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706A - 쓰레기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706A
KR19980028706A KR1019960047867A KR19960047867A KR19980028706A KR 19980028706 A KR19980028706 A KR 19980028706A KR 1019960047867 A KR1019960047867 A KR 1019960047867A KR 19960047867 A KR19960047867 A KR 19960047867A KR 19980028706 A KR19980028706 A KR 1998002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discharge
main body
dewatering
extrus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80499B1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허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구갑 filed Critical 허구갑
Priority to KR101996004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1/2016Driving control or mechanisms; Arrangement of transmission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5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special construction of screw thread, e.g. segments,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폐수나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 및, 축산폐기물, 제지 폐기물, 하수처리장의 1차스컴(Scum), 채소류와 같이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를 탈수시키기 위한 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탈수몸체내에 배출구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형의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가 투입된 쓰레기를 강제 이송시키면서 쓰레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1차 및 2차로 압축 탈수시키고, 계속해서 이 쓰레기는 압출노즐내로 유입된 뒤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봉과 중량추가 구비된 덮개판에 의해 남아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강제 탈수되므로서 부피와 중량이 대폭 축소되어 소각 및 매립처리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취급에 따른 위생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쓰레기 탈수장치
본 발명은 각종 폐수나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Sludge) 및, 축산 폐기물, 제지 폐기물, 하수처리장의 1차스컴(Scum), 채소류와 같이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를 압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므로서 부피와 중량을 대폭 축소시켜 쓰레기의 소각 및 매립처리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유치할수 있도록 한 쓰레기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수거된 쓰레기를 특정한 장소에 매립하는 매립방법과, 소각처리하는 소각방법이 있다.
그러나, 매립방법의 경우 주변에 심한 악취를 풍기고 침출수로 인한 대기 및 수질오염의 문제가 야기되기 때문에 매립장소와 매립지의 선정에 상당한 제한을 받으며, 소각방법의 경우에는 주변의 대기오염과 함께 가연성 쓰레기외는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불리함 때문에 소각장소의 선정과 소각에 따른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매립방법의 경우에는 쓰레기의 재활용이 전혀 불가능하고, 소각방법의 경우에는 소각에 앞서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전처리공성이 수행되어야 하며 연소시 발생하는 매연이 공기오염을 야기시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를 매립 및 소각하기 전에 침전농축과, 벨트 프레스(Belt Press) 및, 필터 프레스(Filter Press), 그리고 원심 분리방식 등을 이용하여 쓰레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시키므로서 쓰레기의 부피와 중량을 줄여 매립및 소각치리가 용이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계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의 원가상승을 야기시키며, 규모에 비해 탈수효과가 저조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가동이 중단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여과포인 벨트의 파손이 잦아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기계운용에 필요한 인력및 보수비의 과다소요로 인해 설비관리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를 압축하여 그 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므로서 부피와 중량을 대폭 축소시켜 쓰레기의 후처리 과정인 소각과 매립처리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수질 및 대기오염을 방지토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요부 측단면도
(나)는 배출공의 확대 정단면도
도 3은 진공흡입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탈수몸체
21 : 이송통로 26 : 경사면
30 : 압출노즐 40 : 이송스크류
50 : 유압실린더 60 : 작동봉
70 : 덮개판 71 : 중량추
90 : 진공흡입장치 92 : 진공펌프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탈수몸체내에 배출구쪽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탈수몸체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된 쓰레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에 의해 쓰레기가 강제 이송되면서 점차 강한 압축력을 받아 그 속에 포함된 수분(폐수)이 1차 및 2차에 걸쳐 강제 탈수되고, 계속해서 이 쓰레기는 압출노즐내로 유입된 뒤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봉으로 부터 또다시 압축력을 받아 잔여 수분이 3차로 강제 탈수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수장치는 장치 전체를 지지하며 구동원인 모터(11)와, 유압펌프(12) 및, 쓰레기(S)로 부터 탈수된 폐수가 집수되는 집수조(13)를 구비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며 쓰레기(S)의 이송공간인 이송통로(21)와, 상기 이송통로와 연통되는 투입구(22)및 배출구(23)와, 쓰레기로 부터 탈수된 폐수가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공(24)(25)을 구비하는 탈수몸체(20)와; 상기 배출구(23)의 선단에 부착되어 쓰레기의 배출을 안내함과 동시 쓰레기로 부터 탈수된 폐수의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출공(31)이 일체로 구비된 원통형의 압출노줄(30)과;
상기 본체(10)와 탈수몸체(20)의 후면부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모터(11)에 의해 회전하며 그 선단부가 탈수몸체내로 삽입되어 강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0)와; 상기 탈수몸체 후면의 본체상에 설치되어 유압펌프(12)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50)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51)에 연결된채 그 선단부가 이송스크류(40)를 관통하여 이송통로(21)와 압출노즐(30)사이에서 전후작동하므로서 압출노즐내의 쓰레기(S)를 강제로 배출(압출)시키는 작동봉(60)과; 상기 압출노즐(30)의 배출구(32)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쓰레기에 적정압력을 가하므로서 쓰레기의 탈수 및 고형효과를 증대시키는 덮개판(70)과; 상기 탈수몸체(20)와 압출노즐(30)의 배출공(24, 25, 31) 및 폐수유입구(13a, 13b, 13c)를 연결하는 배출통로(80, 81, 82) 및; 상기 탈수몸체의 선단부와 압출노즐의 배출공(25)(31) 및 폐수유입구(13b) (13c)를 연결하는 배출통로(81, 82)에 연결 설치되어 탈수된 폐수를 집수조(13)에 강제로 흡입 및 배출시키는 진공흡입장치(90)를 포함하여서 된다.
본체(10)는 내부가 빈 틀체형상으로서 견고한 금속제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장치 전체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는 모터(11)와 유압펌프(12)는 본체내의 바닥면에 견고히 취부되므로서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본체에 의해 차단된다.
상기 집수조(13)는 본체에 형성된 폐수유입구(13a)(13b)(13c)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폐수유입구로 부터 유입된 폐수가 집수 및 저장된다.
탈수몸체(20)는 본체의 상부일측에 볼트를 통하여 견고히 체결되고, 그 내부에는 쓰레기(S)의 이송공간인 이송통로(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송통로의 상단과 일측에는 그와 연통되는 투입 및 배출구(22, 23)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24, 25)은 탈수몸체의 전주연에 골고루 형성되고, 이 배출공의 형상은 도 2의 (가)(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에 섞인 이물질의 배출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확개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공(24, 25)은 삼각단면의 개공을 갖는 ㅇ지 와이어 스크린(Wedge Wire Screen)을 드럼형태로 절곡시킨 와이어 드럼 스크린(Wire Durm Screen)으로서, 이러한 와이어 드럼 스크린은 각각의 개공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확개되기 때문에 기존의 타공판(Perforated Plate)이나 직망(Woven Wire Mesh)에 비해 고형물(이물질)이 끼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송통로(21)와 배출구(23)사이에는 배출구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면(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40)에 의해 이송되는 쓰레기가 배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 심한 압축력을 받게 된다.
원통형의 압출노즐(30)은 배출구(23)와 연통되며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쓰레기(S)가 유입 및 압출된다.
상기 압출노즐의 주연에는 상기 배출공(24, 25)와 동일한 형태의 배출공(31)이 다수 형성된다.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0)는 탈수몸체(20)의 후면으로 돌출된 부위가 본체(10) 및 탈수몸체에 부착된 베어링하우징(100,101)에 의해 지지되며, 탈수몸체내로 삽입된 선단부는 베어링(102)과 베어링커버(103) 및 상기 베어렁커버와 경사면(26)을연결하는 브라켓트(104)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다.
상기 이송스크류와 구동원인 모터(11)는 체인전동을 통하여 연결된다.
유압실린더(50)는 본체(10)후면의 브라켓트(105)와 힌지핀(106)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내의 유압펌프(12)와는 오일호스로 연결된다.
작동봉(60)은 이송스크류(40)보다 길이가 긴 봉체로서 상기 이송스크류의 중심에 전후 작동이 가능토록 충분한 여유를 두고 삽입되며, 그 직경이 탈수몸체(20)의 배출구(23)와 압출노즐(30)의 내경 보다 커서는 안된다.
덮개판(70)은 압출노즐(30)의 배출구(32) 선단에 브라켓트(107)와 힌지핀(108)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와 일체로 형성된 타단에는 중량추(71)가 부착되어 상기 중량추의 중량과 자중에 의해 배출되는 쓰레기에 적정압력을 가하므로서 탈수 및 고형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배출통로(80, 81, 82)는 덕트형상으로서 탈수몸체의 후단부 주연에 형성된 배출공(24)과 폐수유입구(13a) 및, 후단부 주연의 배출공(25)과 폐수유입구(13b), 그리고 압출노즐의 배출공(31)과 폐수유입구(13c)를 연결하여 배출공(24, 25, 31)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집수조(13)에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진공흡입장치(9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집수조(13)측면에 설치되며 상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의 본체(91)와, 상기 본체중앙과 진공관(93)으로 연결되어 본체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92)와, 상기 본체상부와 배출통로(81, 82)에 연결되므로서 배출공(25, 31)을 통하여 탈수된 폐수를 강제로 흡입 배출시키는 2개의 흡입관(94)(95)과, 상기 본체하부와 집수조(13)사이에 연결되어 본체내의 폐수량이 증가하면 이를 오버 플로잉(Over Flowing)시켜 집수조에 유입시키는 배출관(96)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연결하여 본체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주는 연결관(9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원인 모터(11)와 유압펌프(12) 및 진공펌프(92)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탈수몸체(20)의 투입구(22)에 수분이 함유된 쓰레기(S)를 투입하면, 이 쓰레기는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0)에 의해 이송통로(21)를 따라 배출구(23)쪽으로 이송되며, 이송하는 도중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때, 이송 초기에는 쓰레기(S)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크지 않으므로 쓰레기에서 탈수된 폐수가 이송통로(21)의 후방에 형성된 배출공(24)과 배출통로(80) 및 폐수 유입구(13a)를 통하여 집수조(13)내에 자연 유입된다.
또한, 이송하던 쓰레기가 경사면(26)과 접촉하는 순간 부터는 급격한 압축력을 받게 되므로 이때는 쓰레기로 부터 다량의 폐수가 강제 배출되며, 배출된 폐수는 이송통로의 전방에 형성된 배출공(25)과 배출통로(81) 및 폐수유입구(13b)를 통하여 집수조(13)내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배출통로(81)에는 진공흡입장치(90)의 흡입파이프(94)가 연결되어 있어 강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쓰레기로부터 탈수된 폐수가 이송되는 쓰레기에 재 흡입되지 않고 신속히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자연탈수 및, 2차 강제탈수된 쓰레기는 배출구(23)를 통하여 압출노즐(30)내로 유입되고, 압출노즐내로 유입된 쓰레기는 유압실린더(50)에 의해 전후진하는 작동봉(60)에 의해 압출노즐의 배출구(32)쪽으로 강제 이송되며, 이 순간 또다시 강한 압축력을 받게 되어 남아 있는 폐수가 3차로 강제 배출된 뒤 배출공(31)과 배출통로(82) 및 폐수유입구(13c)를 통하여 집수조(13)내로 유입된다.
이때도, 상기 배출통로(82)에는 진공흡입장치(90)의 흡입파이프(95)가 연결되어 있어 탈수된 폐수가 유입되는 쓰레기에 재흡입되지 않고 신속히 배출된다.
또한, 압출노즐(30)의 배출구(32)에는 중량추(71)가 구비된 덮개판(70)이 설치되어 있어 쓰레기가 어느정도 이상의 압축력을 받아야만 배출되므로 이 또한 탈수 효과를 증대시키며,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쓰레기는 폐수가 완전 탈수된채 고형화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집수조(13)로 유입된 페수는 최종적으로 폐수처리장으로 이송된 뒤 야품처리를 통하여 정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탈수몸체내에 배출구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내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나선형의 이송스크류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가 투입된 쓰레기를 강제 이송시키면서 쓰레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1차 및 2차로 압축 탈수시키고, 계속해서 이 쓰레기는 압출노즐내로 유입된 뒤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봉과 중량추가 구비된 덮계판에 의해 남아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강제 탈수되므로서 부피와 중량이 대폭 축소되어 소각 및 매립처리가 용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취급에 따른 위생상태가 매우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Claims (5)

  1. 장치 전체를 지지하며 구동원인 모터(11)와, 유압펌프(12) 및, 쓰레기(S)로 부터 탈수된 폐수를 집수시키는 집수조(13)가 내장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며 쓰레기(S)의 이송공간인 이송통로(21)와, 상기 이송통로와 연통되는 투입구(22) 및 배출구(23)와, 쓰레기로 부터 탈수된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24)(25)이 일체로 구비된 탈수몸체(20)와;
    상기 배출구(23)의 선단에 부착되어 쓰레기의 배출을 안내함과 동시 쓰레기로부터 탈수된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배출공(31)이 일체로 구비된 원통형의 압출노즐(30)과;
    상기 본체(10)와 탈수몸체(20)의 후면부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모터(11)에 의해 회전하며 그 선단부가 탈수몸체내로 삽입되어 쓰레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나선형의 이송스크류(40)와;
    상기 탈수몸체 후면부의 본체상에 설치되어 유압펌프(12)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50)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관통하여 그 후단이 유압실런더의 피스톤로드(51)와 연결되고 선단부는 이송통로(21)와 압출노즐(30)사이에서 전후진하므로서 압출노즐내의 쓰레기(S)를 강제 배출(압출)시키는 작동봉(60)과;
    상기 압출노즐(30)의 배출구(32)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강제 배출되는 쓰레기에 적정압력을 가하므로서 탈수 및 고형효과를 증대시키는 덮개판(70)과;
    상기 탈수몸체(20)와 압출노즐(30)의 배출공(24, 25, 31) 및 폐수유입구(13b, 13c)를 연결하는 배출통로(81, 82)에 연결 설치되어 폐수를 강제로 흡입 배출시키는 진공흡입장치(9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탈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몸체(20)의 이송통로(21)와 배출구(23)사이에는 배출구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면(2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탈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몸체(20)와 압출노즐(30)의 배출공(24)(25)(31)은 외측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70)은 배출되는 쓰레기에 적정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중량추(7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탈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90)는 본체(10)의 집수조(13)측면에 설치되며 상하단이 밀폐된 원통형의 본체(91)와, 상기 본체중앙과 진공관(93)으로 연결되어 본체내의 압력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92)와, 상기 본체상부와 배출통로(81, 82)에 연결되어 배출공(25, 31)으로 탈수된 폐수를 강제로 흡입 배출시키는 2개의 흡입관(94)(95)과, 상기 본체하부와 집수조(13)사이에 연결되어 본체내의 폐수량이 증가하면 이를 오버 플로잉(Over Flowing)시켜 집수조에 유입시키는 배출관(96) 및, 상기 본체의 상하부를 연결하여 본체내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시켜 주는 연결관(97) 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탈수장치.
KR1019960047867A 1996-10-24 1996-10-24 쓰레기 탈수장치 KR018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867A KR0180499B1 (ko) 1996-10-24 1996-10-24 쓰레기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7867A KR0180499B1 (ko) 1996-10-24 1996-10-24 쓰레기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706A true KR19980028706A (ko) 1998-07-15
KR0180499B1 KR0180499B1 (ko) 1999-03-20

Family

ID=1947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867A KR0180499B1 (ko) 1996-10-24 1996-10-24 쓰레기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81B1 (ko) * 2020-01-15 2020-09-07 이문석 메쉬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건설오니 탈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17A (ko) * 1999-12-07 2001-07-02 김지석 삼각바 스크린에 의한 탈수장치
KR102021770B1 (ko) * 2019-04-01 2019-09-17 (주)에스.엠 .엔지니어링 협잡물의 탈수가 가능한 스크류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81B1 (ko) * 2020-01-15 2020-09-07 이문석 메쉬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건설오니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0499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8820B2 (en) Compactor construction
US4681688A (en) Tubular trash net for pre-treating sewage, with replaceable net cassette
EP0592508B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aufbereitung von abwasser-feststoffen, sand, müll oder dergleichen
CZ297344B6 (cs) Zpusob oddelování kalu a vody ze splaskových jímek a mobilní jednotka pro jeho provádení
JP4255543B2 (ja) 取水管に達する下水のスクリーン装置
KR19980028706A (ko) 쓰레기 탈수장치
KR200400258Y1 (ko) 오수 정화용 슬러지 탈수기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KR101949946B1 (ko)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KR102202951B1 (ko) 자동 세척기능이 구비된 고액분리장치
KR100345933B1 (ko) 축분뇨 탈수장치
CN211808018U (zh) 用于垃圾分类资源再生装备中的多级螺旋脱水机
JPS6068198A (ja) 泥状物等脱液処理装置
CN218478660U (zh) 一种河道治理污泥脱水处理装置
FI98998C (fi) Puristin
CN115196769B (zh) 一种具有打捞功能的污水处理用格栅机
JPH09122698A (ja) し渣脱水機及びし渣洗浄脱水機
KR19980064869A (ko) 야채쓰레기 탈수장치
CN217265488U (zh) 一种基于有机垃圾生产固态肥料以及液态肥料的系统
KR200220293Y1 (ko) 축산농가의 배출물 여과장치
KR1004897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9216096A (ja) 除塵脱水装置
JPH06277413A (ja) 脱水装置
JP3342521B2 (ja) スクリーン渣の脱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