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870B1 - 엔진룸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엔진룸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870B1
KR100505870B1 KR10-2002-0063920A KR20020063920A KR100505870B1 KR 100505870 B1 KR100505870 B1 KR 100505870B1 KR 20020063920 A KR20020063920 A KR 20020063920A KR 100505870 B1 KR100505870 B1 KR 100505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fixed
room
moving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69A (ko
Inventor
노지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8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5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manual control of the light, e.g. of colour, orientation or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F21V27/02Cable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룸을 형성하는 룸 하우징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조명부재가 장착되고, 룸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조명부재가 장착되며, 후드상에는 상기 이동조명부재가 고정 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곳에서 룸 엔진 내부에 빛을 조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룸 조명장치{LIGHTING DEVICE OF ENGINE-ROOM}
본 발명은 엔진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엔진룸을 형성하는 룸 하우징의 양측에 고정되는 고정조명부재가 장착되고, 룸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됨과 동시에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조명부재가 장착되며, 후드상에는 상기 이동조명부재가 고정 가능한 거치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곳에서 룸 엔진 내부에 빛을 조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자동차 점검을 위해, 또는 야간운전 중에 자동차의 이상으로 문제가 생긴 경우, 차량의 엔진룸 후드를 열은 상태에서 지지대에 의해 상기 엔진룸 후드가 밑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고정시킨 다음, 손전등이나 어두운 상태 그대로 엔진룸의 부속장치들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주위에 다른 사람이 없는 경우, 운전자는 한 손에 손전등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손만을 사용하여 차량의 수리 및 점검을 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손전등이 없는 경우에는, 어두운 상태에서 열로 가열되어 있는 엔진부나 여러 가지 부속장치 등을 손으로 만져보다가 화상이나 감전 또는 타이밍벨트 등에 손이 감기어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의 외형을 이루는 룸 하우징에 다수의 조명부재를 장착하되 일부는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빛이 보고자 하는 부분에 효과적으로 조사되어 야간 작업이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에 의해 엔진룸의 상부를 덮는 후드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고, 차량의 전자 장치 및 연소를 위한 장치, 그 외에 다수의 부품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룸 하우징이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조명부재와;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이동조명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조명부재는 룸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전방이 개방된 끼움고정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에 고정되어 빛을 비추어주는 고정조명부와; 상기 고정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는 고무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조명부재는 빛을 비추어주는 이동조명부와; 상기 이동조명부 하부에 구비되고, 이동조명부 보다 적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손잡이부와;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양쪽으로 감싸면서 이동조명부가 상측에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고정부와; 상기 이동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후드의 면상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조명부재의 손잡이부 하부에는 고리형상으로 고정홈에 걸리기 위한 고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조명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조명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실시예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장치는 룸 하우징의 양측면과 후면에 다수의 고정조명부재 및 이동조명부재가 구비되어 야간에 후드를 개방하더라도 엔진룸의 각종 부속품들을 용이하게 식별 및 점검할 수 있고, 이러한 조명으로 인해 다른 차량이 멀리서도 식별 가능하여 안전을 최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대(15)에 의해 엔진룸(10)의 상부를 덮는 후드(11)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고, 차량의 전자 장치 및 연소를 위한 장치, 그 외에 다수의 부품이 엔진룸(10)을 형성하는 룸 하우징(14)이 차량에 구비되는데, 상기 룸 하우징(14)의 내부 양측면에는 다수의 고정조명부재(21)가 구비되고, 상기 룸 하우징(14)의 내부 후면에는 다수의 이동조명부재(3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조명부재(21)는 룸 하우징(14)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전방이 개방된 끼움고정부(23)와, 상기 끼움고정부(23)에 고정되어 빛을 비추어주는 고정조명부(22)와, 상기 고정조명부(2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17)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부(17)는 룸 하우징(14)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선홀(18)을 관통하여 차량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53)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상기 끼움고정부(23)는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을 이용하여 고정조명부(22)가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조명부재(31)는 빛을 비추어주는 이동조명부(32)와, 상기 이동조명부(32) 하부에 구비되고, 이동조명부(32) 보다 적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손잡이부(33)와, 상기 룸 하우징(14)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33)를 양쪽으로 감싸면서 이동조명부(32)가 상측에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고정부(35)와, 상기 이동조명부(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17)로 구성되고, 상기 전선부(17)는 룸 하우징(14)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선홀(18)을 관통하여 차량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53)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드(11)의 면상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거치부(12)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12)에는 다수의 고정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조명부재(31)의 손잡이부(33) 하부에는 고리형상으로 고정홈(13)에 걸리기 위한 고리부(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조명부재(31)는 밝히고자 하는 부분의 거치부(12)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빛을 비추게 하는데, 상기 이동조명부재(31)의 이동이 자연스럽도록 전선부(17)는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전선을 감아주는 전선권취부(52)에 감겨 있고, 이러한 전선권취부(52)는 복잡한 부품들로 가득 찬 엔진룸(10) 보다는 룸 하우징(14)의 후면 외측에 배치되어, 전선이 전선홀(18)을 관통하여 전선권취부(52)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룸 하우징(14)이나 차량 내부에는 스위치부(51)가 장착됨으로서, 고정조명부(22)와 이동조명부(32)에 전원이 공급 및 차단 되도록 제어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후드(11)를 개방시키고, 스위치부(51)를 통해 각 조명부(22,32)에 전원을 공급시키면, 고정조명부(22)와 이동조명부(32)가 빛을 내어 어두운 곳을 밝혀준다.
그리고, 엔진룸(10)의 구석을 보기 위해 이동조명부재(3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서 삽입고정부(35)의 개방된 쪽으로 빼내어 빛이 잘 조사되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는 거치부(12)의 고정홈(13)에 고리부(34)를 걸어, 작업 중 어두운 곳이 없도록 한다.
이때, 운전자 외에 보조자가 있다면, 이 보조자는 이동조명부재(31)의 손잡이부(33)를 잡고 점검이 필요한 곳에 빛을 비추어 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 조명 장치는 기본적으로 고정조명부재가 장착되어 엔진룸의 측부분을 밝게 해주고, 이동 장착 가능한 이동조명부재가 점검을 위해 좀더 밝은 빛이 필요하거나, 빛이 잘 조사되지 않는 곳으로 이동하여 고정되어 빛을 비추어 줌으로서, 야간에 별도의 조명 기구의 사용 없이 용이하게 차량을 점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조명의 사용으로 거리가 먼 곳에서 다가오는 차량에 경고를 함으로서,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룸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조명부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조명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룸 17 : 전선부
21 : 고정조명부재 22 : 고정조명부
23 : 끼움고정부 31 : 이동조명부재
32 : 이동조명부 33 : 손잡이부
34 : 고리부 35 : 삽입고정부
51 : 스위치부 52 : 전선권취부

Claims (5)

  1. 지지대에 의해 엔진룸의 상부를 덮는 후드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 가능하고, 차량의 전자 장치 및 연소를 위한 장치, 그 외에 다수의 부품이 엔진룸을 형성하는 룸 하우징이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조명부재와;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이동조명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조명부재는 빛을 비추어주는 이동조명부와;
    상기 이동조명부 하부에 구비되고, 이동조명부 보다 적은 반지름을 가지는 원통형의 손잡이부와;
    상기 룸 하우징의 내부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양쪽으로 감싸면서 이동조명부가 상측에 안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삽입고정부와;
    상기 이동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와;
    상기 전선부를 탄성에 의해 권취하도록 룸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전선권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명부재는 룸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며 전방이 개방된 끼움고정부와;
    상기 끼움고정부에 고정되어 빛을 비추어주는 고정조명부와;
    상기 고정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조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정부는 고무재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조명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면상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의 거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조명부재의 손잡이부 하부에는 고리형상으로 고정홈에 걸리기 위한 고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조명 장치.
KR10-2002-0063920A 2002-10-18 2002-10-18 엔진룸 조명장치 KR100505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20A KR100505870B1 (ko) 2002-10-18 2002-10-18 엔진룸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20A KR100505870B1 (ko) 2002-10-18 2002-10-18 엔진룸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69A KR20040035169A (ko) 2004-04-29
KR100505870B1 true KR100505870B1 (ko) 2005-08-04

Family

ID=373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20A KR100505870B1 (ko) 2002-10-18 2002-10-18 엔진룸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0045A (zh) * 2016-12-16 2017-06-06 无锡市盛源汽车配件厂 具备移动式照明辅助功能的汽车引擎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69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77519T1 (de) Beleuchteter kosmetikspiegel
CN110123541A (zh) 轮椅脚踏
KR100505870B1 (ko) 엔진룸 조명장치
KR200438083Y1 (ko) 자전거의 안전발광장치
CN208670643U (zh) 一种伸缩手电筒
KR01351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KR20220149043A (ko) 자동차용 후드 작업 조명 장치
KR100358915B1 (ko) 차량 엔진룸 조명장치
KR0184166B1 (ko) 본네트 램프장치
KR101565756B1 (ko) 차량용 간접조명장치
KR200428231Y1 (ko) 이엘을 이용한 자동차 매트 램프
KR0126174Y1 (ko) 자동차의 조명기구
KR0120682Y1 (ko) 자동차용 정비등
KR0161178B1 (ko) 자동차의 트렁크내부에 설치되는 램프의 탈착구조
JPS6245926Y2 (ko)
KR200154235Y1 (ko) 밴타입 자동차의 트렁크용 램프의 구조
KR101180332B1 (ko) 차량용 조명등 박스
KR19980042373U (ko) 위치가 가변되는 실내 룸램프
KR200340892Y1 (ko) 자동차의 후드등
KR19980075939A (ko) 차량의 본네트 스테이홈 조명장치
US1365514A (en) Automobile-signal
JPH04112131U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070039687A (ko) 무드램프 조립구조
KR19980051597U (ko) 엔진룸용 조명장치
KR20030062890A (ko) 차실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