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922A -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922A
KR19980026922A KR1019960045507A KR19960045507A KR19980026922A KR 19980026922 A KR19980026922 A KR 19980026922A KR 1019960045507 A KR1019960045507 A KR 1019960045507A KR 19960045507 A KR19960045507 A KR 19960045507A KR 19980026922 A KR19980026922 A KR 19980026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front pillar
lower panel
inner lower
sid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922A/ko
Publication of KR1998002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22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멤버부재(51)와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 사이에 2계통의 충격 전달 경로를 갖는 분산 수단(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분산 수단(1)은 하나의 봉을 U형으로 구부려 크로스 바(2)를 형성함과 아울러 양단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한 고정 수단은 멤버부재(51)의 종단에 형성된 끼움부(3)와, 상기한 끼움부(3)와 대향됨과 아울러 크로스 바(2)의 굽힘부(4)에 걸리도록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에 고정된 걸림 플레이트(5)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걸림 플레이트(5)에는 상기한 굽힘부(4)가 끼워지도록 걸림봉(6)이 부착되어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본 발명은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보디에서 전면에 위치되는 엔진룸은 엔진, 변속기등 비교적 중량이 무거울 뿐만 아니라 중요한 새시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인 바, 상기한 각 새시 부품의 지지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새시 부품 보호를 위해 일정한 강성을 유지해야 한다.
즉, 무거운 엔진 등을 엔진룸에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외부 충격에 의해 새시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대쉬 패널의 후방에는 정면 충돌 시 엔진이 실내로 밀리지 않도록 카울 크로스바가 설치되는 바, 상기한 카울 크로스 바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지지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카울 크로스바의 설치 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미도시)의 양측에 고정된 브라켓(50) 및 멤버부재(51)와 상기한 브라켓(50)과 멤버부재(51)에 양단이 삽입됨과 아울러 용접되어 있는 카울 크로스 바(5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카울 크로스 바(52)는 보디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양단이 브라켓(50)과 멤버부재(51)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면 충돌 시 엔진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카울 크로스 바를 브라켓과 멤버부재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에 고정하게 되면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디의 진동을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 핸들이 많이 진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론트 필러 인너 패널에 횡 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멤버부재와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 사이에 2계통의 충격 전달 경로를 갖는 분산 수단을 설치함으로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카울 크로스 바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크로스 바3 : 끼움부
4 : 굽힘부5 : 걸림 플레이트
6 : 걸림봉51 : 멤버부재
52 : 프로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측면도 및 그 A-A 선 단면도로서, 멤버부재(51)와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 사이에 2계통의 충격 전달 경로를 갖는 분산 수단(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분산 수단(1)은 하나의 봉을 U형으로 구부려 크로스 바(2)를 형성함과 아울러 양단이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한 고정 수단은 멤버부재(51)의 종단에 형성된 끼움부(3)와, 상기한 끼움부(3)와 대향됨과 아울러 크로스 바(2)의 굽힘부(4)에 걸리도록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에 고정된 걸림 플레이트(5)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걸림 플레이트(5)에는 상기한 굽힘부(4)가 끼워지도록 걸림봉(6)이 부착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U형으로 구부러진 크로스 바(2)를 통해 충격력이 전달되면서 2부분으로 분산되어 충격 흡수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멤버부재(51)를 일측의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에 고정함과 동시에 구부러진 형상인 크로스 바(2)의 굽힘부(4)를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53)에 고정된 걸림 플레이트(5)에 끼우게 된다.
즉, 걸림 플레이트(4)의 걸림봉(5)에 굽힘부(3)를 끼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크로스 바(1)의 결합 시 상기한 굽힘부(3)를 먼저 끼운 후 끼움부(2)에 크로스 바(1)의 양단을 끼워 용접해도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양측을 모두 용접하지 않고 일측만 용접하면 됨으로써 작업 공정이 매우 단순화된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엔진 및 보디의 진동이 핸들에 전달되는 바, 상기한 진동은 보디를 통해 걸림 플레이트(4)로 전달됨과 아울러 이와 결합된 크로스 바(2)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한 크로스 바(2)로 전달된 진동은 걸림봉(6)에서 2부분으로 분산되면서 멤버부재(51)로 전달된다.
특히, 상기한 진동은 크로스 바(2)에서 2부분으로 분산 전달되면서 크로스 바(2)의 자체 진동 등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종래 하나인 카울 크로스 바에 비해 진동이 매우 많이 흡수된다.
크로스 바(2)에서 진동이 많이 흡수되면 상기한 크로스 바(2)와 멤버부재(51)를 통해 핸들에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됨으로써 운전중 핸들의 진동에 의한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정면 충돌 시 상기한 크로스 바(2)가 2중이기 때문에 종래의 카울 크로스 바(52)에 비해 충격 흡수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U형으로 구부러진 형태인 크로스 바를 멤버부재와 걸림 플레이트에 고정시킴으로써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진동 흡수 및 충격 흡수 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있어서, 멤버부재와 프론트 필러 사이에 2계통의 충격 전달 경로를 갖는 분산 수단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분산 수단은 하나의 봉을 U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크로스 바와, 상기한 크로스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멤버부재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한 끼움부와 대향됨과 아울러 크로스 바의 굽힘부에 걸리도록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패널에 고정되고 걸림봉이 형성된 걸림 플레이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19960045507A 1996-10-12 1996-10-12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9980026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07A KR19980026922A (ko) 1996-10-12 1996-10-12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07A KR19980026922A (ko) 1996-10-12 1996-10-12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22A true KR19980026922A (ko) 1998-07-15

Family

ID=6628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07A KR19980026922A (ko) 1996-10-12 1996-10-12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9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98B1 (ko) * 2008-12-05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크로스바 측면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98B1 (ko) * 2008-12-05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크로스바 측면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9956B2 (en) Automobile front body structure
US7232005B2 (en) Power plant mounting apparatus
CA2292693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KR100826473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2007090965A (ja) 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9980026922A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JP2002200924A (ja) パワープラント支持構造
JP3361028B2 (ja) エンジンユニットのマウント構造
KR19980025675U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고정구조
KR100478043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JP4211490B2 (ja) 車両の前端構造
JP2004330895A (ja) ワイパモジュール取付部の衝撃吸収構造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100384105B1 (ko) 차량용엔진마운팅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100578059B1 (ko) 공조장치의 하부강성증대를 위한 자동차용프론트엔드모듈의 결합구조
KR200311137Y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KR0139606Y1 (ko) 자동차용 핸들 떨림 방지구조
KR19980045700A (ko) 크로스바에 의한 차체 프론트부의 보강구조
KR100452212B1 (ko) 엔진리어마운팅부의 차체구조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20050015748A (ko) 자동차용 변속기 마운팅 구조
KR200141667Y1 (ko) 자동차 범퍼 장착구조
JPH0571082U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350799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리어부 강성증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