) * 2016-09-02 201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forming error correction in computer memory
US10838821B2 (en) 2017-02-08 2020-11-17 Commvault Systems, Inc. Migrating content and metadata from a backup system
US10740193B2 (en) 2017-02-27 2020-08-11 Commvault Systems, Inc. Hypervisor-independent reference copies of virtual machine payload data based on block-level pseudo-mount
US10891069B2 (en) 2017-03-27 2021-01-12 Commvault Systems, Inc. Creating local copies of data stored in online data repositories
US10776329B2 (en) 2017-03-28 2020-09-15 Commvault Systems, Inc. Migration of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to cloud storage
US11074140B2 (en) 2017-03-29 2021-07-27 Commvault Systems, Inc. Live browsing of granular mailbox data
US10664352B2 (en) 2017-06-14 2020-05-26 Commvault Systems, Inc. Live browsing of backed up data residing on cloned disks
US10795927B2 (en) 2018-02-05 2020-10-06 Commvault Systems, Inc. On-demand metadata extraction of clinical image data
US10761942B2 (en) 2018-03-12 2020-09-01 Commvault Systems, Inc. Recovery point objective (RPO) driven backup scheduling in a data storage management system using an enhanced data agent
US10789387B2 (en) 2018-03-13 2020-09-29 Commvault Systems, Inc.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10860443B2 (en) 2018-12-10 2020-12-08 Commvault Systems, Inc. Evaluation and reporting of recovery readiness in a data storage management system
US11308034B2 (en) 2019-06-27 2022-04-19 Commvault Systems, Inc. Continuously run log backup with minimal configuration and resource usage from the source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6488A (ja) * 1988-03-16 1989-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書換可能型光ディスク管理システム
JPH025150A (ja) * 1988-06-24 1990-01-10 Nec Corp 磁気ディスクボリューム空き領域管理方式
JP2554743B2 (ja) * 1989-05-19 1996-11-13 シャープ株式会社 再生のための誤り訂正装置
JPH03222047A (ja) * 1990-01-29 1991-10-01 Nec Software Ltd 領域管理方式
JPH0428061A (ja) * 1990-05-24 1992-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と情報記録再生装置
US5507030A (en) * 1991-03-07 1996-04-09 Digitial Equipment Corporation Successive translation, execution and interpretation of computer program having code at unknown locations due to execution transfer instructions having computed destination addresses
JPH04287245A (ja) * 1991-03-18 1992-10-12 Kobe Nippon Denki Software Kk ファイルシステムのフリーエリア管理方式
JPH04358360A (ja) * 1991-06-04 1992-12-11 Fujitsu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リカバリ方式
JPH0546447A (ja) * 1991-08-08 1993-02-26 Hitachi Ltd 空き領域検索方法
US5452418A (en) * 1992-04-24 1995-09-19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of using stream buffer to perform operation under normal operation mode and selectively switching to test mode to check data integrity during system operation
DE4224080C1 (de) * 1992-07-21 1994-01-05 Siemens Ag Verfahren zur dynamischen Verwaltung eines freien Speichers einer Rechenanlage, des Freispeichers, für den eine Unterteilung in wenigstens zwei logische Speicherbereiche, die sich in ihren Zugriffseigenschaften unterscheiden, vorgesehen ist
JPH06214897A (ja) * 1992-12-14 1994-08-05 E Syst Inc 誤り状態検出時に周辺装置に記憶したデータの損失を最少にする方法
US5379162A (en) * 1993-08-19 1995-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stomized data recovery procedures selected responsive to readback errors and transducer head and disk parameters
US5535399A (en) * 1993-09-30 1996-07-09 Quantum Corporation Solid state disk drive unit having on-board backup non-volatile memory
JPH07111035A (ja) * 1993-10-13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200369A (ja) *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記憶装置
US5574907A (en) * 1994-11-30 1996-11-12 Microsoft Corporation Two-pass defragmentation of compressed hard disk data with a single data rewr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5813B1 (en) 2003-06-25
KR100257303B1 (ko) 2000-05-15
EP1276048A2 (en) 2003-01-15
EP1276048A3 (en) 2003-01-22
DE69722991D1 (de) 2003-07-31
DE69722991T2 (de) 2004-05-06
EP0795813A3 (en) 2000-07-12
EP0795813A2 (en) 1997-09-17
US5872905A (en) 1999-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2051A (ko) 기록영역 관리방법, 에러회복 처리방법 및 기억장치
US6918004B2 (en) Spare area management method of optical recording medium
US6909838B2 (en) Recording/reproducing method suitable for recording/reproducing AV data on/from disc, recorder and reproducer for the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disc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7542388B2 (en)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recording real time data, defect managing method therefor, and real time data recording method
US6963523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formatting the same with improved compatability and consistency
US7333407B2 (en) Defect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storage medium
EP0360123A2 (en) Super-large capacity data storage drive
JP2008305548A (ja) Avデータの記録再生に適した記録方法と再生方法及び、その記録ドライブと再生ドライブ及び、情報記録システムと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媒体
US7065671B2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record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A75568C2 (en) Method for writing information and a device for the realization of the method
KR19980056225A (ko)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시스템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US6954876B2 (en) Disk apparatus
JP395265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情報記録媒体
US7613867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US20030007783A1 (en) Recording/reproducingdisk control device and disc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3351965B2 (ja) 欠陥領域管理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4196512B2 (ja) Avデータの記録再生に適した記録方法と再生方法及び、その記録ドライブと再生ドライブ及び、情報記録システムと情報再生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媒体
US7602686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simultaneous recording and reproduction,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JP3808654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283245B1 (ko) 기록매체의 결함영역 관리자료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지점 억세스 방법
JPH09128156A (ja) 記録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