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603U -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603U
KR19980031603U KR2019960044766U KR19960044766U KR19980031603U KR 19980031603 U KR19980031603 U KR 19980031603U KR 2019960044766 U KR2019960044766 U KR 2019960044766U KR 19960044766 U KR19960044766 U KR 19960044766U KR 19980031603 U KR19980031603 U KR 199800316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bolt
thread
ma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603U/ko
Publication of KR199800316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03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at least one unthreaded portion in both the nut and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볼트와 너트를 횡단면 상에서 볼 때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절반정도만 내어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1조의 볼트(100)와 너트(200)에 있어서, 상기 볼트(100)의 몸통(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수나사산(1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200)의 구멍(2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암나사산(2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하여, 상기 볼트(100)에 상기 너트(200)를 일정 깊이로 끼운 상태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체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볼트와 너트를 횡단면 상에서 볼 때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절반정도만 내어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볼트 및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반적인 볼트(10)는 봉상으로 된 몸통(11)의 외면에 수나사산(12)이 연이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너트(20)는 구멍(21)의 내면에 암나사산(22)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즉, 볼트(10)와 너트(20)를 횡단면상에서 볼 때 나사산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일반적인 볼트(10)와 너트(20)는 임의의 부재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데 사용하고 있으나, 볼트(10)와 너트(20)의 체결시 암나사산(22)과 수나사산(12)이 맞물리는 순간부터 체결이 완료되기 까지 여러 번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볼트(10)와 너트(20)를 사용하여 체결할 경우 볼트(10) 또는 너트(20)의 회전수가 많아지면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와 너트를 횡단면 상에서 볼 때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을 절반정도만 내어 체결을 빨리 할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볼트 및 너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조로 된 볼트와 너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볼트110. 몸통
120. 수나사산130. 끼움부
200. 너트210. 구멍
220. 암나사산230. 끼움부
본 고안은 1조의 볼트(100)와 너트(200)에 있어서, 상기 볼트(100)의 몸통(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수나사산(1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200)의 구멍(2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암나사산(2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하여, 상기 볼트(100)에 상기 너트(200)를 일정 깊이로 끼운 상태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체결구조로 된 볼트와 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상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와 너트의 사용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볼트(100)에 형성된 수나사산(120)은 단면상에서 볼때 중심점에서 몸통(110)의 양쪽면에 각각 90°이내로 형성하고, 수나사산(1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끼움부(130)는 몸통(110)의 지름이 수나사산(120)의 골지름보다 작게 형성한다.
너트(200)에 형성된 암나사산(220)은 단면상에서 볼때 중심점에서 몸통(110)의 양쪽면에 각각 90°이내로 형성하고, 암나사산(2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끼움부(230)는 구멍(210)의 지름이 암나사산(220)의 골지름보다 크게 형성한다.
예시된 볼트(100)와 너트(200)에는 암나사산(220)과 수나사산(120)이 양쪽편에 형성된 것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예를들어, 전체의 절반정도를 할애하여 나사산을 형성하여도 되며, 이때 끼움부(130, 230)에 의하여 볼트(100)와 너트(200)가 임의 깊이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암나사산(220)과 수나산의 깊이를 점차적으로 줄여 체결시 적당한 토오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구조로 된 볼트(100)와 너트(200)는 임의의 부재를 결합시킬 때 상대편 각 끼움부(130, 230)를 따라 수나사산(120)과 암나사산(220)이 통과되도록 하여 볼트(100)에 너트(200)를 적당한 깊이로 끼운 후, 볼트(100)나 너트(200)를 반바퀴 정도 돌리면 체결작업이 간단히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너트(200)를 볼트(100)에 일정 깊이로 삽입시킨 다음 반바퀴 정도만 돌리면 체결이 완료되므로 체결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체결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조의 볼트(100)와 너트(200)에 있어서,
상기 볼트(100)의 몸통(1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수나사산(1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너트(200)의 구멍(210)에 길이방향으로 끼움부(130)가 형성되도록 암나사산(220)을 일부 각도범위 내에서 형성하여, 상기 볼트(100)에 상기 너트(200)를 일정 깊이로 끼운 상태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2019960044766U 1996-11-30 1996-11-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199800316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766U KR19980031603U (ko) 1996-11-30 1996-11-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766U KR19980031603U (ko) 1996-11-30 1996-11-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03U true KR19980031603U (ko) 1998-08-17

Family

ID=5398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766U KR19980031603U (ko) 1996-11-30 1996-11-30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6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99A (ko) * 2001-06-21 2001-08-22 김영훈 볼트와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9199A (ko) * 2001-06-21 2001-08-22 김영훈 볼트와너트
WO2003001068A2 (en) * 2001-06-21 2003-01-03 Yeong-Hoon Kim Bolt and nut
WO2003001068A3 (en) * 2001-06-21 2003-03-13 Yeong-Hoon Kim Bolt and n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216B1 (ko) 나사부재
ATE95283T1 (de) Schraubenmutter.
ES261768U (es) Un conjunto de tornillo y tuerca a prueba de aflojamiento.
US5934819A (en) Bolted connection for connecting two profiles
KR950001121A (ko) 공작물의 구멍 정렬용 파스너
JP2000087461A (ja) 接続固定具
KR19980031603U (ko)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KR100197281B1 (ko) 배터리 단자 클램프
JPH07103221A (ja) 二重ピッチネジ及び該ネジを利用した構造
KR960006391Y1 (ko) 관 이음매
JPS637699Y2 (ko)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KR19980033811U (ko) 스터드볼트(Stud Bolt)의 구조
KR19980027812U (ko) 풀림방지용 고정 너트 구조
KR0113713Y1 (ko) 가로등 주의 조립구조
KR200199395Y1 (ko) 체결장치
EP0151845B1 (en) Spacial structure
JPH0632490Y2 (ja) タップレスボルト
JPH11310957A (ja) トラスの接合構造
KR0166310B1 (ko) 자동차 패널 체결용 볼트
KR20000072765A (ko) 진동 볼트 및 너트
JPH0135054Y2 (ko)
KR20000019732U (ko) 풀림방지용 볼트 및 너트
JPH0642522A (ja) ね じ
KR900006933Y1 (ko) 매설너트의 이탈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