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860Y1 -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860Y1
KR200154860Y1 KR2019940028798U KR19940028798U KR200154860Y1 KR 200154860 Y1 KR200154860 Y1 KR 200154860Y1 KR 2019940028798 U KR2019940028798 U KR 2019940028798U KR 19940028798 U KR19940028798 U KR 19940028798U KR 200154860 Y1 KR200154860 Y1 KR 200154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coupled
fastening
power transmis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931U (ko
Inventor
이의훈
임성호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40028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860Y1/ko
Publication of KR960014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0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deformation of a resilient body or a body of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과 풀리(Pulley), 체인 스프라켓(Chain sprocket)등의 회전체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는 회전축의 관통을 허용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수용부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플렌지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클램프, 및 개구부 양측의 플렌지들을 체결하여 수용된 회전축에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창치
제1도는 벨트풀리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세트스크류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벨트풀리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풀리 111 : 암나사부
112 : 축결합부 120 : 클램프
121 : 축수용부 122 : 숫나사부
123 : 개구부 124 : 플렌지
125 : 나사결합공 130 : 회전축
140 : 나사 141 : 너트
본 고안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과 풀리(Pulley), 체인 스프라켓(Chain sprocket)등의 회전체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축간의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벨트나 체인등이 많이 사용된다. 회전축간의 동력전달을 위하여 벨트나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회전축들에는 벨트풀리, 체인스프라켓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같은 벨트풀리, 체인스프라켓등의 회전체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세트스크류(Set screw)를 사용하거나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가 많이 사용된다. 그 외에 열박음등의 억지끼워맞춤도 이용된다.
제1도는 벨트풀리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세트스크류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10)에는 벨트풀리(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벨트풀리(20)에는 회전축(10)이 삽입되는 축결합공(21)과 세트스크류(30)를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결합공(22)은 축결합공(21)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축(10)을 축결합공(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세트스크류(30)를 스크류결합공(22)에 결합하면 벨트풀리(20)는 회전축(10)에 고정된다. 이때 벨트풀리(20)를 고정하는 힘은 세트스크류(30)와 회전축(10)간의 마찰력에 의존한다. 이와같이 세트스크류(30)를 이용하여 벨트풀리(20)등을 회전축(10)에 고정하는 경우, 회전축(10)과 벨트풀리(20)등의 분해, 결합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큰동력을 전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제2도는 벨트풀리를 회전축에 고정하기 위하여 쐐기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2도에는 회전축(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회전축(10)에는 벨트풀리(20)가 결합되어 있다. 이 벨트풀리(20)는 회전축(10)이 결합되는 축결합공(21)을 구비하고 있고, 한쪽 측면에는 축결합공(21)보다는 큰 쐐기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쐐기결합홈(23) 바깥쪽의 벨트풀리(20)의 측면 가장자리부근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암나사(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벨트풀리(20)의 쐐기 결합홈(23)에는 쐐기(40)와 쐐기(40)를 일정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판(50)이 결합되어 있다. 누름판(50)은 가운데부분에 회전축(10)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고, 쐐기결합홈(23) 바깥쪽의 벨트풀리(20)의 측면에 걸리는 걸림턱(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걸림턱(52)에는 볼트결합을 위한 암나사(24)와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53)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결합구(53)들에는 볼트(60)들이 결합되어 있다. 즉, 볼트(60)들을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누름판(50)은 쐐기결합흠(23)으로 점점 더 깊이 삽입되게 된다. 그러면, 누름판(50)은 누름판(50)에 접촉되어 있는 쐐기(40)들을 안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누름판(50)에 접촉되어 있던 쐐기(40)들은 안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쐐기(40)들과 회전축(10)간 및 쐐기(40)들과 쐐기결합홈(23)의 내부측면간의 마찰력은 점점 커지게 된다. 이 마찰력이 일정 이상 커지면 벨트풀리(20)는 회전축(10)에 고정되게 된다. 이상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같은 체결장치는 볼트가 결합되는 부분이 필요하므로 이 부분이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는 제약조건을 가지고 있다.
제1도와 제2도를 통하여 설명한것 외에 열박음등의 억지끼워맞춤은 작업이 힘들고, 분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벨트풀리등의 회전체와 회전축간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고 체결력이 뛰어난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동력을 전달하거나 받기 위한 회전체를 상호 체결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관통을 허용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수용부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플렌지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클램프, 및 상기 개구부 양측의 플렌지들을 체결하여 상기 수용된 회전축에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3도에는 풀리(1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풀리(110)는 암나사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암나사부(111)의 나사산은 두 부분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암나사부(111)의 가운데 부분에는 단이진 축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단이진 축결합부(112)를 없애고, 암나사부(111)의 나사산은 필요에 따라 한 방향으로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풀리(110)의 양측면에 클램프(12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클램프(120)는 축수용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축수용부(121)는 회전축(130)의 단면모양과 동일한 단면모양의 빈공간을 갖게 하는 것이 좋다. 이 축수용부(121)로는 통상의 회전축(130)의 단면모양인 원형의 것이 적당하다. 클램프(120)는 외주면에 숫나사부(122)를 갖는다. 이 숫나사부(122)는 풀리(110)의 암나사부(111)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 숫나사부(122)의 옆쪽에는 개구부(12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23)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렌지(124)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렌지(124)들에는 나사결합공(125)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결합공(125)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나사결합공(125)은 나사(14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나사결합공(125)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너트(141)를 사용하여야 하고,나사결합공(125)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나사(140)만을 사용하여도 된다. 단, 이 경우 나사머리 반대편의 나사결합공(125)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회전축(130)을 풀리(110) 오른쪽의 클램프(120)의 축수용부(121)에 삽입하고, 오른쪽 클램프(120)를 돌려서 풀리(110)의 오른쪽 측면의 암나사부(111)에 결합한다. 그런다음, 왼쪽 클램프(120)를 돌려 풀리(110)의 왼쪽측면의 암나사부(111)에 결합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전축(13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잡고, 나사(140)들을 나사결합공(125)에 차례대로 결합한다. 이에 따라 클램프(120)의 플렌지(124)들은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클램프(120)의 개구부(123)부근의 축수용부(121)의 내부공간도 점차 줄어들게 된다. 결국, 클램프(120)와 회전축(130)은 서로 고정되게 되고, 플리(110)도 회전축(13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풀리(110)의 암나사부(111)에는 클램프(120)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고, 클램프(120)의 축수용부(l21)에는 회전축(130)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전축(130)이 어느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풀리(110) 양측의 클램프(120)들중 적어도 하나는 잠겨지게 되므로 풀리(110)가 회전축(130)에서 이탈될 염려는 없다. 또한, 풀리(110)에는 회전축(130)과 직접 끼워맞춤 되어지는 축결합부(112)가 있어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다.
이상 제3도와 제4도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동력 전달부재의 체결장치를 사용하면 풀리등의 회전체와 회전축간의 분리, 결합이 극히 용이하다. 뿐만아니라, 쐐기를 사용하기에 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본 고안의 체결장치를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회전축에서 풀리등의 회전체가 이탈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동력을 전달하거나 받기 위한 회전체를 상호 체결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관통을 허용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수용부를 구비하고, 일측에는 플렌지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갖는 클림프; 및
    상기 개구부 양측의 플렌지들을 체결하여 상기 수용된 회전축에 상기 클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암나사부에는 나사산의 진행방향이 서로 다른 제1암나사부와 제2암나사부가 구분되어져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나사부와 제2암나사부사이에는 상기 회전축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축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축결합부가 돌출되게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제1암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암나사부에는 상기 제1암나사부에 결합된 상기 클램프와 마주보는 클램프가 더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체결수단은 상기 플렌지들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나사결합공에 결합된 나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KR2019940028798U 1994-10-31 1994-10-31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KR200154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98U KR200154860Y1 (ko) 1994-10-31 1994-10-31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798U KR200154860Y1 (ko) 1994-10-31 1994-10-31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931U KR960014931U (ko) 1996-05-17
KR200154860Y1 true KR200154860Y1 (ko) 1999-08-16

Family

ID=1939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798U KR200154860Y1 (ko) 1994-10-31 1994-10-31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13A1 (ko) * 2015-11-23 2017-06-01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 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913A1 (ko) * 2015-11-23 2017-06-01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의 양단 회전부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931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7356A (en) Split sprocket assembly
US4227826A (en) Hub-locking device
SU1718732A3 (ru) Закре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его варианты) и закрепите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JP4887538B2 (ja) テーパロックベアリングアセンブリ
US4964842A (en) Two piece power transmission component
US4140413A (en) Hub-locking device
KR920703254A (ko) 두 공구부분을 연결하는 장치
US4624597A (en) Flanged bushing mounting adaptor
US5848947A (en) Split power transfer member
US5639176A (en) Clamping set
KR100853326B1 (ko) 샤프트 커플링
KR200154860Y1 (ko) 동력전달부재의 체결장치
US3368833A (en) Hub and bushing structure
KR20090122350A (ko) 체결구조 및 그에 포함된 체결볼트
JPH05272546A (ja) 回転伝達部材の回転軸取付け構造
US7111523B1 (en) Rotational power transmitting drive component with improved acoustic and assembly characteristics
JPH1013101A (ja) フランジ付管の接続器具
JP2004162732A (ja) トルク伝達具
KR810001220Y1 (ko) 토오크 렌치(torque wrench)용 어태치먼트(attachment)
JPH09273514A (ja) 回転伝達部材の回転軸取付構造
KR19980057036U (ko) 커플링
KR20130002606U (ko) 유 볼트용 너트 체결기
JPH11141563A (ja) 回転体固定具
US20240209899A1 (en) Keyless shaft assembly and keyless drive or idler wheel
US6739794B1 (en) Key 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