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8491B1 -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8491B1
KR100498491B1 KR10-2003-0017063A KR20030017063A KR100498491B1 KR 100498491 B1 KR100498491 B1 KR 100498491B1 KR 20030017063 A KR20030017063 A KR 20030017063A KR 100498491 B1 KR100498491 B1 KR 100498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ading
writing
repet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506A (ko
Inventor
남궁윤
최호중
정승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8491B1/ko
Priority to US10/797,384 priority patent/US20040202446A1/en
Priority to JP2004080028A priority patent/JP3927548B2/ja
Priority to EP04006727A priority patent/EP1460545A3/en
Publication of KR2004008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8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88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data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 G11B2020/183Testing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attempt is made to read or write the data when a first attempt is unsuccessfu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Retry When Errors Occur (AREA)

Abstract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는 단계,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단계,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 및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시간을 기준으로 제한함으로써, 에러가 계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허용된 시간 동안만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여 수행시간 지연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질 또는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에러 상황에 따라 조건에 맞는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retrying for reading or writing of a data}
본 발명은 컴퓨터,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DVR(Digital Video Recorder)등에서의 AV(Audio and Visual) 데이터 처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V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명령 수행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AV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나 최근 부각되고 있는 PVR 또는 DVR 등과 같이 AV 데이터 처리가 주목적인 장치는 AV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가 마련되어 있다. AV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이다.
PVR은 종래의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와는 달리 하드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디지털 녹화기이다. PVR은 셋톱박스(Set Top Box)나 텔레비전 본체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통해 VCR 없이도 용량에 따라 일정시간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의 AV 데이터를 녹화할 수 있다. 즉, PVR은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AV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고, 컴퓨터와 같은 파일 재생방식으로 AV 데이터를 재생한다. 이를 위해 PVR은 운영체제와 재생 소프트웨어 등을 담은 메모리칩, 중앙처리장치(CPU), 대용량 하드디스크 등을 갖는다.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PVR은 자동으로 하드디스크에 현재 방송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저장하고 동시에 재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멈춤 버튼을 눌렀다가 다시 재생버튼을 누르면, PVR은 저장된 방송신호를 멈췄던 시점부터 다시 재생시킨다. 또한, PVR은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다시 보거나 느린 동작으로 재생할 수 있고 지루한 부분은 뛰어넘을 수도 있어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편집하는 기능이 편리하다.
DVR은 아날로그 감시카메라로 입력된 AV 데이터를 영상 캡쳐보드에서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고화질의 디지털 신호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장치이다. DVR은 기존의 아날로그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대체할 수 있는 감시장비로서, 효과적인 범죄예방 및 보안 유지를 위한 장치이다. DVR은 저장된 AV 데이터를 순간 검색할 수 있는 기능, 여러 대의 카메라 영상을 1대의 모니터에서 분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기능, 원거리에서도 모뎀이나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이용해서 녹화 검색 및 실시간 화면을 감시할 수 있는 화상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AV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는 컴퓨터, PVR 또는 DVR 등은 AV 데이터의 무결함보다는 AV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우선시 된다. AV 데이터의 읽기(reading) 명령 수행시 또는 쓰기(writing) 명령 수행시 어느 정도 에러가 발생한다. 이러한 읽기 명령 또는 쓰기 명령에 수행에 대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은 종래에 수행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종래의 컴퓨터, PVR 또는 DVR 등은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을 수행하는 부분,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반복적인 읽기 또는 쓰기에 필요한 변수값 등을 변경하여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실행하는 부분,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카운팅하는 부분 및 미리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와 카운팅 된 횟수를 비교하는 부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반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요청한다(제10 단계). 제10 단계 후에, 일반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제12 단계). 제12 단계 후에,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제14 단계).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 수행에 필요한 변수값 등을 변경하여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한다(제16 단계). 제16 단계 후에, 반복된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다시 판단한다(제18 단계). 반복된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카운팅한다(제20 단계). 제20 단계 후에, 카운팅 된 숫자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22 단계). 반복 제한횟수는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일정 횟수로 한정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정보이다. 카운팅 된 숫자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카운팅 된 숫자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제16 단계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이 반복 제한횟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우선시 되는 컴퓨터, PVR 또는 DVR 등은 AV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반복 제한횟수만큼 계속적으로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이 수행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지연되어 AV 데이터의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읽기 명령 수행시간 또는 쓰기 명령 수행시간의 지연으로 인해 화질 또는 음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 과정이 세부적으로 구분되어 세부적인 반복과정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반복 제한횟수로 AV 데이터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수행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지연되어 화질 또는 음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하는 횟수를 시간을 기준으로 제한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을 수행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은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는 단계,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단계,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 및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는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는 요청신호 발생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고, 타이밍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밍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실행하는 읽기 실행부, 기록매체에 데이터의 쓰기를 실행하는 쓰기 실행부,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는 에러 검사부,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잔여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반복 지시부 및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반복 지시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로서,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 여부에 따라,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거나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제30 ~ 제42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한다(제30 단계). 여기서, 기록매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일 예가 될 수 있다. '쓰기'라 함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읽기'라 함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해 이 데이터를 이용하는 구성요소로 불러들이는 것을 말한다.
제30 단계 후에,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 한다(제32 단계). 반복 제한시간은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한정하기 위해 마련된 시간이다. 반복 제한시간은 시스템 전체 버퍼(buffer)에 남아있는 데이터의 크기와 단위시간당 사용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하여 호스트에서 계산하여 결정한다.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여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실행한다고 하더라도 전술한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만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복 제한시간은 제30 단계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요청하면, 즉시 타이밍을 시작한다. 반복 제한시간은 호스트에서 계산된 일정시간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타이밍 한다. 예를 들어, 반복 제한시간이 200[ms]로 정해졌을 경우에, 200[ms]에서부터 점점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타이밍 한다.
제32 단계 후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제34 단계). 제3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
제34 단계 후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제36 단계). 데이터가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할 때, 한번만에 사용자가 원하는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을 달성할 수도 있지만 여러 번 반복해야 비로소 달성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달성되었는가 또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한 단계를 종료한다.
그러나,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판단한다(제38 단계). 즉, 읽기 또는 쓰기가 요청된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통칭하는 AV 데이터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한다(제40 단계).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한 후에,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한 데이터는 데이터의 재생 또는 저장 등을 위해 소정 구성요소로 전송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38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0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과 타이밍 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비교하여,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고, 읽기 또는 쓰기가 실행된 데이터의 에러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제50 ~ 제5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데이터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 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한다(제50 단계). 세부 반복종류들은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실행 중 발생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읽기 또는 쓰기의 다양한 반복을 통해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읽기에 대한 세부 반복 종류들로는 '변수값 변경' 및 '전류의 인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쓰기에 대한 세부 반복종류들로는 '초기 설정 상태' 및 '파킹영역으로 이동'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술한 세부 반복종류들 중 결정되는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는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최적화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결정된다.
제50 단계 후에,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을 인출한다(제52 단계). 세부 반복종류들 각각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들을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표 1은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순서 세부 반복 종류 반복 소요시간
read 1 변수값 변경 5 [ms]
2 전류의 인가 10 [ms]
write 1 초기설정 상태 15 [ms]
2 파킹 영역으로 이동 10 [ms]
3 변수값 변경 5 [ms]
예를 들어, 읽기 실행에 대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최적화된 순서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변수값 변경'이 결정되면,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응하는 반복 소요시간인 5 [ms]을 전술한 룩업 테이블로부터 인출한다. 또한, 쓰기 실행에 대한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최적화된 순서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초기설정 상태'가 결정되면,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응하는 반복 소요시간인 15 [ms]을 전술한 룩업 테이블로부터 인출한다.
제52 단계 후에,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반복 제한시간의 타이밍 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54 단계). 제32 단계에서 얻어진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제52 단계에서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과 비교하여, 반복 소요시간이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만일,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읽기 명령을 수행할 때, 잔여 반복 제한시간이 20[ms]라 하고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전술한 표 1의 '전류의 인가'에 대응하는 30[ms]라 하면, 반복 소요시간이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크므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한 단계를 종료한다.
그러나,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제56 단계). 예를 들어, 읽기 명령을 수행할 때, 잔여 반복 제한시간이 40[ms]라 하고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전술한 표 1의 '전류의 인가'에 대응하는 30[ms]라 하면, 반복 소요시간이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크지 아니하므로, 결정된 '전류의 인가'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
제56 단계 후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다시 한번 판단한다(제58 단계). 만일,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한 단계를 종료하고,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제50 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도 2의 제38 단계에서,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한다(제40 단계). 즉, AV 데이터가 아닌 일반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전술한 제32 단계에서 타이밍 되는 시간과 관계없이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42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42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제70 ~ 제78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데이터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한다(제70 단계). 세부 반복종류들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제70 단계 후에,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한다(제72 단계).
제72 단계 후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제74 단계).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한 단계를 종료한다.
그러나,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를 계수한다(제76 단계).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에 대한 계수는 카운터의 숫자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한다.
제76 단계 후에, 계수된 반복횟수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78 단계). 만일, 계수된 반복횟수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술한 단계를 종료한다.
그러나, 계수된 반복횟수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제70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반복 제한횟수가 100회로 제한되어 있고 계수된 반복횟수가 88회라면, 데이터에 대해 12번을 반복해서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기록매체(100), 요청신호 발생부(110), 타이밍부(120), 읽기 실행부(130), 쓰기 실행부(140), 에러 검사부(150), 데이터 식별부(160), 제1 반복 지시부(170) 및 제2 반복 지시부(180)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에 상응하는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록매체(10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저장되는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지칭하는 AV 데이터 뿐만아니라 일반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히, AV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하는 컴퓨터, PVR 또는 DVR 등에 마련된 기록매체(1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청신호 발생부(110)는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100)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기록매체(100)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고, 요청한 결과를 요청신호로서 출력한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신호 발생부(110)는 데이터의 쓰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받아서,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100)에 쓰기를 요청하고, 요청한 결과를 요청신호로서 타이밍부(120) 및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요청신호 발생부(110)는 데이터의 읽기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받아서, 기록매체(100)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고, 요청한 결과를 요청신호로서 타이밍부(120) 및 읽기 실행부(130)로 출력한다.
타이밍부(120)는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고, 타이밍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출력한다.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부(120)는 요청신호 발생부(110)로부터 입력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일정 시간으로 한정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고, 반복 제한시간의 타이밍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제1 반복 지시부(170)로 출력한다.
읽기 실행부(130)는 기록매체(100)에 기록된 데이터의 읽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읽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실행부(130)는 요청신호 발생부(110)로부터 입력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기록매체(100)에 이전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를 인출하여 읽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읽기 신호로서 에러 검사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실행부(130)는 제1 반복 지시부(170)로부터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된 제1 지시신호 또는 제2 반복 지시부(180)로부터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된 제2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기록매체(100)에 이전에 기록되어 있던 데이터를 인출하여 읽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읽기 신호로서 에러 검사부(150)로 출력한다.
쓰기 실행부(140)는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100)에 쓰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쓰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실행부(140)는 요청신호 발생부(110)로부터 입력된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100)에 쓰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쓰기 신호로서 기록매체(100)와 에러 검사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기 실행부(140)는 제1 반복 지시부(170)로부터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된 제1 지시신호 또는 제2 반복 지시부(180)로부터 입력단자 IN3을 통해 입력된 제2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100)에 쓰기를 실행하고, 실행한 결과를 쓰기 신호로서 기록매체(100)와 에러 검사부(150)로 출력한다.
에러 검사부(150)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고, 검사한 결과를 검사신호로서 출력한다. 에러 검사부(150)는 읽기 실행부(130)에서 입력된 읽기 신호로부터 데이터의 읽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고, 쓰기 실행부(140)에서 입력된 쓰기 신호로부터 데이터의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에러 검사부(150)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가 한번이상 반복되는가를 감지하는 반복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반복 감지부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가 한번도 반복되지 않았다고 감지하면, 전술한 감지신호를 데이터 식별부(160)로 출력하고,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가 한번이상 반복되었다고 감지하면, 전술한 감지신호를 제1 반복 지시부(170) 또는 제2 반복 지시부(180)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 검사부(150)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검사신호를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출력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검사신호를 반복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 식별부(160)로 출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러 검사부(150)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검사신호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였다는 검사신호를 반복 감지부의 감지된 결과에 따라 제1 반복 지시부(170) 또는 제2 반복 지시부(180)로 출력한다. 출력단자 OUT1 또는 OUT4를 통해 출력된 검사신호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실행을 중지시키는 제어신호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식별부(160)는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식별하고, 식별한 결과를 식별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식별부(160)는 에러 검사부(150)로부터 입력된 검사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를 통칭하는 AV 데이터인가를 식별하고, 식별한 결과를 식별신호로서 제1 반복 지시부(170) 또는 제2 반복 지시부(180)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읽기 또는 쓰기를 요청한 데이터가 AV 데이터인가를 식별하는 이유는, AV 데이터에 대해서만 제1 반복 지시부(170)를 이용해 일정시간 내에서만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반복 지시부(170)는 잔여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복 지시부(170)는 데이터 식별부(160)로부터 식별신호를 입력받아서, 타이밍부(120)로부터 입력된 잔여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2를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복 지시부(170)는 에러 검사부(150)로부터 검사신호를 입력받아서, 타이밍부(120)로부터 입력된 잔여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반복 지시부(170)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70A)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제1 반복종류 결정부(200), 소요시간 저장부(210), 소요시간 인출부(220), 시간 비교부(230) 및 제1 지시부(240)로 구성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에 상응하는 도 8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반복종류 결정부(200)는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결정신호서 출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복종류 결정부(200)는 데이터 식별부(160)로부터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된 식별신호 또는 에러 검사부(150)로부터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된 검사신호에 응답하여,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결정신호로서 소요시간 인출부(220)로 출력한다.
소요시간 저장부(210)는 세부 반복종류들 각각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들을 저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요시간 저장부(210)는 세부 반복종류들에 대응하는 반복 소요시간들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표 1은 소요시간 저장부(210)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소요시간 인출부(220)는 반복 소요시간을 인출하고,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을 출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요시간 인출부(220)는 제1 반복종류 결정부(200)로부터 입력된 결정신호에 응답하여,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응하는 반복 소요시간을 소요시간 저장부(210)에 요청한다. 소요시간 인출부(220)는 요청된 반복 소요시간을 소요시간 저장부(210)로부터 인출하고, 인출한 반복 소요시간을 시간 비교부(230)로 출력한다.
시간 비교부(230)는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의 크기와 타이밍부(120)로부터 입력된 잔여 반복 제한시간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비교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비교부(230)는 소요시간 인출부(220)로부터 입력된 반복 소요시간에 응답하여, 반복 소요시간의 크기와 타이밍부(120)로부터 입력단자 IN6을 통해 입력된 잔여 반복 제한시간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비교신호로서 제1 지시부(240)로 출력한다.
제1 지시부(240)는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부(240)는 시간 비교부(230)로부터 입력된 시간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반복종류 결정부(200)에서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7을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제2 반복 지시부(180)는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복 지시부(180)는 데이터 식별부(160)로부터 식별신호를 입력받아서,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복 지시부(180)는 에러 검사부(150)로부터 검사신호를 입력받아서,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6을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2 반복 지시부(180)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80A)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 제2 지시부(310), 카운팅부(320) 및 횟수 비교부(330)로 구성된다. 도 11 및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10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는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는 데이터 식별부(160)로부터 입력단자 IN7을 통해 입력된 식별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결정신호로서 제2 지시부(310)로 출력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는 횟수 비교부(160)로부터 입력된 횟수 비교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고, 결정한 결과를 결정신호로서 제2 지시부(310)로 출력한다.
제2 지시부(310)는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한다.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시부(310)는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로부터 입력된 결정신호에 응답하여,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단자 OUT8 또는 OUT9를 통해 읽기 실행부(130) 또는 쓰기 실행부(140)로 출력한다.
카운팅부(320)는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를 계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팅부(320)는 에러 검사부(150)로부터 입력단자 IN8을 통해 입력된 검사신호에 응답하여,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에서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를 계수하고, 계수된 결과를 계수신호로서 횟수 비교부(330)로 출력한다.
횟수 비교부(330)는 계수된 반복횟수의 크기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의 크기를 비교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횟수 비교부(330)는 카운팅부(320)로부터 입력된 계수신호에 응답하여, 카운팅부(320)에서 계수된 반복횟수의 크기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의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한 결과를 횟수 비교신호로서 제2 반복종류 결정부(300)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는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시간을 기준으로 제한함으로써, 에러가 계속적으로 발생하더라도 허용된 시간 동안만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여 수행시간 지연으로 발생할 수 있는 화질 또는 음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에러 상황에 따라 조건에 맞는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수행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40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42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최초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5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반복된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반복 지시부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8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2 반복 지시부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10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최초의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에 상응하는 도 10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 사이의 반복된 신호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기록 매체 110: 요청신호 발생부
120: 타이밍부 130: 읽기 실행부
140: 쓰기 실행부 150: 에러 감지부
160: 데이터 식별부 170: 제1 반복 지시부
180: 제2 반복 지시부 200: 제1 반복 종류 결정부
210: 소요시간 저장부 220: 소요시간 인출부
230: 시간 비교부 240: 제1 지시부
300: 제2 반복 종류 결정부 310: 제2 지시부
320: 카운팅부 330: 횟수 비교부

Claims (8)

  1.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명령 수행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는 단계;
    (b)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데이터가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 및
    (g) 상기 데이터가 상기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음향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f2) 상기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을 인출하는 단계;
    (f3) 상기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상기 반복 제한시간의 타이밍 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f4) 상기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이 상기 잔여 반복 제한시간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단계;
    (f5)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f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 반복종류들은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최적화된 것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g1)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g2) 상기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실행하는 단계;
    (g3)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g4) 상기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g5) 상기 계수된 반복횟수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큰가를 판단하고, 상기 계수된 반복횟수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면, 상기 (g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5.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명령 수행시 발생하는 에러를 보정하기 위해 마련된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매체에 쓰기를 요청하거나,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의 읽기를 요청하는 요청신호 발생부;
    반복 제한시간을 타이밍하고, 타이밍하고 남은 잔여 반복 제한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밍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데이터의 읽기를 실행하는 읽기 실행부;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데이터의 쓰기를 실행하는 쓰기 실행부;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에 에러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하는 에러 검사부;
    상기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 또는 음향 데이터인가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부;
    상기 잔여 반복 제한시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1 지시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반복 지시부; 및
    반복 제한횟수 내에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고, 지시한 결과를 제2 지시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 반복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복 지시부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는 제1 반복종류 결정부;
    상기 세부 반복종류들 각각의 읽기 또는 쓰기에 소요되는 반복 소요시간들을 저장하고 있는 소요시간 저장부;
    상기 반복 소요시간을 인출하는 소요시간 인출부;
    상기 인출된 반복 소요시간의 크기와 상기 타이밍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잔여반복 제한시간의 크기를 비교하는 시간 비교부; 및
    상기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는 제1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복 지시부는
    상기 데이터의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읽기 또는 쓰기의 세부 반복종류들 중 하나의 세부 반복종류를 결정하는 제2 반복종류 결정부;
    상기 결정된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를 반복하도록 지시하는 제2 지시부;
    상기 세부 반복종류에 대한 상기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의 반복횟수를 계수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계수된 반복횟수의 크기와 이전에 정해진 반복 제한횟수의 크기를 비교하는 횟수 비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장치.
KR10-2003-0017063A 2003-03-19 2003-03-19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KR10049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063A KR100498491B1 (ko) 2003-03-19 2003-03-19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US10/797,384 US20040202446A1 (en) 2003-03-19 2004-03-10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ying reading or writing of data
JP2004080028A JP3927548B2 (ja) 2003-03-19 2004-03-19 データのリード/ライト反復方法及び装置
EP04006727A EP1460545A3 (en) 2003-03-19 2004-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ying reading or writing of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063A KR100498491B1 (ko) 2003-03-19 2003-03-19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506A KR20040082506A (ko) 2004-09-30
KR100498491B1 true KR100498491B1 (ko) 2005-07-01

Family

ID=3282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063A KR100498491B1 (ko) 2003-03-19 2003-03-19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202446A1 (ko)
EP (1) EP1460545A3 (ko)
JP (1) JP3927548B2 (ko)
KR (1) KR100498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11A (ko) 2019-05-22 2020-12-02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이동형 보안펜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0541A1 (de) * 2004-08-20 2006-03-09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Verfahren zum Schneiden eines digitalen Films unter Verwendung einer elektronischen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TW200709031A (en) * 2005-08-19 2007-03-01 Lite On It Corp Playing method for digital videos, a method for reading data and a method for smoothly playing pictures
CN100452213C (zh) * 2006-07-21 2009-01-14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判断是否能烧录数据于盘片的方法
KR101426114B1 (ko) * 2010-12-15 2014-08-05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동력보조 조향장치의 데이터 오류 검사방법
US9026720B2 (en) * 2013-02-07 2015-05-05 Apple Inc. Non-volatile memory monitoring
JP7006184B2 (ja) * 2017-11-27 2022-01-24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10996891B2 (en) 2019-02-28 2021-05-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ken management for write commands transmitted by a host over a plurality of interfaces to a storage controller
US11010248B2 (en) * 2019-02-28 2021-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use of resources in a storage controller for executing write commands over a plurality of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905A (en) * 1996-03-14 1999-02-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rea management method, error recovery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apparatus
JPH10320913A (ja) * 1997-05-23 1998-12-04 Sony Corp 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US6278807B1 (en) * 1997-11-13 2001-08-21 Kabushiki Kaisha Toshiba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pplied to th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ed in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000148604A (ja) * 1998-11-12 2000-05-30 Hitachi Ltd 記憶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11A (ko) 2019-05-22 2020-12-02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이동형 보안펜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7548B2 (ja) 2007-06-13
EP1460545A3 (en) 2010-05-26
KR20040082506A (ko) 2004-09-30
EP1460545A2 (en) 2004-09-22
JP2004288358A (ja) 2004-10-14
US20040202446A1 (en)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84181A (ja) 動画像再生装置および動画像再生方法
KR100498491B1 (ko)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반복방법 및 장치
US20090028513A1 (en) Video data copying apparatus, video data copy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tegrated circuit
JP4325194B2 (ja) 記憶媒体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0183248A (ja) 動画像記録装置
KR100200874B1 (ko) 움직임 검출에 의한 선택적 기록 장치 및 방법
US7099562B1 (en)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US7222267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n errors of hard disk drive, hard disk drive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US6996326B2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data recording method
JP3903039B2 (ja) 記録装置
EP1274239B1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video recording/reproducing method
EP146054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error processing according to data types
KR101484783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하드디스크 관리방법
US20050141382A1 (en) Optical disk apparatus
JP3903684B2 (ja) 磁気記憶装置
JP4006663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
KR20050079611A (ko) 기록 재생 장치
JP3552453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455698B2 (ja) ディスク装置、映像音声データ処理装置及び映像音声制御方法
JP2005260988A (ja) 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KR101253718B1 (ko) 동화상 기록장치
JPH06343148A (ja) 映像装置
JP2999990B2 (ja) デジタルvtr
JP3733039B2 (ja) デジタルvtrにおける記録時刻指定による検索方法
JP2005341262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