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199A - 볼트와너트 - Google Patents

볼트와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199A
KR20010079199A KR1020010035583A KR20010035583A KR20010079199A KR 20010079199 A KR20010079199 A KR 20010079199A KR 1020010035583 A KR1020010035583 A KR 1020010035583A KR 20010035583 A KR20010035583 A KR 20010035583A KR 20010079199 A KR20010079199 A KR 20010079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threaded portions
threaded portion
v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01003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9199A/ko
Publication of KR2001007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199A/ko
Priority to PCT/KR2002/001176 priority patent/WO2003001068A2/en
Priority to AU2002311661A priority patent/AU2002311661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at least one unthreaded portion in both the nut and the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를 함에 있어서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볼트(11)와 너트(12)에는 항상 같은 수의 나사부(14)와 공간부(15)가 구비되며, 볼트(11)와 너트(12)에 있는 공간부(15)는 서로의 나사부(14)가 원활히 수용될 수 있도록 구조되게 하여 볼트(11)의 공간부(15)와 너트(12)의 나사부(14) 그리고 볼트(11)의 나사부(14)와 너트(12)의 공간부(15)가 서로 대응되게 한 다음, 체결하는 볼트(11)나 너트(12)를 회전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서로의 체결위치까지 도달하게 한 후에 볼트(11)나 너트(12)를 간단히 회전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볼트(11)와 너트(12)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와너트{BOLT AND NUT}
본 발명에 의한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하는 방법은 볼트(11)의 나사부(14)에 너트(12)의 공간부(15) 그리고 볼트(11)의 공간부(15)에 너트(12)의 나사부(14)를 서로 대응하게 한 후에, 볼트(11)또는 너트(12)를 회전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두 개체를 체결할 수 있는 위치까지 밀어넣은 다음에 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볼트(11)와 너트(12)같이 서로의 회전으로만 체결 및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직진과 회전운동으로 쉽고 간단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11)와 너트(12)의 용도는 구조물이나 일상용품등 두 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기능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볼트(11)와 너트(12)에 의해 조립 또는 체결되어진 부품이나 일상용품 및 구조물등을 쉽게 분해 또는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볼트(11)와 너트(12)는 범용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렇게 볼트(00)와 너트(00)는 우리의 일상생활속이나 산업에서 아주 많은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볼트(11)와 너트(12)에는 단지 나사부(14)만 구조되어 있는 형태로서 볼트(11)와 너트(12)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볼트(11)의 나사부(14)끝부분에 너트(12)의 안쪽 나사부(14)를 접촉시킨 후에, 볼트(11)또는 너트(12)의 나사부(14)를 따라 계속적인 회전 및 역회전 운동을 통해만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가 되도록 한 구조의 회전방법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은 볼트(11)와 너트(12)에 단지 나사부(14)만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또한 많은 회전운동을 필요로 하게되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하여 요즈음에는 주로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 수단으로 값비싼 전동자동공구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배관작업이나 분해 및 조립을 많이하는 곳에는 종래의 볼트(11)와 너트(12)가 사용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볼트 (11)의 나사부(14)끝부분이 뭉그러지면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도 있다.
위에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볼트(11)와 너트(12)는 볼트(11)의 나사부(14)끝에서부터 체결하는 너트(12)를 임의의 고정위치까지 계속된 회전운동으로만 체결하였으나, 본 발명 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볼트(11)와 너트(12)에 나사부(14)와 공간부(15)를 만들어 볼트(11)의 공간부(15)와 너트(12)의 나사부(14)또는 볼트(11)의 나사부(14)와 너트(12)의 공간부(15)가 대응되어 임의의 고정위치까지 볼트(11)또는 너트(12)를 회전하지 않고 직진운동으로 쉽게 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쉽고 간단하게 볼트(11)와 너트(12)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기존 볼트의 단면도
도2는 기존 너트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 볼트와 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볼트와 너트의 체결 및 분리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볼트
12 : 너트
13 : 볼트 머리부
14 : 나사부
15 : 공간부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볼트(11)와 너트(12)의 구조원리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 볼트(11)에는 볼트머리부(13)가 있으며 볼트(11)에는 어느 위치에서나 체결이 되는 일정한 각도로 이루어진 나사부(14)가 있으며, 이 나사부(14)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깊이의 공간을 가지는 공간부(15)를 구성한다. 또한 볼트(11)에 대응하여 체결하는 너트(12)에도 어느 위치에서나 체결이 되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있는 나사부(14)를 구비하며, 나사부(14)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는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가진 공간부(15)로 구성되게 한다. 또한 볼트(11)에 있는 나사부(14)와 공간부(15)의 수는 항상 일치하게 되며, 너트(12)에도 볼트(11)와 같은 수의 나사부(14)와 공간부(15)를 갖게 한다. 그리고 볼트(11)와 너트(12)에 있는 공간부(15)는 나사부(14)원활히 수용될 수 있는 구조로 되게 한다. 도4는 본 발명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를 나타낸 것으로, 볼트(11)와 너트(12)를 서로 체결함에 있어서 볼트(11)의 공간부(15)와 너트(12)의 나사부(14) 그리고 볼트(11)의 나사부(14)와 너트(12)의 공간부(15)가 서로 대응되게 한 다음에 볼트(11)또는 너트(12)를 체결하기 위한 위치까지 서로 회전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밀어넣은 다음에 볼트(11)의 나사부(14)와 너트(12)의 나사부(14)가 서로 회전하여 체결하여 고정하고, 반대로 체결되어 있는 볼트(00)와 너트(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볼트(11)의 나사부 (14)와 너트(12)의 나사부(14)가 대응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볼트(11)또는 너트(12)를 역회전시킨 후에 볼트(11)의 공간부(15)와 너트(12)의 나사부(14)가 일치되면 볼트(11)에서 너트(12)를 바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볼트(11)와 너트(12)의 체결 및 분리방법이 회전운동에만 의한 것이 아니라,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볼트(11)와 너트(12)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볼트(11)와 너트(12)는 종래의 볼트(11)와 너트(12)와도 서로 교차호환하여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공간부(15)를 가진 볼트(11)에 종래의 너트(12)를 사용하더라도 체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그 반대로 사용하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볼트(11)와 너트(12)는 실용성과 편리성이 아주 뛰어나며, 한편으로는 많은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간단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1)

  1. 본 발명 볼트(11)와 너트(12)에는 항상 같은 수의 나사부(14)와 공간부(15)가 구비되며, 볼트(11)와 너트(12)에 있는 공간부(15)는 서로의 나사부(14)가 원활히 수용될 수 있도록 구조되게 하여 볼트(11)의 공간부(15)와 너트(12)의 나사부(14) 그리고 볼트(11)의 나사부(14)와 너트(12)의 공간부(15)가 서로 대응되게 한 다음, 체결하는 볼트(11)나 너트(12)를 회전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서로의 체결위치까지 도달하게 한 후에 볼트(11)나 너트(12)를 간단히 회전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볼트(11)와 너트(12).
KR1020010035583A 2001-06-21 2001-06-21 볼트와너트 KR20010079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83A KR20010079199A (ko) 2001-06-21 2001-06-21 볼트와너트
PCT/KR2002/001176 WO2003001068A2 (en) 2001-06-21 2002-06-20 Bolt and nut
AU2002311661A AU2002311661A1 (en) 2001-06-21 2002-06-20 Bolt and n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583A KR20010079199A (ko) 2001-06-21 2001-06-21 볼트와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199A true KR20010079199A (ko) 2001-08-22

Family

ID=1971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583A KR20010079199A (ko) 2001-06-21 2001-06-21 볼트와너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79199A (ko)
AU (1) AU2002311661A1 (ko)
WO (1) WO20030010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51550A1 (it) * 2005-08-05 2007-02-06 Oliveira & Irmao Sa Dispositivo di fissaggio rapido a lunghezza regolabile in particolare di una placca di coando di una apparecchiatura sanitaria
US8382415B1 (en) 2006-09-05 2013-02-26 Harold Goldbaum Rapid-engaging and positive-locking threaded configuration
DE202012000142U1 (de) * 2012-01-10 2012-02-13 Ruia Global Fasteners Ag Befestigungselement
NL2012970B1 (nl) * 2014-06-10 2016-06-27 Delfortrie Holding B V Combinatie van een schroef en een opneemorgaan, werkwijze voor het koppelen van twee voorwerpen, en een schroef en een opneemorgaan.
DE102018102298A1 (de) * 2017-10-23 2019-04-25 DEHN + SÖHNE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CN108973397A (zh) * 2018-09-30 2018-12-11 东莞市票友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装订机
JP7296676B1 (ja) 2022-11-24 2023-06-23 株式会社pate.to 締結具、雄ねじ側部材、雌ねじ側部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7854U (ko) * 1975-05-20 1976-11-27
KR970058990U (ko) * 1996-04-15 1997-11-10 민병일 저하중용 급속 체결볼트
JPH10196630A (ja) * 1997-01-13 1998-07-31 Takehiko Ueki 締結器
KR19980031603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0847A1 (de) * 1994-01-14 1995-07-20 Karl Fischer Schnellverschlußschraube zum schnellen Verschrauben von Montageteil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7854U (ko) * 1975-05-20 1976-11-27
KR970058990U (ko) * 1996-04-15 1997-11-10 민병일 저하중용 급속 체결볼트
KR19980031603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볼트와 너트의 체결구조
JPH10196630A (ja) * 1997-01-13 1998-07-31 Takehiko Ueki 締結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01068A3 (en) 2003-03-13
AU2002311661A1 (en) 2003-01-08
WO2003001068A2 (en) 200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31468A (ja) 研削工具及び該研削工具に用いるスペーサ・アッセンブリ
KR20040041688A (ko) 연결구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KR20010079199A (ko) 볼트와너트
CA2326274A1 (en) Anti-rotation clips
KR100487273B1 (ko) 토크동력공구용의 조절가능한 반작용 암과 이를 구비한토크동력공구
US5684670A (en) Control switch or signaling unit control panel mounting arrangement
KR101784384B1 (ko) 배관플렌지 체결볼트용 특수렌치
JP6077168B1 (ja) 締結部材
KR20040063758A (ko) 너트, 너트가 구비된 고정구와, 이를 위한 고정장치
JPH0214601Y2 (ko)
KR20010059806A (ko) 체결볼트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CN216278915U (zh) 一种便于安装和拆卸的紧固螺母
JP2004197933A (ja) 継手
CN217949235U (zh) 一种快装快拆的龙头锁紧装置
SU1249213A1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а гайка
CZ3405U1 (cs) Stěnová průchodka pro instalaci zdravotnických armatur
KR200341681Y1 (ko) 구조물용 커넥터
KR20080001372U (ko) 체결장치
KR810001220Y1 (ko)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EP1677009B1 (en) Trunnion element, in particular for an actuating cylinder
KR820001763B1 (ko) 너트조립체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KR100842312B1 (ko) 랙 스트로크 가변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