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967U -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967U
KR19980026967U KR2019960039881U KR19960039881U KR19980026967U KR 19980026967 U KR19980026967 U KR 19980026967U KR 2019960039881 U KR2019960039881 U KR 2019960039881U KR 19960039881 U KR19960039881 U KR 19960039881U KR 19980026967 U KR19980026967 U KR 199800269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vehicle
tank
sea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9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967U/ko
Publication of KR19980026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6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량내의 산소를 조절해 주는 장치가 없어서 차량의 모든문을 닫고 그 안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특히 어린아이들이 수면을 취할 경우는 질식하여 인명 사고를 당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차실내에 산소측정센서(12)가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유무가 판별되는 시트감지센서(16)가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차량에 산소탱크(22)가 설치되되, 산소탱크(22)의 배출구측에 압력계(14)가 설치되고, 산소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관(24)이 산소탱크(2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배출관(24)의 산소배출구(26)는 루프패널(30)에 설치되고, 배출관(24)의 중간부위에 산소유량조절밸브(18)가 설치되고, 상기 산소측정센서(12), 시트감지센서(16), 압력계(14)로 부터 송출된 신호를 전자제어장치(10)가 받아들여 산소유량조절밸브(18) 및 계기판(20)에 송출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제공함은 물론 차내에서 질식하는 경우를 예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차내에서 자동차의 도어가 장시간 닫힌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할 때 차실내에 쾌적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의 도어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외부와 차실내와의 공기가 차단되었을 때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바 그 기능을 하는 것이 자동차의 공조장치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차실내를 표현한 것으로, 공조장치의 송풍구(1)를 통해 차실내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켰다.
그러나, 종래에는 차실내의 산소농도를 조절해 주는 장치가 없어서 차량의 모든문을 닫고 그 안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특히 어린아이들이 수면을 취할 경우는 질식하여 인명 사고를 당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가 지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차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여 차내에서 수면을 취할 때 질식하는 경우를 예방하고자 한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실내의 대쉬보드와 뒷좌석의후미에 산소측정센서가 설치되고, 승객의 착석유무가 판별되는 시트감지센서가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차량에 산소탱크가 설치되되, 산소탱크의 배출구측에 압력계가 설치되고, 산소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출관이 산소탱크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배출관의 끝단부는 루프에 설치되고, 배출관의 중간부위에 산소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장시간 흘러도 질식되지 않고 차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차실내에서 공조장치의 송풍구를 설명한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산소측정센서와 시트감지센서를 설명한 예시도,
도 3 의 (가)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구조 및 산소배출구의 위치를 설명한 예시도,
(나)는 도 3 (가)의 산소배출구가 루프패널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자제어장치, 12 - 산소측정센서,
14 - 압력계, 16 - 시트감지센서,
18 - 산소유량조절밸브, 20 - 계기판,
22 - 산소탱크, 24 - 배출관,
26 - 산소배출구, 28 - 소음기.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차실내에 산소측정센서(12)가 설치되고, 시트의 하단부에는 시트감지센서(16)가 설치되고, 차량내에 산소탱크(22)가 설치되고, 산소탱크(22)의 일단부에 압력계(14)가 설치되고,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상기 산소측정센서(12), 압력계(14), 시트감지센서(16)가 연결되고,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단에는 산소탱크(22)의 산소 배출을 조절하는 산소유량조절밸브(18)와 산소탱크(22)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더 낮은 경우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계기판(2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차실내 산소 농도 조절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와 도 3및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차실내 일측에 산소측정센서(12)가 다수 설치되고, 시트의 하단부에는 승객의 착석 유무를 판별하는 시트감지센서(16)가 설치되며, 차량내에 산소탱크(22)가 설치되고, 산소탱크(22)에서 산소가 배출되는 배출관(24)이 결합되되, 배출관(24)의 일측에 산소의 배출시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14)가 설치되고, 배출관(24)의 중간부위에 산소유량조절밸브(18)가 설치되며, 배출관(24)의 끝단부인 산소배출구(26)가 루프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산소측정센서(12)에 의한 측정값과 압력계(14)에 의한 산소 배출압력과 시트감지센서(16)에 의한 승객의 차실내 승차여부를 감지하여 전자제어장치(10)에 송출하고, 전자제어장치(10)는 산소탱크(22)에서 배출관(24)을 통해 배출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는 산소유량조절밸브(18)에 신호를 전달함과 더불어 계기판(20)에 신호를 송출하여 계기판(20)의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는 산소측정센서(12)와 시트감지센서(16)를 설명한 것으로, 산소측정센서(12)는 차실내의 산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정도를 전기적 신호로 바꿔서 전자제어장치에 송출시킨다.
시트감지센서(16)는 시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운전자 및 승객이 시트에 승차했을 때 시트에 감지된 시트 중량의 증가로 자동차에 승객이 승차했음을 판단하여 전자제어장치(10)에 송출시킨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산소탱크(22)의 산소를 차실내로 송출시키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산소탱크(22)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트렁크에 설치되고, 산소탱크(22)에서 배출된 산소는 배출관(24)을 통과하게 되고, 산소배출구(26)를 통하여 차실내로 공급된다.
또한, 산소탱크(22)의 압력을 검출하여 전자제어장치(10)에 송출할 수 있도록 산소탱크(22)에 결합된 배출관(24)에서 산소탱크(22)의 인접부위에 압력계(14)가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관(24)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산소유량조절밸브(18)는 압력계(14)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전자제어장치(10)에 의해 산소탱크(22)에서 산소 방출을 조절하여 차실내의 산소농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며, 산소유량조절밸브(18)의 측면 부위에 설치된 소음기(28)는 산소 배출시 압력변화에 따른 소음을 방지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전자제어장치(10)는 산소측정센서(12), 압력계(14), 시트감지센서(16)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승객의 유무를 판별한 다음 승차한 경우에는 산소유량조절밸브(18)를 구동시켜 산소를 차실내로 배출시키도록 함과 더불어 산소탱크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더 낮으면 계기판(20)에 경고등이 켜지도록 송출시킨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의 순서도를 설명한 것으로, 자동차에 운전자 및 승객이 승차하여 시트에 착석하면 시트감지센서(16)가 시트의 중량증가를 감지하여 사람이 승차한 것으로 판단한다.
압력계의 송출신호에 의해 산소탱크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더 높다고 전자제어장치가 판단하면 산소측정센서(12)에 의해 차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산소탱크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더 낮다고 판단되면 계기판(20)에 경고등이 점등되어 사용자가 점검해야 한다.
산소측정센서(12)가 산소농도를 측정하여 기준치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산소유량조절밸브(18)를 개방시켜 산소배출구(26)로 통해 산소를 차실내로 산소농도가 기준값에 이를 때 까지 투입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실내의 쾌적한 공기를 제공함은 물론 차내에서 질식하는 경우를 예방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차실내에 산소측정센서(12)가 설치되고, 시트의 하단부에 승객의 착석 유무를 감지하는 시트감지센서(16)가 설치되고, 차량내에 산소탱크(22)가 설치되고, 산소탱크(22)의 일단부에 압력계(14)가 설치되고, 전자제어장치(10)의 입력단에 상기 산소측정센서(12), 압력계(14), 시트감지센서(16)가 연결되고, 전자제어장치(10)의 출력단에는 산소탱크(22)의 산소 배출을 조절하는 산소유량조절밸브(18)와 산소탱크(22)의 압력이 필요한 압력보다 더 낮은 경우에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계기판(2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산소 농도 조절장치.
KR2019960039881U 1996-11-13 1996-11-13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KR199800269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81U KR19980026967U (ko) 1996-11-13 1996-11-13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881U KR19980026967U (ko) 1996-11-13 1996-11-13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67U true KR19980026967U (ko) 1998-08-05

Family

ID=5398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881U KR19980026967U (ko) 1996-11-13 1996-11-13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96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132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부성에이스 산소 공급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0871931B1 (ko) * 2001-09-21 2008-12-05 주식회사 나노포아 상용차량용 산소공급장치
CN112706580A (zh) * 2020-09-14 2021-04-27 苏丁匠(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驾驶舱氧气调节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931B1 (ko) * 2001-09-21 2008-12-05 주식회사 나노포아 상용차량용 산소공급장치
KR20030043132A (ko) * 2001-11-27 2003-06-02 주식회사 부성에이스 산소 공급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N112706580A (zh) * 2020-09-14 2021-04-27 苏丁匠(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驾驶舱氧气调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29325A3 (en) Child restraint system with in-motion belt status monitoring
RU142598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CN110816217A (zh) 一种车辆的空调系统、控制方法及车辆
JP4770478B2 (ja) 車両用空気質成分供給装置
KR101124946B1 (ko) 좌석별 탑승 승객에 기초하는 차량용 온도 제어 장치
CN112549958A (zh) 一种车载酒精浓度检测装置的报警与熄火判断方法
KR19980026967U (ko) 차실내 산소농도 조절장치
JPS61291233A (ja) 空気圧制御式シ−ト
KR20180062884A (ko) 차량 실내의 산소 측정/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521950A (ja) 車室内の循環空気比率及び/又は供給空気比率を調整する方法
JP5168653B2 (ja) 送風装置及び覚醒装置
KR19980030169A (ko) 자동차의 실내자동환기장치
KR0180809B1 (ko) 자동차의 실내 기압 조정장치
KR100208603B1 (ko) 승차인원을 고려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9980053866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및 그 방법
KR101235037B1 (ko) 차량용 공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9829Y1 (ko) 차량용 내부공기 자동 순환장치
KR19990049239A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환기 장치
KR200300242Y1 (ko) 차량의 실내공기 오염 경고 및 방지장치
KR100199899B1 (ko) 신체정보 연동 하차공간 감지장치
KR19980047698A (ko) 산소 공급 순환 장치 및 방법
JP2022145667A (ja) 換気システム及びエアコンディショニング設備
KR20040105970A (ko) 비상시 차량 내 산소 공급 시스템
KR100588671B1 (ko) 버스의 송풍구 자동 개폐시스템
JPH0558141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