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892Y1 - 자동차의 후드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892Y1
KR200340892Y1 KR20-2003-0029809U KR20030029809U KR200340892Y1 KR 200340892 Y1 KR200340892 Y1 KR 200340892Y1 KR 20030029809 U KR20030029809 U KR 20030029809U KR 200340892 Y1 KR200340892 Y1 KR 200340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r
lamp
n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혁
Original Assignee
홍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혁 filed Critical 홍상혁
Priority to KR20-2003-0029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8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hood) 안쪽면에 조명등을 달아, 야간이나 차고 등에서 자동차 엔진룸의 점검이나 정비를 할 때 자동차가 자체적으로 엔진룸을 밝힐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드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는 자동차 엔진룸 쪽에는 아무런 조명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야간에 자동차를 정비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손전등을 쓰거나, 자신의 집 앞이나 차고 속이면 전원을 끌어와 걸어두는 조명등을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야간에 노상에서 갑작스럽게 자동차를 점검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손전등은 항상 차내에 비치되어 있는 것도 아니며, 비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배터리의 방전으로 불빛이 흐리거나 불이 켜지지 않는 일이 흔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1) 앞부분의 내면에 엔진룸(2) 쪽으로 빛을 비출 수 있도록 경사각(θ)을 둔 조명등(3)을 장치하여, 야간에 또는 차고처럼 그다지 밝지 않은 곳에서 자동차 엔진룸(2)을 점검하거나 정비 작업을 할 때 손전등이나 별도의 실내등 없이도 엔진룸을 밝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등{Hood lamp of a mot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드 안쪽면에 조명등을 장치하여, 야간이나 밝지 않은 차고 등에서 엔진룸을 점검하거나 수리작업을 할 때 광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야간에 자동차를 정비할 때 종래에는 손전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손전등은 자동차의 후드를 열고 작업할 때, 둘 곳이 마땅치 않으면 한손에 들고 정비할 부분을 비추면서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손전등을 비춰줄 보조자가 없을 경우에는 한손을 계속 손전등에 할애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해진다. 그리고 손전등은 차내에 항상 비치되어 있는 물건도 아니고, 차내에 비치한 경우에도 시간이 오래 지나면 손전등을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배터리가 방전이 되어 막상 사용하려 하면 불빛이 흐리거나 무용지물인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야간에 노상에서 예기치 않은 이상이 발생하여 자동차의 엔진룸을 점검해야 할 경우에는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자동차를 자신의 집 앞이나 차고에서 정비할 때는 가정 전원을 사용하는 조명등을 전선을 길게 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별도의 조명등이나 연결전선도 미리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고, 또 사용 후에는 치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후드에는 조명등을 걸만한 곳이 마땅치도 않고, 조명등의 빛도 위나 옆으로 분산되기 쉽다.
본 고안은 야간이나 그다지 밝지 않은 차고 등에서 자동차를 점검하거나 정비작업을 할 때, 손전등이나 주변의 전원을 이용하는 별도의 조명설비를 사용하지않고 조명 문제를 자동차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후드등의 구성 요소도
도 2는 후드등의 위치도
도 3은 본 고안의 후드등을 장착한 자동차의 측면도
도 4는 후드의 양쪽에 후드등을 배치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자동차의 후드 2. 자동차의 엔진룸
3. 후드의 안쪽면에 설치된 조명등 4. 자동차 배터리
5. 후드등의 스위치 6. 후드등의 전구
7. 자동차의 퓨즈 박스 8. 후드등의 케이스
9. 후드등의 퓨즈 10. 후드등 전구의 투명 덮개
11. 회로를 구성하는 전선 12. 후드등의 부착대
13. 후드 안쪽면의 골격 14. 엔진룸 측면의 골격
θ. 후드등의 경사각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이 요소들이 형성하는 전기회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1)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조명등(3)(이하 후드등으로 약칭함)과 부착대(12), 이 후드등(3)을 단속하는 스위치(5), 후드등의 전원이 되는 배터리(4), 그리고 퓨즈(9) 및 전선(11)으로 구성된다. 후드등(3)은 내부의 전구(6)와 케이스(8) 및 등 전면부의 덮개(1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후드등은 후드(1) 앞쪽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도 1에서 후드등의 내부를 보이기 위하여 후드등(3)의 한쪽 측면과 부착대(12)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였다.
도 2는 후드등(3)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후드등을 장착한 자동차의 측면도이다. 후드등은 후드(1)의 둥글게 휘어진 부분이나 그 바로 뒤에 장착한다. 후드등은 가능한 한 납작한 형태로 구성하고, 후드를 닫았을 때 엔진룸(2) 속의 다른 부품들과 닿지 않도록 어느 정도 공간의 여유가 있는 위치에 부착해야 한다. 후드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드(1)를 완전히 열었을 때 후드등(3)의 전면이 엔진룸을 향하도록 경사각(θ)을 가진 부착대(12)에 장착되어 후드등의 빛이 엔진룸 전체를 골고루 비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드등의 부착대(12)(도 1 참조)는 나사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후드의 안쪽 골격부(13)(도 2 참조)에 고정시킨다.
엔진룸을 환하게 밝히기 위해서, 후드등의 전구(6)는 일반적인 전구보다는자동차의 전조등 램프처럼 빛이 강렬한 할로겐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등의 스위치(5)(도 1 및 도 2 참조)는 자동차의 배터리 부근이나 후드 안쪽면의 손이 닿기 쉬운 곳에 둔다. 후드등의 스위치에 빗물이 스며들지 않아야 하므로, 후드등의 스위치는 퓨즈 박스(7)(도 2 참조)의 내부나 측면에 장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퓨즈 박스(7)는 배터리(4)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 손이 닿기 쉽고, 뚜껑도 있어서 빗물이나 먼지 등을 막기에 적당하다.
후드등의 스위치를 퓨즈 박스 안에 두지 않을 경우에는 빗물이 튀지 않을만한 곳에 두어야 하며, 스위치를 후드에 부착할 경우에는 가급적 엔진과 멀리 떨어지도록 하고, 엔진의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좋은 스위치를 사용한다.
후드등(3)은 자동차의 배터리(4)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도 1 및 도 2 참조). 후드등은 자동차를 정비하거나 점검할 때 사용하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도 켤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후드등의 점멸을 자동차의 시동키와 관계없이 후드등 전용의 스위치(5) 하나로만 단속하도록 하였다. 후드등의 회로에는 비정상적인 과도 전류의 흐름을 막을 수 있도록 퓨즈(9)(도 1 참조)를 두는 것이 안전하지만, 일반적인 조명등의 회로에서 조명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보통은 조명등의 필라멘트가 끊어져 회로가 자동적으로 단락되므로, 본 고안에서 퓨즈 부분은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후드등의 케이스(8)(도 1 및 도 3 참조)는 등의 측면으로 빛이 나오지 않도록 불투명한 소재로 구성한다. 또한 엔진이 동작할 때 엔진룸 속은 매우 뜨거워지므로, 후드등의 외부 케이스(8)는 금속이나 열에 강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후드등의 전면을 막는 덮개(10)(도 1 및 도 3 참조)는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되, 후드(1)를 여닫을 때 진동으로 파손되지 않도록 두껍게 구성한다. 후드등의 전면 덮개(10)로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에는 엔진 열기에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후드등의 전선(11)(도 2 참조)은 내열성이 큰 전선으로 하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후드의 골격(13) 내부와 엔진룸의 측면 골격(14) 속으로 배치하여 배터리(4)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후드 및 엔진룸의 측면 골격 속으로 지나가는 전선(11) 부분은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엔진룸이 큰 대형차의 경우나 엔진룸을 그림자 없이 좀더 환하게 비추려면 후드 양쪽으로 2개의 조명등을 장치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2개의 후드등(3)을 장치한 예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후드등을 둘 경우에는 후드(1)의 중앙부와 후드의 양측단 사이의 가운데쯤에 대칭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2개의 후드등을 둘 경우에, 두 조명등은 전원에 병렬로 연결하고 각 조명등의 출력은 한개의 후드등의 경우에 비해 절반 정도로 한다. 도 4에서 후드의 골격(13)과 엔진룸의 측면 골격(14) 구조 속의 전선(11)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후드에 조명등을 달아 자동차가 자체적으로 엔진룸을 밝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손전등이나 외부의 조명등 없이 자동차 점검이나 정비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작업중에 한손으로 계속 붙들어야 하고 광도가 그다지 세지 못한 손전등에 비해, 본 고안은 천정의 조명등처럼 엔진룸 전체를 환하게 비추도록 해주므로 야간의 자동차 점검 및 정비 작업을 좀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후드등은 등의 측면을 불투명하게 막아 빛이 엔진룸 쪽으로만 비치도록 하였으므로, 자동차 정비시에 전등빛에 의한 눈부심을 막아주는 효과도 있다. 이밖에도 본 고안은 야간에 앞바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간접적인 조명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후드(hood)(1) 안쪽면에, 후드의 완전 개방시에 엔진룸(2) 쪽을 향하도록 경사각(θ)을 둔 조명등(3)을 달아 엔진룸을 비출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후드등.
KR20-2003-0029809U 2003-09-19 2003-09-19 자동차의 후드등 KR200340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09U KR200340892Y1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의 후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09U KR200340892Y1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의 후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892Y1 true KR200340892Y1 (ko) 2004-02-11

Family

ID=49424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809U KR200340892Y1 (ko) 2003-09-19 2003-09-19 자동차의 후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8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70Y1 (ko) 차량용 조명기구 고정구조
US5278452A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ular discharge lamp
CN1175469C (zh) 白炽灯
CN103068633A (zh) 车辆引擎盖中的led照明件
KR20130080374A (ko) 헤드램프와 이를 구비한 차량
KR200340892Y1 (ko) 자동차의 후드등
KR20090114666A (ko) 자동차용 도어램프
KR200459787Y1 (ko) 차량용 조명기구 고정구조
KR200453298Y1 (ko) 엘이디용 가로등 헤드
KR200367325Y1 (ko) 안전점검용 터널조명 등기구
CN205640633U (zh) 散热除雾灯具
KR20130117170A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JP2004079224A (ja) 車両用灯具
KR200385016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KR01351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램프
KR19980023499U (ko) 조명등이 구비된 차량용 엔진후드
US787158A (en) Dash-headlight.
KR100505870B1 (ko) 엔진룸 조명장치
CN2343675Y (zh) 卤素灯
JPH0714748Y2 (ja) 換気装置
KR200393045Y1 (ko) 누전차단기가 장착된 터널조명 등기구
GB2377987A (en) Improvements to emergency lighting installations
KR19990007664U (ko) 자동차의 엔진룸 조명장치
KR200179506Y1 (ko) 자동차 후진용 조명등
KR20100066034A (ko) 엘이디용 가로등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