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929U -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929U
KR19980029929U KR2019960043008U KR19960043008U KR19980029929U KR 19980029929 U KR19980029929 U KR 19980029929U KR 2019960043008 U KR2019960043008 U KR 2019960043008U KR 19960043008 U KR19960043008 U KR 19960043008U KR 19980029929 U KR19980029929 U KR 19980029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room lamp
engine room
lamp device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3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929U/ko
Publication of KR19980029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92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60Q3/53Modular mounting systems, e.g. using tracks, rails or multiple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의 저면에 사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룸램프를 구성하여 야간시 어느 위치든지 용이하게 조사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저면의 중앙부에 탈착홈(12)을 형성하고 그 홈(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14)을 형성하여 그 가이드 레일(14)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슬라이딩된 특정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일정자장을 갖는 영구자석(22)을 후드(10)와 맞닿는 상부에 설치하며 전후로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엔진룸(1)을 조사하는 룸램프(20)를 구비하되, 상기 룸램프(20)는 전원부로부터 각 위치로 신축자재되기 위해 전선(22)을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드의 저면에 사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룸램프를 구성하여 야간시 어느 위치든지 용이하게 조사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면 냉각수 부족에 따른 엔진의 과열, 팬벨트의 단선, 엔진오일의 부족이나 교체시기 지연에 따른 엔진의 이상 등으로 애로사항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애로사항으로 인해 운전자는 자동차를 갓길에다 정차시킨후 차량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응급조치를 하기 위해 후드를 열고 엔진룸에 장착된 각 요소를 파악하게 된다.
차량대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가벼운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요령이나 지식 등을 숙지하는 승차자가 많고 이는 자차를 가짐에 따른 필수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항들이 야간시에 행해지게 될 때 후드를 열더라도 그 내부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운전자는 이와같은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별도의 후렛쉬를 구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보관상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드의 저면에 사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룸램프를 구성하여 야간시 어느 위치든지 용이하게 조사시키도록 하는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저면의 중앙부에 탈착홈을 형성하고 그 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여 그 가이드 레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슬라이딩된 특정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일정자장을 갖는 영구자석을 후드와 맞닿는 상부에 설치하며 전후로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엔진룸을 조사하는 룸램프를 구비하되, 상기 룸램프는 전원부로부터 각 위치로 신축자재되기 위해 전선을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를 도시한 후드가 열 린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단 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엔진룸, 10: 후드,
12: 탈착홈, 14: 가이드 레일,
20: 룸램프, 22: 영구자석,
24: 슬라이딩 홈, 26: 램프 브래킷,
28: 핀, 30: 전선,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를 도시한 후드가 열린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자동차의 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저면의 중앙부에 탈착홈(12)을 형성하고 그 홈(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14)을 형성하여 그 가이드 레일(14)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슬라이딩된 특정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일정자장을 갖는 영구자석(22)을 후드(10)와 맞닿는 상부에 설치하며 전후로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엔진룸(1)을 조사하는 룸램프(20)를 구비하되, 상기 룸램프(20)는 전원부로부터 각 위치로 신축자재되기 위해 전선(30)을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상기 룸램프(20)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가이드 레일(14)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슬라이딩 홈(24)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후드(10)에 착탈되어 변위된 상태가 유지되기 위해 일정 자장을 갖는 영구자석(22)이 부설되는 램프 브래킷(26)이 구비되고, 그 브래킷(26)의 하부에 상기 룸램프(20)가 일방향으로 회동되게 핀(28)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야간시 차량에 이상상태가 발견되어 엔진룸(1)에 위치된 각 요소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드(10)를 먼저 오픈시킨 후 룸램프(20)를 후드(10) 저면에 형성된 방사상의 가이드 레일(14)에 슬라이딩 홈(24)결합된 램프 브래킷(26)을 탈착홈(12)을 중심으로 원하는 위치에 이르게 슬라이딩시킨 후 놓으면 일정자장의 영구자석(22)에 의해 후드(10)내측면에 부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후 엔진룸(1)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룸램프(20)를 회동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룸램프(20)의 전선(30)은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범위에서의 룸램프(20)의 위치변위는 얼마든지 허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을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야간의 차량 수리시에 별도의 후레쉬를 구비하여야 할 필요가 없고 또한, 룸램프를 후드에 간단히 부착하여 수리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혼자서도 얼마든지 가능할 뿐 아니라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어 여러 가지 번거러움이 제거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후드에 있어서,
    상기 후드(10)의 저면의 중앙부에 탈착홈(12)을 형성하고 그 홈(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14)을 형성하여 그 가이드 레일(14)으로 슬라이딩 결합되고 슬라이딩된 특정위치에서 위치고정되게 일정자장을 갖는 영구자석(22)을 후드(10)와 맞닿는 상부에 설치하며 전후로 조사각을 변경할 수 있게 힌지결합되어 엔진룸(1)을 조사하는 룸램프(20)를 구비하되, 상기 룸램프(20)는 전원부로부터 각 위치로 신축자재되기 위해 전선(30)을 스프링 형태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KR2019960043008U 1996-11-28 1996-11-28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KR199800299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08U KR19980029929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008U KR19980029929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929U true KR19980029929U (ko) 1998-08-17

Family

ID=5398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008U KR19980029929U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9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96B1 (ko) * 2011-12-22 2013-10-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룸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96B1 (ko) * 2011-12-22 2013-10-08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의 러기지룸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632B1 (ko) 차량용 라이팅 장치
KR19980029929U (ko) 자동차 후드의 엔진룸 램프장치
KR0135162Y1 (ko)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KR0117404Y1 (ko) 자동차의 작업등
JPS5923631Y2 (ja) トラツクにおけるステツプランプ
KR970006398Y1 (ko) 자동차의 엔진실 조명장치
DE69604980T2 (de) Kraftfahrzeugwechselstromgenerator mit Mittel zum Abdecken der Kühlluftzuführöffnung
KR100505870B1 (ko) 엔진룸 조명장치
KR100358915B1 (ko) 차량 엔진룸 조명장치
KR970006399Y1 (ko) 자동차 엔진 후드의 조명장치
DE69510481T2 (de) Armaturenbrett für Kraftfahrzeuge mit Beleuchtungseinrichtung
KR200385016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KR19980056632A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KR19980074391A (ko) 차량정비용 조명기구
KR19980040799U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KR19980043087U (ko) 자동차용 정비램프장치
KR200143669Y1 (ko) 헤드램프를 이용한 빛 유도장치
KR19980030254A (ko) 자동차용 탈착식 룸램프
KR0173670B1 (ko) 백셀프 패널 내장형 경광등 조립체
KR200180853Y1 (ko) 자동차의 도어 암레스트용 램프
KR0124618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작업등
DE20213912U1 (de) Sonnenblende und Innenraumbeleuchtung
KR19990025272A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고정장치
KR19980035775U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DE20121903U1 (de) Motorraumbeleuchtung für PKW u. LKW's mit aller Arten von Leuchtstofflampen oder Leuchtstrahler eingebaut vorgese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