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725U -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 Google Patents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725U
KR19980027725U KR2019960040687U KR19960040687U KR19980027725U KR 19980027725 U KR19980027725 U KR 19980027725U KR 2019960040687 U KR2019960040687 U KR 2019960040687U KR 19960040687 U KR19960040687 U KR 19960040687U KR 19980027725 U KR19980027725 U KR 199800277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chamber
airbag
diaphragm
orific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대
Original Assignee
이동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대 filed Critical 이동대
Priority to KR2019960040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725U/ko
Publication of KR19980027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25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내부에 다단의 횡격막과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에어백 작동시 제 1,2 팽창실 또는 제 1,2,3 팽창실로 분리된 압력실 구조로 형성하여 작동초기에는 제1팽창실이 1차로 팽창함과 동시에 제1팽창실내의 가스중 일정량이 다단의 횡격막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제2팽창실로 확산되게 하여 제2팽창실의 팽창력이 일정기간동안 제1팽창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상태를 유지시켜 제2팽창실(또는 제3팽창실)이 인체와 접촉하는 순간 충격력을 완화시켜 탑승자의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으로 오리피스(1)로 압력가스를 유입시켜 작동하는 에어백(A)에 있어서 에어백(A)의 내부에 오리피스(2)가 설치된 횡격막(3)을 설치하여 제1팽창실(4)과 제2팽창실(5)로 구획시켜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Description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내부에 다단의 횡격막과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에어백 작동시 제 1,2 팽창실 또는 제 1,2,3 팽창실로 분리된 압력실 구조로 형성하여 작동초기에는 제1팽창실이 1차로 팽창함과 동시에 제1팽창실내의 가스중 일정량이 다단의 횡격막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제2팽창실로 확산되게 하여 제2팽창실의 팽창력이 일정기간동안 제1팽창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상태를 유지시켜 제2팽창실(또는 제3팽창실)이 인체와 접촉하는 순간 충격력을 완화시켜 탑승자의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의 에어백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압력실(11)과 오리피스(12)로 구성되어 차량운행중 일정량의 충격을 초과하게 되면 충돌감지 센서가 작동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킨다.
이때 작동되는 팽창력이 순간적으로 오리피스(12)를 통해 압력실(11)로 유입되어 에어백의 팽창력이 상당히 크고 이 팽창력에 의해 접촉하는 탑승자가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 충격력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실제로 최근 에어백에 의한 어린이의 사망사고가 미국 등지에서는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한 안전장치인 에어백이 작동시 인체와 접촉하는 순간의 충격력을 감소시켜 에어백의 팽창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에어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내부에 오리피스가 부착된 횡격막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작동시 제1팽창실이 일차적으로 팽창함과 동시에 제1팽창실내의 가스중 일정량이 다단의 횡격막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제2팽창실로 확산되는 방식으로 되어 제2팽창실의 압력상태가 일정기간동안 제1팽창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상태를 유지하므로 에어백이 탑승자를 타격하는 순간의 충격력이 완화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향상시킨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에 의한 단면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에 의한 단면구조도
도 3 은 종래의 에어백 단면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2') : 오리피스(3)(3') : 횡격막
(4) : 제1팽창실(5) : 제2팽창실
(6) : 제3팽창실(A) : 에어백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에 의한 단면구조도로서 1개의 횡격막과 오리피스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도 2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에 의한 단면구조도로서 2개의 횡격막과 오리피스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오리피스(1)로 압력가스를 유입시켜 작동하는 에어백(A)에 있어서 에어백(A)의 내부에 오리피스(2)가 설치된 횡격막(3)을 설치하여 제1팽창실(4)과 제2팽창실(5)로 구획시켜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조의 제2실시예로 에어백(A) 내부에 추가로 2차오리피스(2')와 2차횡격막(3')을 가지고 제3팽창실(6)로 구획시켜 다단으로 팽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는 차량의 운행중 충격감지센서가 작동하면 에어백(A)의 오리피스(1)가 개방되어 압력가스가 제1팽창실(4)로 유입도어 팽창되고 제1팽창실(4)내의 압력가스가 오리피스(2)를 통하여 횡격막(3) 외측의 제2팽창실(5)로 들어가 팽창시킨다.
이때 오리피스(2)를 통해 들어가는 압력가스의 량이 제한적이므로 에어백(A)이 인체와 접촉하는 초기상태의 제2팽창실(5)의 압력상태는 제1팽창실(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되어 에어백(A)에 의한 충격력을 감쇄시킨다.
제2팽창실(5)의 압력상태는 오리피스(2)의 크기로 조절가능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제2팽창실(5)의 압력상태는 제1팽창실(4)의 압력상태와 동일하게 되어 에어백(A)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어백(A)의 초기 압력상태를 제3팽창실(6)이 일정시간 동안 제1,2팽창실(4)(5)의 압력보다 낮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2팽창실(5)의 팽창 후 2차오리피스(2')와 2차횡격막(3')을 통해 제3팽창실(6)를 팽창시키는 것으로 초기의 내부압력차는 제1팽창실(4) 제2팽창실(5) 제3팽창실(6) 의 순으로 즉 고압실에서 중압실을 통해 저압실로 연결되어 탑승자와 접촉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것이고 그 후 내부압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팽창실(4) = 제2팽창실(5) = 제3팽창실(6) 와 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에어백의 내부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각 팽창실의 내부압력을 차별화 시켜 일정시간 동안 다단 완충의 효과로 탑승자의 충격력을 감쇄시켜 에어백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오리피스(1)로 압력가스를 유입시켜 작동하는 에어백(A)에 있어서 에어백(A)의 내부에 오리피스(2)가 설치된 횡격막(3)을 설치하여 제1팽창실(4)과 제2팽창실(5)로 구획시켜 순차적으로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A) 내부에 추가로 2차오리피스(2')와 2차횡격막(3')을 가지고 제3팽창실(6)로 구획시켜 다단으로 팽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KR2019960040687U 1996-11-19 1996-11-19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KR199800277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87U KR19980027725U (ko) 1996-11-19 1996-11-19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687U KR19980027725U (ko) 1996-11-19 1996-11-19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25U true KR19980027725U (ko) 1998-08-05

Family

ID=5398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687U KR19980027725U (ko) 1996-11-19 1996-11-19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72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38B1 (ko) * 2008-07-08 2009-04-24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다층 구조를 갖는 에어백
KR20190025775A (ko) * 2017-09-01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200054622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거동제어 에어백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538B1 (ko) * 2008-07-08 2009-04-24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다층 구조를 갖는 에어백
WO2010005240A2 (ko) * 2008-07-08 2010-01-14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다층 구조를 갖는 에어백
WO2010005240A3 (ko) * 2008-07-08 2010-04-29 주식회사 코리아파츠 다층 구조를 갖는 에어백
KR20190025775A (ko) * 2017-09-01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200054622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거동제어 에어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748A (en) Multi-stage inflatable bag for vehicular safety systems
US6547277B1 (en) Two chamber gas generator
WO2003026925A3 (en) Airbag with damping mechanism
KR19980027725U (ko) 횡격막이 설치된 다단 팽창 에어백
KR20090114850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JP2895577B2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KR100512427B1 (ko) 자동차의 측면 에어백
JP2001270414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50778A (ko) 더미 시험용 가변 벤트 홀 타입 에어백 쿠션
JPH01314646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356908B1 (ko) 가변형 벤트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쿠션
KR100285808B1 (ko) 자동차 에어백 쿠션장치
EP0829398A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KR100380401B1 (ko) 자동차의 감압식 에어백
KR20030075768A (ko) 에어백의 가스배출 구조
KR100803624B1 (ko) 측면 에어백
KR100563857B1 (ko) 가스 흐름을 이용한 다단 점화 조절 타입 에어백장치
KR0138833Y1 (ko) 격판이 설치된 자동차의 에어 백
KR200141560Y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9980076442A (ko) 다단폭발 에어백
KR20040088722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20040088723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20040088721A (ko) 인플레이터의 가스배출구조
KR970039697A (ko) 에어백용 인플레이터의 압력조절장치
JP2004203206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