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162Y1 -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162Y1
KR0135162Y1 KR2019960043932U KR19960043932U KR0135162Y1 KR 0135162 Y1 KR0135162 Y1 KR 0135162Y1 KR 2019960043932 U KR2019960043932 U KR 2019960043932U KR 19960043932 U KR19960043932 U KR 19960043932U KR 0135162 Y1 KR0135162 Y1 KR 0135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or
supply line
power supply
vehic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788U (ko
Inventor
심재경
Original Assignee
양재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선
Priority to KR2019960043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1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0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16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룸내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전원공급선(10);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10)이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는 권취기(20);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는 스위치 및 조명등이 제공되며, 상부면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양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조명기(30); 및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조명기(3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명기(30)의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제 1부재 및 제 2부재를 구비한 장착브래킷(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차량의 엔진룸 뿐 아니라 여러위치를 조명하여 용이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본 고안은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드패널 후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고 와이어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어 야간에 자동차의 원하는 위치를 조명하며 점검 또는 수리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에는 자동차의 엔진 뿐 아니라 자동차의 구동 및 주행을 위한 다양한 구성 부품이 복잡하게 답재되어 있다. 이에따라, 엔진 또는 기타 다른 구성요소가 고장이 나거나 수리를 요하는 경우 또는 냉각수 및 엔진오일과 같은 필요성분의 교체 또는 교환을 요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1)을 덮고 있는 후드(2)를 개방하여 엔진룸의 해당 부분을 살피거나 수리해야 한다. 그러나, 야간 주행시 조명을 제공받지 못하는 위치에서 자동차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큰 낭패를 볼 수 있으며, 비록 손전등을 구비한 경우라도 별도의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엔진룸을 쉽게 관찰하거나 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최근에는 엔진 후드의 내측 패널에 조명등(3)을 설치하여 차량의 고장시 엔진룸(1)을 조명하도록 하는 방식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조명등(3)은 후드패널에 고정되어 있어 엔진룸(1)만을 조명하게 된다. 이에따라 엔진룸 이외의 부분을 점검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등을 필요로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룸 및 자동차의 여러 위치를 조명할 수 있는 차량 점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후드의 내측 패널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차량 점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후드의 여러위치에 고정식으로 부착할 수 있는 차량 점검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엔진룸내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전원공급선;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이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는 권취기;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는 스위치 및 조명등이 제공되며, 상부면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양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조명기; 및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조명기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명기의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제 1부재 및 제 2부재를 구비한 장착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점검용 조명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룸 2 : 후드
10 : 전원공급선 20 : 권취기
21 : 고정판 22 : 지지판
23 : 권취로드 30 : 조명기
31 : 본체 32,33 : 돌출부
34 : 손잡이 35 : 조명등
36 : 스위치 37 : 자석
40 : 고정브래킷 41 : 제 1부재
42 : 제 2부재 43,44 : 고정구
45,46 : 가이드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일부의 구성요소는 명확성을 위해 부분 절취하여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는 전원공급선(10), 권취기(20), 조명기(30), 장착브래킷(4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원공급선(10)은 예컨대 엔진룸(1)에 배치된 배터리(4)에 일단부(11)가 연결되며 타단부(12)는 상세히 후술되는 조명기의 램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은 배터리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위치하는 자동차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선(10)은 정상 상태에서는 권치기(20)에 감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권취기(20)는 고정판(21)에 의해 엔진 후드의 내측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21)과 이에 대향하는 지지판(22) 사이에 형성된 권취로드(23)에 와이어가 감겨진다.
또한 상기 조명기(30)는 플레이트형 본체(31)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31)의 양측변에는 돌출부(32,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일측에는 조명기(30) 자체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34)가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31)의 하부면에는 조명등(35)이 제공되어 있으며, 또한 온/오프(ON/OFF)식 스위치(36)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30)의 본체(31)의 상부변에는 자석(37)이 부착되어 있어 조명기(30)를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원하는 자동차의 위치에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0)은 각각의 고정구(43,44)에 의해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예컨대 볼트 고정되는 제 1부재(41) 및 제 2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부재(41)에는 상기 조명기(30)의 본체(31)에 형성된 돌출부(32)가 삽입되어 안내 및 이동되는 가이드홈(45)이 상기 제 2부재(42)에는 상기 조명기(30)의 본체(31)에 형성된 돌출부(33)가 삽입되어 안내 및 이동되는 가이드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기 조명기(30)는 상기 고정브래킷(40)에 의해 후드패널의 내측패널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점검하는 방식에 의하면, 먼저 야간에 엔진룸을 점검하거나 수리를 요하는 경우에는 엔진후드(2)를 개방한 후 조명기(30)의 스위치(36)를 온(ON) 상태로하여 조명등(35)으로 하여금 엔진룸(1)의 구성부품을 점검하거나 수리한다.
특히, 엔진룸의 특정부분, 차량의 후방부 또는 하부 차체를 점검 및 수리하는 경우에는 조명기(30)의 손잡이(34)를 파지하여 본체(31)를 밀어내거나 잡아당겨 조명기(30)를 브래킷(40)으로부터 탈거한 후 권취기(20)에 잠겨있는 전원공급선을 풀어 조명기(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일정한 위치를 고정적으로 조명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조명기(30)에 부착된 자석(37)을 차체의 제위치에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점검 또는 수리를 완료한 후에는 작업위치에서 조명기(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전원공급선(10)을 권취기(20)의 권취로드(23)에 감은 후 조명기(30)의 각각의 돌출부(32,33)를 고정브래킷(40)의 각각의 본체(41,42)에 형성된 가이드 홈(45,46)에 삽입하여 활주방식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에 고정시킨다.
이후, 스위치(36)를 오프(OFF) 시킨후 후드패널을 닫아 엔진룸(1)을 폐쇄한다. 이에따라, 운전자 또는 작업자는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야간에도 자동차의 원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점검용 조명 장치를 엔진후드의 내측 패널에 설치하면, 엔진룸의 다양한 구성부품을 고정적으로 조명하여 용이하게 점검 및 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엔진룸 이외의 차량의 어떤 위치라도 조명하여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원하는 위치에 조명기를 고정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엔진룸내의 배터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전원공급선(10);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전원공급선(10)이 풀림 가능하게 권취되는 권취기(20);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는 스위치 및 조명등이 제공되며, 상부면에는 자석이 부착되고, 양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본체를 구비한 조명기(30); 및 엔진 후드의 내측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조명기(30)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명기(30)의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제 1부재 및 제 2부재를 구비한 장착브래킷(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KR2019960043932U 1996-11-29 1996-11-29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KR0135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32U KR0135162Y1 (ko) 1996-11-29 1996-11-29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932U KR0135162Y1 (ko) 1996-11-29 1996-11-29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88U KR19980030788U (ko) 1998-08-17
KR0135162Y1 true KR0135162Y1 (ko) 1999-02-18

Family

ID=1947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932U KR0135162Y1 (ko) 1996-11-29 1996-11-29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1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788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162Y1 (ko) 차량 점검용 조명장치
KR19980040799U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KR01351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KR970008580B1 (ko) 자동차용 엔진룸램프
KR970006398Y1 (ko) 자동차의 엔진실 조명장치
KR0121027Y1 (ko) 차량의 엔진룸 조명장치
JP2002234389A (ja) 電源ボックスの照明装置
KR19980023420U (ko) 후드내 조명장치
KR19980027529U (ko) 릴 라이트를 구비한 엔진 룸
KR970005220Y1 (ko) 자동차의 정비용 램프
KR19990007664U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KR101180332B1 (ko) 차량용 조명등 박스
KR0119319Y1 (ko) 자동차 엔지룸 이착탈 조명장치
KR100505870B1 (ko) 엔진룸 조명장치
KR0117404Y1 (ko) 자동차의 작업등
KR19980051784A (ko) 위치이동가능한 자동차의 엔진룸램프장치
KR19990024949U (ko) 자동차 후드의 조명등 장착 구조
KR0124618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작업등
KR20040108166A (ko) 차량의 엔진룸 조명장치
KR013760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빛 유도장치
KR20010019527A (ko) 차량의 작업등 조명장치
KR19980042373U (ko) 위치가 가변되는 실내 룸램프
KR19980044705U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KR19980054085U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조명장치
KR19980056632A (ko) 자동차의 엔진 룸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