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1220Y1 -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 Google Patents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220Y1
KR810001220Y1 KR2019810000859U KR810000859U KR810001220Y1 KR 810001220 Y1 KR810001220 Y1 KR 810001220Y1 KR 2019810000859 U KR2019810000859 U KR 2019810000859U KR 810000859 U KR810000859 U KR 810000859U KR 810001220 Y1 KR810001220 Y1 KR 810001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wrench
attachment
chain
bos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0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찌 야마다
간지 미야다게
Original Assignee
게이이찌 야마다
간지 미야다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이찌 야마다, 간지 미야다게 filed Critical 게이이찌 야마다
Priority to KR2019810000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제1도에서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각각 외관도, 내부구성도, III-III선 단면도 및 사용 상태도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내부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제7도에서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각각 평면도.
출력측을 회전한 평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임.
본 고안은 토오크렌치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으로, 특치 협소한 간격내의 깊숙한 곳에 있는 볼트 및 너트등을 조이거나 제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토오크렌치용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등을 조이거나 제거하는 공구로서 토오크 렌치를 사용하여 왔는데, 상기 볼트등이 반드시 기계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기계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있어서 이것을 착탈하기 위하여는 협소한 간격내로 토오크렌치를 삽입하지 않으면 안될때가 있으며, 더우기 토오크렌치를 볼트등의 위치까지 잘 삽입하였다 할지라도 협소한 간격때문에 회동량이 현저하게 한정되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착탈조작을 행할 수가 없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 한가지 예로서 하수관 등 매설관의 이음부의 하부측 볼트등을 착탈하려 할 때에는 관과 지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현소간 격은 토오크렌치를 회동시킬 수 있는 여지가 전혀 없기 때문에, 상기 이음부에 있어서의 매설용 홈을 더욱 깊게 굴삭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같은 불편을 해소시킨 것으로 협소한 간격내의 깊숙한 곳에 위치하는 볼트, 너트등의 목적물에 대하여도 쉽게 착탈시킬 수 있는 토오크렌치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협소간격의 형상은 상하방향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갖고 폭방향으로 협소한 경우와 그 역이 있고, 또한 상기 볼토등 목적물도 이들 협소간격내에 상하방향으로 취부된 경우와 그 역이 있다.
따라서 상기 협소간격내에 토오크렌치를 삽입하고, 또한 선단의 소켓을 볼트등에 셋트하였다 하더라도 토오크렌치의 회동방향이 예컨대 상기 비교적 넓은 공간을 가진 상하방향과 일치하든가 또 협소한 폭방향과 일치함으로서 토오크렌치의 회동조작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즉 상기예의 상하방향에서는 가능하고 폭방향에서는 불가능하다. 더우기 토오크렌치의 회동조작은 수평방향(폭방향)인 경우보다는 상하방향의 편이 무리가 없고, 용이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다.
이리하여 본 고안의 제2목적은 협소 간격의 형상 및 볼트등 목적물의 부착방향에는 하등 제한을 받는 일이없이 토오크렌치의 회동조작을 할 수 있고, 더우기 토오크렌치의 회동방향을 항상 인간공학적으로 우수한 상하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토오크렌치용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제4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어태치먼트(P1)는 긴 강철등의 금속재료로 되고 대칭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케이싱부재(1a)(1b)에 의해 긴 케이싱(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케이싱부재(1a)(1b)에는 그 양단부에 체인휘일(3)(4)이 장착된 요입부(5)(6)가 형성되고, 이들 요입부(5)(6)의 중심부에는 보스(boss) 구멍(7)이 각각 형성되고, 또 양 요입부(5)(6)에 걸쳐서 체인안내용 돌조(9)가 각 케이싱부재(1a)(1b) 중간부에 배설되고, 이에 의해 이 돌조(8)를 협지함과 동시에 양 요입부(5)(6)에 걸쳐 통과하는 한쌍의 체인안내홈(9)(10)이 구성된다.
또 일측의 케이싱부재(1a)의 돌조(8)양단에는 볼트삽입용 구멍(11)이 형성되고, 타측 케이싱부재(1b)에는 이것에 대응하여 암나사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인휘일돌(3)(4)은 동일직경으로 주위에 평행한 2조의 치부(齒部)(3a)(4a)가 형성되고, 일측은 소켓(13) 장착용의 각축(14)을 가진 보스(15)가 돌설되고, 타측은 토오크렌치(16) 장착용의 각(角) 구멍(17)을 형성한 보스(18)가 돌설되어 있다. 체인휘일(3)(4)은 양 케이싱부재(1a)(1b)의 양 요입부(5)(6) 공간내에 장착되며, 각 보스(15)(18)은 보스구멍(7)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는 상태로 장치되고, 양 체인휘일(3)(4)의 치부(3a)(4a) 사이에 순환체인(19)을 권회하고, 볼트삽입구멍(11)에서 암나사구멍(12)에 볼트(20)를 나합함으로서 양 케이싱부재(1a)(1b)가 일체화된다.
그리고 양 케이싱부재(1a)(1b)의 양단부에는 반원주상의 돌기체로 형성된 연결구멍(21)이 구비되어, 어태치먼트(P1)를 사용시 이 어태치먼트(P1)를 연결구멍(21)에 의해 매설관(22)에 지지시킨다.
이리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매설관(22)의 이음매에 볼트의 고정을설명하면, 우선 어태치먼트(P1)의 어느 일단 각축(14) 상에 소켓(13)을 끼우고, 매설관(22)과 지면과의 협소간격을 통하여 어태치먼트(P1)를 삽입하여 상기 소켓(13)이 볼트등 목적물을 파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매설관(22)에 연결구멍(21)을 통하여 어태치먼트(P1)를 지지시키는 한편, 토오크렌치(16)를 어태치먼트(P1)의 각구멍(17)에 끼우고 토오크렌치(16)를 상하 왕복회전시키므로서, 체인휘일(4)에 부여된 회전력을 타방체인 휘일(3)에 전달하여 소켓(13) 및 볼트를 회전시켜서 볼트의 착탈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토오크렌치(16) 자체를 상기 협소간격내에 삽입하여 회전할 필요가 없이, 본고안의 어태치먼트(P1)를 사용하여, 토오크렌치(16)의 조작을 상기 협소간격 외부의 넓은 공간부에서 행할 수 있게된다.
더우기 토오크렌치(16)의 회동조작은 한쪽손으로 어태치먼트(P1)를 매설관(22)에 확실하게 지지시킬수 있으며, 상기 소켓(13)에 회전력 전달이 양호하게 되며, 매설관(22)의 조작으로 어태치먼트(P1)의 경사각도로 협소간격에 합치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다음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서는 양단의 체인휘일(3)(4)을 동일직경으로 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양체인휘일(3′)(4′)을 다른 직경으로 하였다. 이리하여 대경(大徑)의 체인휘일(3′)측에 토오크렌치(16)를 부착하고 소경의 체인휘일(4′)을 회전시키면 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역으로 하면 감속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볼트등을 조일때에 상기 증속(增速)상태로 볼트를 회전시켜 소정량 빠르게 나합한후, 토오크가 증대되는 시점에서 어태치먼트(P2)를 반전 사용하여 감속상태에서 볼트를 회전시키면 적은힘으로 강력하게 조일 수 있다.
다음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체인의 수평방향 굴곡성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P2)의 케이싱(2)을 대략 S자형으로 만곡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협소간격이 만곡되거나, 간격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볼트등이 돌출부등의 배후에 은폐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태치먼트(P3)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 제7도에서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P4)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통체(25)에 짧은 종통체(26)가 터언버클(turnbuckle) 기구(27)를 통하여 연결되고, 각 통체(25)(26)의 개구단측은 나사결합수단(28)(29)이 형성되어 틀체(30)(31)가 고정되고, 상기양통체(25)(26) 내에는 회전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 양단을 통체(30)(31)의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즉 실시예의 케이싱(33)은 2개의 케이부재(33a)(33b)로 구성되어 터언버클기구(27)로 협지되어 있다.
양틀체(30)(31)는 모두 내부에 회전력 전달실(34)(35)을 갖고 있으며, 한쪽 틀체(30)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벽부(36a)(36b)에 보스구멍(37)이 개설되고, 회전력 전달실(34) 내에 있는 한쌍의 베벨기어(bevel gear)(38)(39)가 그보스(40)를 통하여 삽입 지지됨과 동시에 각 보스(40)에 외방으로 향하여 개구된 각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회전 샤프트(32)는 틀체(30)측에 각축부(32a)와 그 선단에 위치하는 샤프트부(32b)가 형성되고, 각 축부(32a)에 끼워진 베벨기어(42)가 다른 베벨기어(38)(39)에 서로 맞물려짐과 동시서, 샤프트부(32b)는 틀체(30)의 샤프트 삽통용 구멍(43)을 통하여 외부로 돌촐되고, 이 돌출된 볼트부(32c)는 누름덮개(44) 및 록크너트(lock nut)(45)로 나착된다. 또 상기 회전 샤프트(32)의 타단에도 각축부(32d) 및 그선단에 위치하는 샤프트부(32e)가 형성되고, 샤프트부(32e)는 틀체(31)의 축구멍(46)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축부(32d)는 회전력 전달실(35) 내에 위치하는 베벨기어에(47)삽 입되어 있다.
그리고 틀체(31)의 회전력 전달실(35) 내에는 긴 회전 샤프트(32)의 축심에 직각방향으로 축체(48)가 돌설되고, 이 축체에 베벨나어(48)가 삽입되어, 베벨기어(47)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이 베벨기어(49)의 보스(50)에 돌설된 각축(51)은 틀체(31)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누름덮개(52)는 상기 개구부를 나사결합수단(53)에 의하여 나합되어 있다.
터언버클(27)의 구조는 주지된 바와같이 양측에 역방향의 나사부를 형성한 슬리이브(54)로 되고, 이 슬리이브(54)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주통체(25) 및 종통체(26)의 외면에 나사부(55)(56)를 형성하고, 슬리이브(54)와 누름덮개(44)의 주면에는 너얼링 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어태치먼트의 사용을 설명하면 틀체(31)의 각축(51)에 소켓(57)을 부착하여, 본 어태치먼트(P4)를 협소간격내에 삽입하여 소켓(57)을 볼트등 목적물에 끼우고 한쪽손으로 어태치먼트(P4)를 지지한 상태에서, 토오크렌치(16)를 틀체(6)측의 어느 한쪽 각구멍(41)에 부착한 후, 토오크렌치(16)를 다른손으로 왕복 회동시키면, 토오크렌치(16)에서 입력된 회전력은 베벨기어(38)(42) 또는 베벨기어(39)(42)로 이루어지는 직교상의 회전력 전달기구를 통하여 긴회전 샤프트(32)에 전달되어, 샤프트(32) 타단의 베벨기어(47)(49)로 이루어지는 직교상의 회전력 전달기구를 통하여 각축(51) 및 소켓(57)에 전달됨으로서, 이 회전력에 의해 볼트등 목적물을 회전시켜 착탈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7도, 제9도 및 제10도에서는 볼트등 목적물의 착탈방향과 토오크렌치(16) 회동방향이 직각의 상태로 되어서, 볼트등 목적물의 착탈방향이 상하방향일 경우 토오크렌치(16)의 회동방향은 당연히 수평방향으로 된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P4)에서는 터어버클기구(27)에서 양통체(25)(26)가 서로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리이브(54)를 회전시킨다.
즉 긴회전 샤프트(32)는 그 일단을 누름덮개(44) 및 록크너트(45)로서 고정되어 있지만 타단은 샤프트부(32e)가 틀체(31)의 축구멍(46)에 삽입되어 주통체(25)의 틀체(31)의 상대 접동이 가능하고, 따라서 무리하지 않게 양동체(25)(26)를 멀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종통체(26)와 슬리이브(54)를 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통체(25)를 나합하고 주통체(25) 단면을 종동체(26) 단면에 대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슬리이브(54)의 회전에 의한 양통체(25)(26)의 간격은 주통체(25)를 나합하여 대향될때 제8도와 같이 각축(51)의 방향이 90° 상이하도록 미리 조정하여 두면 상기 조작에 의해 어태치먼트(P4)의 일단측 각구멍(41)과 타단측 각구멍(51)의 상대위치 관계가 제7도의 상태에서 제8도의 상태로 용이하게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등의 목적물의 착탈방향이 상하방향이라도 상기 변환동작에 의해 토오크렌치(16)의 회동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상대위치 관계의 변경각도에 있어서도 90°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실시예의 어태치먼트의 구조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자유로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

  1. 긴 강철등의 금속속재료로 이루어진 한쌍의 케이싱부재(1a)(1b)의 양단 중심부에 보스구멍(7)을 형성하며 각 케이싱부재(1a)(1b)의 중간부 체인안내용 돌조(8)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한쌍의 체인 안내홈(9)(10)과 연통되는 체인휘일 장착용 요입부(5)(6)에 각 체인휘일(3)(4)을, 체인휘일(3)(4)에 형성된 보스(15)를 보스구멍(7)에 지지시킴으로써 장착시키며 보스(15)중 한쪽 체인휘일(4)의 보스(15)에 토오크렌치 부착용 각 구멍(17)이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쪽 체인휘일(3)의 보스(15)에 소켓 부착용 각축부(14)가 형성되므로써 양체인휘일(3)(4)간에 순환체인(19)이 체인 안내홈(9)(10)에 안내되는 동시에 양 케이싱부재(1a)(1b)를 서로 중합한후 체인 안내용 돌조(8)에 형성된 볼트 삽입용 구멍(11)에 볼트(20)를 나합하여 고정시키는 케이싱(2) 일단부에 케이싱 지지용 연결구멍(21)을 형성하여 된 토오크렌치용 어태치먼트.
KR2019810000859U 1981-02-06 1981-02-06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KR810001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859U KR810001220Y1 (ko) 1981-02-06 1981-02-06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0859U KR810001220Y1 (ko) 1981-02-06 1981-02-06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70000718 Division 1977-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220Y1 true KR810001220Y1 (ko) 1981-09-24

Family

ID=1922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0859U KR810001220Y1 (ko) 1981-02-06 1981-02-06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2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159A (en) Drill angle attachment coupling
US5024585A (en) Housing coupling mechanism
JP5202821B2 (ja) 巻上機の支持フレーム
CA2326274A1 (en) Anti-rotation clips
KR810001220Y1 (ko)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KR20010041752A (ko) 파이프 커플링 공구
US3682505A (en) Means for mounting sheaves, etc.
JP2009275528A (ja) 軸継手及びこれを備えるポンプ装置
CN210153181U (zh) 用于减速机的分体式法兰以及运用该法兰的输入结构
US20100050820A1 (en) Ratchet mechanism for turning dual hex nuts simultaneously dual ratchet mechanism
KR200471125Y1 (ko)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KR200208961Y1 (ko) 강화유리의 손잡이 체결구조
CN212763181U (zh) 一种挖掘机履带安装结构
KR20130002606U (ko) 유 볼트용 너트 체결기
JP2554712B2 (ja) 波形管用管継手
KR200154860Y1 (ko)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WO2014062149A1 (en) Torque offsetting tool
JPH04129913U (ja) 締結装置
JP3183013B2 (ja) 管固定具
JPH0349300Y2 (ko)
SU10429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резьб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KR19980057036U (ko) 커플링
KR19980017843U (ko) 크랭크축 회전용 렌치
JPH0538246Y2 (ko)
EP1127659A3 (en) Fluid operated torque t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