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946B1 -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 Google Patents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946B1
KR101949946B1 KR1020180116774A KR20180116774A KR101949946B1 KR 101949946 B1 KR101949946 B1 KR 101949946B1 KR 1020180116774 A KR1020180116774 A KR 1020180116774A KR 20180116774 A KR20180116774 A KR 20180116774A KR 101949946 B1 KR101949946 B1 KR 101949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nonwoven fabric
sludge
uni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규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윤규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규,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윤규
Priority to KR1020180116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부직포 재질의 원통관 형상의 부직포튜브(A1), 프레임 구조로 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입구가 원형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고 슬러지토출부(S)에서 토출되는 슬러지가 연속으로 투입, 공급되는 공급부(20),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를 압착수단으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30), 상기 탈수부(30)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부(30)에서 탈수된 수분을 모아서 배출하는 저수부(40), 상기 탈수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탈수된 부직포튜브(A1)를 길이 방향을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속 분할하는 분할부(50), 상기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를 각각 권취하여 부직포튜브(A1) 내부에서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게 하는 권취부(60) 및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이송과 권취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탈수부(30)와 권취부(60)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 탈수 과정에서 슬러지에 의한 탈수장치의 오염이나, 그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높은 압력으로 슬러지를 직접적으로 가압 탈수할 수 있기 때문에 탈수된 슬러지의 함수율을 크게 낮추어 슬러지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계 구조가 간소하고, 부피가 축소되어 제작비용뿐만 아니라, 운전 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Tube press sludge dewatering device}
본 발명은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를 부직포튜브에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그 부직포튜브를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내부의 슬러지를 탈수한 후, 탈수 완료된 부직포튜브를 절개하여 권취하고, 탈수된 슬러지를 배출함으로써, 슬러지의 효율적인 탈수가 가능케 한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을 제조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영업장, 대형 세차장 등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나 각종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에는 다량의 유기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유기물질로부터 영양을 섭취하는 미생물들이 다량 서식하면서 증식하고 있는데, 이러한 미생물들이 미분해 유기물질과 함께 뭉쳐서 고형물과 수분이 혼합된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것이 슬러지(Sludge)이다.
이러한 슬러지는 다양한 방법의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거쳐 바이오 가스 등을 얻는 방법으로 감량한 후, 탈수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케이크 형태의 고형 슬러지로 만들어 건조, 매립, 소각, 해양투기,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데, 이 고형 슬러지 처리비용이 전체 하수처리 비용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 하수처리 비용에서 고형 슬러지 처리비용이 상기와 같이 많이 소요되는 원인은 슬러지에서 수분을 일정 이하로 제거하지 못하여 양이 많고, 최종처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하수처리 비용을 절감하는 데는 슬러지 탈수를 효율적으로 하여 슬러지 케이크의 함수율을 낮추고, 슬러지 케이크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관건이 된다.
따라서 슬러지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탈수기가 사용되는데,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탈수기는 무한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상하 복수의 펠트와 상기 펠트를 압착하는 궤도장치를 구비하여 상하 펠트 사이에 슬러지를 공급함으로써 상하 펠트가 슬러지를 압착하여 슬러지가 탈수되고, 탈수된 슬러지는 배출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는 상하 펠트 사이로 공급된 슬러지가 상하 펠트에 의한 압착 과정에서 펠트의 측면으로 흘러내리면서 탈수장치의 주요부를 오염시키고, 그로 인한 기계 고장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펠트의 측면으로 흘러내린 슬러지와 펠트를 세척하면서 세척수에 섞이는 슬러지가 저수부의 탈수된 수분과 함께 원수로 다시 유입됨으로써 원수의 슬러지 분리 시 부하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 탈수장치는 엔드레스 형태로 된 펠트의 연속적인 구동을 위하여 구동부 및 다수의 안내롤러와 펠트에 묻은 슬러지를 세척하는 노즐, 펌프 등의 세척장비가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고가여서 영세한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축산농가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 부담이 큰 단점도 있다.
그로 인해 영세한 소규모 업체의 경우 슬러지 탈수장치의 구입 및 운용에 따른 비용 부담 때문에, 슬러지가 포함된 오, 폐수를 몰래 무단 방류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소하고, 구입 비용이 저렴한 경제적인 슬러지 탈수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7560호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슬러지를 부직포튜브에 연속적으로 투입하고, 그 부직포튜브를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내부의 슬러지를 탈수한 후, 탈수 완료된 부직포튜브를 절개하여 권취하고, 탈수된 슬러지는 배출하는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부직포 재질의 원통관 형상의 부직포튜브(A1), 프레임 구조로 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입구가 원형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고 슬러지토출부(S)에서 토출되는 슬러지가 연속으로 투입, 공급되는 공급부(20),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를 압착수단으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30), 상기 탈수부(30)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부(30)에서 탈수된 수분을 모아서 배출하는 저수부(40), 상기 탈수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탈수된 부직포튜브(A1)를 길이 방향을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속 분할하는 분할부(50), 상기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를 각각 권취하여 부직포튜브(A1) 내부에서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게 하는 권취부(60) 및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이송과 권취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탈수부(30)와 권취부(60)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압착수단 중 하부롤러(301)는 주벽이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된 망상체로 되어 상부롤러와의 압착 시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저수부(40)로 바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롤러(302)는, 외주면에 마찰력이 높은 고무라이너(302a)를 구비하여 부직포튜브(A1)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수분 배출은 용이하면서 고형물의 배출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튜브 내부에 슬러지를 투입하여 부직포튜브를 이송하면서 압착하는 방식으로 슬러지를 탈수함으로써 슬러지 탈수 과정에서 슬러지가 부직포튜브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아 슬러지에 의한 탈수장치의 오염이나, 그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직포튜브에 슬러지가 수용된 상태에서 압착하기 때문에 양 끝단의 슬러지까지 균일하게 압착, 탈수가 되어 탈수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튜브 외부에서 부직포튜브를 압착하여 탈수함으로써 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 탈수할 수 있고, 하부롤러의 주벽을 망상체로 구성하여 압착 시 슬러지의 수분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탈수된 슬러지의 함수율을 크게 낮추어 슬러지 처리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튜브를 이송하면서 부직포튜브에 담긴 슬러지를 직접적으로 압착 탈수하는 방식으로 슬러지를 탈수함으로써, 기계 구조가 간소하고, 부피가 축소되어 제작비용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및 운전비용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동방식이 단순하고 슬러지를 담는 부직포튜브롤도 카트리지식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기계작동이 서툰 초보자도 용이하게 탈수기를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탈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급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급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탈수부의 망상체 하부롤러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할부, 권취부, 구동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레이퍼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탈수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급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급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탈수부의 하부롤러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부직포튜브(A1), 본체(10), 공급부(20), 탈수부(30), 저수부(40), 분할부(50), 권취부(60), 구동부(70)를 포함한다.
먼저, 부직포튜브(A1)는 물티슈와 같이 수분이 잘 투과하는 얇은 부직포 재질의 원통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슬러지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슬러지를 수용하여 슬러지와 함께 이송된다. 부직포튜브의 두께와 직경은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 압착수단의 사이즈 등에 맞춰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프레임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부(20)는 상기 본체(10) 일측 상부에 설치되되, 슬러지토출부(S)에서 토출되는 슬러지가 연속 투입되도록 부직포튜브(A1)의 입구가 원형으로 벌어지게 연속 공급하기 위하여 튜브가이드(201), 롤안착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가이드(201)는 소정 직경의 원통체로 되어, 상하 길이가 일정하도록 부직포튜브(A1)의 외경을 확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중첩시킨 부직포튜브롤(A)의 중심부에 끼워져 부직포튜브(A1)를 안내한다.
상기 롤안착부(202)는 상기 튜브가이드(201)의 하단부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되, 튜브가이드(20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환상외벽(202a)을 구비하여 부직포튜브롤(A)이 안착된다.
즉, 튜브가이드(201)의 하단부 둘레에 형성된 롤안착부(202)에 부직포튜브롤(A)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부직포튜브롤(A)의 내측 단부를 풀어내서 원통체로 된 튜브가이드(201)의 내부로 통과시킨 후, 그 부직포튜브(A1)의 내측 단부가 탈수부(30)와 분할부(50)를 통과하여 권취부(60)에 권취되게 한다.
따라서, 부직포튜브(A1)가 튜브가이드(201)의 외경부에서 튜브가이드(201)의 상단부를 감싸며 튜브가이드(201)의 내부로 투입됨에 따라 부직포튜브(A1)는 원통체로 된 튜브가이드(201)의 횡단면 형상을 따라 튜브가이드(201)의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됨으로써, 상부가 원형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공급부(20) 일측에 구비되는 슬러지토출부(S)에서 토출되는 슬러지가 부직포튜브(A1)의 원형으로 벌어진 입구로 연속 투입 가능케 된다. 부직포튜브에 투입되는 슬러지는 탈수부(30)의 압착 탈수과정을 거치기 전에 부직포튜브에 투입되면서 1차적으로 중력에 의해 슬러지 내부의 수분이 부직포튜브를 통해 상당량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탈수부(30)는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를 압착수단으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기 위하여, 압착수단으로서 하부롤러(301), 상부롤러(302)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롤러(301)는 본체(10)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상부롤러(302)는 하부롤러(301) 상부에서 높이조절수단(303)에 의해 하부롤러(301)와 간격 조절이 가능케 설치된다.
따라서, 높이조절수단(303)을 이용해 상부롤러(30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 하부롤러(302, 301) 간 간격이 조절되어 상, 하부롤러(302, 301)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를 압착하는 압력의 조절이 가능케 된다.
아울러 상, 하부롤러(302, 301)로 구성되는 압착수단은 소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하여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가 다수의 압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부직포튜브(A1)가 압착되면서 내부의 슬러지가 반복적으로 탈수된다.
이때, 다수 조의 압착수단은 상, 하부롤러(302, 301) 간 간격이 순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가 이송되면서 다수 조의 압착수단을 통과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압착 압력이 높아지도록 하여 더욱 효율적인 압착 탈수가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03)은 상부롤러(302)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케 지지하는 베어링이 결합된 베어링하우징에 높이조절나사가 나사 결합되어, 높이조절나사를 풀거나 조임에 따라 베어링하우징이 승강함으로써 상부롤러(302)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한편, 하부롤러(3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이 하부로 곧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주벽을 미세한 관통홈이 형성되도록 망상체로 형성함으로써,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가 상, 하부롤러(302, 301)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는 순간에 곧 바로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망상체의 관통홈으로 신속하게 배출됨에 따라 수분 배출이 용이하여 탈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롤러(302)는 외주면에 마찰력이 높은 고무라이너(302a)를 구비함으로써,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가 상, 하부롤러(302, 301)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착되어 탈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부직포튜브(A1)와의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부직포튜브(A1)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케 된다.
이러한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의 개수는 슬러지 배출양과 요구되는 함수율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저수부(40)는 탈수부(30)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부(30)에서 탈수된 수분을 모아서 배출하기 위하여 저수조(401)를 구비하되, 저수조(401) 하부에는 모아진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밸브(40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할부, 권취부, 구동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할부(50)는 탈수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탈수된 부직포튜브(A1)를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속 분할하기 위해 설치브래킷(501), 절개날(502)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브래킷(501)은 본체(10) 양측에 대칭으로 탈부착 가능케 설치된다.
이때, 설치브래킷(501)은 본체(10)에서 높이 조절 가능케 설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절개날(502)은 설치브래킷(501)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어, 납작하게 눌린 상태로 이송되는 부직포튜브(A1)의 양측 가장자리에 밀착됨에 따라, 이송되는 부직포튜브(A1)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 절개함으로써, 탈수부(30)를 통과하면서 납작하게 눌린 부직포튜브(A1)가 상하로 분할 절개된다.
상기 권취부(60)는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를 각각 권취하면서 부직포튜브(A1) 내부에서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 상부권취롤러(601), 하부권취롤러(602)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권취롤러(601)는 본체(10)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분할부(50)에 의해 연속 분할되는 부직포튜브(A1)의 일측 분할지를 권취한다.
상기 하부권취롤러(602)는 상부권취롤러(601)와 상하로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본체(10)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분할부(50)에 의해 연속 분할되는 부직포튜브(A1)의 타측 분할지를 권취한다.
상, 하부권취롤러(602)는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가 상, 하부권취롤러(602)에 의해 각각 권취되는 과정에서 분할지 사이에 위치하는 슬러지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수거함(603) 등을 이용해 배출되는 슬러지를 수거한 후, 이를 케이크 형태의 고형 슬러지로 만들어 건조, 매립, 소각, 해양투기,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70)는 부직포튜브(A1)의 이송과 권취를 위한 견인력을 탈수부(30)와 권취부(60)에 각각 제공하기 위하여 제1모터(701), 제2모터(7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모터(701)는 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탈수부(30)에 동력을 제공한다.
제1모터(701)의 동력을 탈수부(30)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1모터(701)와 탈수부(30)의 하부롤러(301)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을 설치하고, 각 체인스프로킷을 롤러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제1모터(701)의 동력에 의해 탈수부(30)의 하부롤러(301)가 구동됨에 따라 탈수부(30)의 상, 하부롤러(302, 301) 사이로 투입되는 부직포튜브(A1)가 이송된다.
상기 제2모터(702)는 본체(10) 타측에 설치되어 권취부(60)에 동력을 제공한다.
제2모터(702)의 동력을 권취부(60)로 전달하기 위하여 제2모터(702)와 권취부(60)의 상, 하부권취롤러(602)에는 각각 체인스프로킷을 설치하고, 각 체인스프로킷을 롤러체인으로 연결함으로써 제2모터(702)의 동력에 의해 상, 하부권취롤러(602)가 상호 역방향으로 구동됨에 따라, 분할부(50)에 의해 연속 분할되는 부직포튜브 분할지(A2)가 각각 상, 하부권취롤러(602)에 권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레이퍼부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권취부(60) 일측에는,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가 권취부(60)에 권취되기에 앞서,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의 표면에 밀착된 슬러지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크레이퍼부(80)는 본체(10) 일측에 상하로 대칭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레이퍼부(80)는 스크레이퍼날(801), 탄성부재(802)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레이퍼날(801)은 후방으로 수나사부(801a)가 돌출 형성되어, 왕복운동 가능케 본체(10)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01)에 설치된다.
즉, 결합공(101)을 관통한 수나사부(801a)에는 고정너트(801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결합공(101)에 결합된 스크레이퍼날(801)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스크레이퍼날(801)이 결합공(101)을 따라 상하로 왕복 가능케 된다.
상기 탄성부재(802)는 수나사부(801a)가 관통하도록 본체(10)와 스크레이퍼날(801) 간에 설치됨으로써, 스크레이퍼날(801)을 부직포튜브(A1)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크레이퍼날(801)이 이송되는 부직포튜브 분할지(A2)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되어 상, 하부롤러(302, 301)에 권취되는 부직포튜브 분할지(A2) 내면에 부착된 슬러지가 스크레이퍼날(801)에 의해 분할지 내면에서 효과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슬러지의 수거가 더욱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슬러지를 부직포튜브(A1)에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1차적으로 슬러지 내부의 수분을 부직포튜브를 통해 배출시키고, 그 부직포튜브(A1)를 이송하면서 상,하부롤러로 직접적으로 압착하여 압착 시 슬러지의 수분이 하부롤러의 망상체의 틈으로 실시간으로 탈수되도록 하여 슬러지를 2차 탈수하고, 탈수 완료된 부직포튜브(A1)를 절개하여 절개된 분할지는 각각 권취함과 동시에 탈수된 슬러지는 별도 배출함으로써, 슬러지의 효율적인 탈수가 가능케 되어 함수율을 낮추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지 탈수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는 슬러지의 배출양이 많은 장소에서는 2개조를 병렬로 설치하여 많은 양의 슬러지를 탈수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부직포튜브롤 A1: 부직포튜브
A2: 부직포튜브 분할지 S1: 슬러지
S2: 탈수된 슬러지 10: 본체
20: 공급부 201: 튜브가이드
202: 롤안착부 202a: 환상외벽
30: 탈수부 301: 하부롤러
302: 상부롤러 302a: 라이너
303: 높이조절수단 40: 저수부
50: 분할부 501: 설치브래킷
502: 절개날 60: 권취부
601: 상부권취롤러 602: 하부권취롤러
70: 구동부 701: 제1모터
702: 제2모터 80: 스크레이퍼부
801: 스크레이퍼날 802: 탄성부재

Claims (6)

  1. 슬러지를 수용해서 슬러지와 함께 이송되는 부분으로, 수분이 투과하는 부직포 재질의 원통관 형상의 부직포튜브(A1);
    프레임 구조로 된 본체(10);
    상기 본체(10) 일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하 길이가 일정하도록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외경을 확대하면서 반복적으로 중첩시킨 부직포튜브롤(A)의 중심부에 끼워져 부직포튜브(A1)를 안내하는 튜브가이드(201)와, 상기 튜브가이드(201)의 하단부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되 튜브가이드(20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환상외벽(202a)을 구비하여 상기 부직포튜브롤(A)이 안착되는 롤안착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입구가 원형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고 슬러지토출부(S)에서 토출되는 슬러지가 연속으로 투입, 공급되는 공급부(20);
    슬러지가 투입된 부직포튜브(A1)를 압착수단으로 이송하면서 압착하여 슬러지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30);
    상기 탈수부(30) 하부에 설치되어 탈수부(30)에서 탈수된 수분을 모아서 배출하는 저수부(40);
    상기 탈수부(30) 일측에 설치되어 수분이 탈수된 부직포튜브(A1)를 길이 방향을 절개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속 분할하는 분할부(50);
    상기 분할부(50)에 의해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를 각각 권취하여 부직포튜브(A1) 내부에서 탈수된 슬러지가 배출되게 하는 권취부(60);
    상기 부직포튜브(A1)의 이송과 권취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탈수부(30)와 권취부(60)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0)의 압착수단은,
    상기 본체(1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되, 주벽이 미세한 관통공이 형성된 망상체로 되어 상부롤러와의 압착 시 슬러지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저수부(40)로 바로 배출되도록 한 하부롤러(301);
    상기 하부롤러(301) 상부에서 높이조절수단(303)에 의해 하부롤러(301)와 간격 조절이 가능케 설치되되, 외주면에 마찰력이 높은 고무라이너(302a)를 구비하여 부직포튜브(A1)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케 한 상부롤러(30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50)는,
    상기 본체(10) 양측에 대칭으로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는 설치브래킷(501);
    상기 각 설치브래킷(501)의 내측에 탈부착 가능케 설치되어, 납작하게 눌린 상태로 이송되는 부직포튜브(A1)의 양측 가장자리를 부직포튜브(A1)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절개하여 분할하는 절개날(5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60)는,
    상기 분할부(50)에 의해 연속 분할되는 부직포튜브(A1)의 일측 분할지를 권취하는 상부권취롤러(601);
    상기 분할부(50)에 의해 연속 분할되는 부직포튜브(A1)의 타측 분할지를 권취하는 하부권취롤러(602);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상, 하부권취롤러(602)가 각각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할된 부직포튜브 분할지(A2)를 각각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KR1020180116774A 2018-10-01 2018-10-01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KR10194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4A KR101949946B1 (ko) 2018-10-01 2018-10-01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74A KR101949946B1 (ko) 2018-10-01 2018-10-01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946B1 true KR101949946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74A KR101949946B1 (ko) 2018-10-01 2018-10-01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020B1 (ko) * 2021-10-07 2022-05-09 주식회사 에이이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미세조류 회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311A (ja) * 1992-04-20 1993-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式濾過、圧搾装置
JP2000005800A (ja) * 1998-06-24 2000-01-11 T R P:Kk 廃棄物収容袋ないし廃棄物収容袋を用い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00056505A (ko) * 1999-02-23 2000-09-15 김영대 합성수지 세사를 이용한 체인형 밸트프래스의 스러지 여과장치
KR200297560Y1 (ko) 2002-09-12 2002-12-11 (주)보우엔테크 펠트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20020096769A (ko) * 2001-06-21 2002-12-31 김용훈 탈수 효율을 높인 진공 고압 탈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311A (ja) * 1992-04-20 1993-11-09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式濾過、圧搾装置
JP2000005800A (ja) * 1998-06-24 2000-01-11 T R P:Kk 廃棄物収容袋ないし廃棄物収容袋を用いた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00056505A (ko) * 1999-02-23 2000-09-15 김영대 합성수지 세사를 이용한 체인형 밸트프래스의 스러지 여과장치
KR20020096769A (ko) * 2001-06-21 2002-12-31 김용훈 탈수 효율을 높인 진공 고압 탈수기
KR200297560Y1 (ko) 2002-09-12 2002-12-11 (주)보우엔테크 펠트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020B1 (ko) * 2021-10-07 2022-05-09 주식회사 에이이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미세조류 회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087504U (zh) 一种养猪用粪污处理装置
KR101949946B1 (ko) 튜브 프레스형 탈수기
JP3152648B2 (ja) 脱水機
KR102197323B1 (ko)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US4782747A (en) Roll press for recovering liquid from pulp
KR20160070643A (ko) 오폐수 필터링 장치
KR101209290B1 (ko) 프레싱 유니트 및 고효율 스크루 프레스와 프레싱 유니트를 이용한 슬러지 함수율 저감 시스템
CN211514685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CN213506513U (zh) 一种用于市政污水处理厂的污泥处理装置
JP6756981B2 (ja) 吸水ベルト走行式ドラム型濃縮機
CN210438608U (zh) 带式浓缩压滤机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JP6694705B2 (ja) 脱墨廃液処理装置および脱墨処理装置
CN100404099C (zh) 一种压滤机
KR101114225B1 (ko) 슬러지 탈수기
CN2916536Y (zh) 一种带式压滤机
KR101379344B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JP6703765B2 (ja) ドラム型濃縮機
KR20100059094A (ko) 농축 슬러지의 탈수방법 및 장치
CN213058791U (zh) 一种垃圾处理皮带传输设备
KR20190006240A (ko) 탈수기
CN216273692U (zh) 一种螺压带式深度脱水一体机
CN217265488U (zh) 一种基于有机垃圾生产固态肥料以及液态肥料的系统
CN219279711U (zh) 一种污水处理用脱泥机
JPH11137920A (ja) 夾雑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