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37Y1 -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37Y1
KR200311137Y1 KR20-2003-0001601U KR20030001601U KR200311137Y1 KR 200311137 Y1 KR200311137 Y1 KR 200311137Y1 KR 20030001601 U KR20030001601 U KR 20030001601U KR 200311137 Y1 KR200311137 Y1 KR 200311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unting
bumper guard
vehic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원콘보이
Priority to KR20-2003-0001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에 의하면;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에는 서브-브래킷(4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1)가 마련되며; 서브-브래킷(40)은 장착부(11)에 볼트(45)를 통해 고정되는 장착브래킷(41)과, 이 장착브래킷(41)에 접합되며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메인-브래킷(30)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42)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착브래킷(41)에 접합된 연결브래킷(42) 구조만을 달리하면, 리어 범퍼가드를 장착하는 차종이 달라도 범퍼가드 본체(10) 및 서브-브래킷(40)의 장착브래킷(41)은 그대로 공용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브래킷(41)이 U자형 단면을 갖도록 밴딩되어 있으며 장착부(11)와의 사이에 방진패드(51)(52)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범퍼가드 본체(1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범퍼가드의 떨림 현상 및 진동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REAR BUMPER GUARD OF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범퍼가드를 자동차 후방에 견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 조립체를 갖춘 자동차의리어 범퍼가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는 리어범퍼를 감싸도록 장착됨으로써, 차량 접촉 및 충돌 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리어범퍼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 리어 범퍼가드는 자체 강성이 높은 서스 파이프(SUS PIPE)를 통한 바(BAR) 타입으로 제작되어 리어범퍼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을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브래킷 조립체를 갖추고 있다. 또한, 브래킷 조립체는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고정되며 선단에 볼트공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메인-브래킷과, 이 메인-브래킷의 볼트공과 일치되도록 범퍼가드의 본체 단부에 용접수단을 통해 고정되며 선단에 볼트공이 천공된 서브-브래킷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메인-브래킷을 고정한 후 메인-브래킷과 서브-브래킷의 볼트공들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일치된 볼트공들에 각각 마운팅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조이면, 리어 범퍼가드는 차량 후방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리어 범퍼가드의 장착구조에서는 차종에 따라 메인-브래킷 및 서브-브래킷이 고정되는 위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의 범퍼가드를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차종에 따라 서브-브래킷의 위치를 달리하여 범퍼가드 본체에 직접 용접해야 해야 하는 제조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해 각 차종에 맞는 여러 규격의 리어 범퍼가드를 생산하고 이를 비치함에 따른 생산 및 물류비등의 부담은 물론이며 취급과 장착작업이 매우 번거로운문제점이 수반된다.
또한, 종래 리어 범퍼가드의 브래킷 조립체 구조에서는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메인-브래킷과 서브-브래킷을 통해 범퍼가드 본체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이에 따른 떨림 현상 및 진동 소음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래킷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리어 범퍼가드의 본체를 수정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차종에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래킷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범퍼가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브래킷 조립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브래킷 조립체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범퍼가드 본체 20..브래킷 조립체
30..메인-브래킷 40..서브-브래킷
41..장착브래킷 42..연결브래킷
45..볼트 51,52..방진패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범퍼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범퍼가드 본체와, 이 범퍼가드 본체를 자동차 후방에 배치하기 위해 자동차의 프레임 후방에 장착되는 메인-브래킷과, 이 범퍼가드 본체의 단부측에 장착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메인-브래킷과 연결되는 서브-브래킷을 갖춘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에 있어서,
범퍼가드 본체의 단부에는 서브-브래킷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가 마련되며,
서브-브래킷은 장착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장착브래킷과, 이 장착브래킷에 접합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메인-브래킷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착브래킷에는 볼트 고정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 조임홀이 다수개 천공되며, 장착부에는 볼트 조임홀과 일치되도록 너트가 인서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착부는 범퍼가드 본체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장착면과 제2장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브래킷은 제1장착면에 볼트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이 제1고정부에서 절곡 연장되어 제2장착면에 볼트 고정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지며, 장착브래킷의 절곡부위에는 연결브래킷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착브래킷과 장착부 사이에는 방진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후방의 리어범퍼(1)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범퍼가드 본체(10)와, 이 범퍼가드 본체(10)를 차체 프레임(미도시) 후방에 견실하게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브래킷 조립체(20)를 갖추고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범퍼가드 본체(10)는 합성수지를 블로 몰딩(blow molding)공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의 양단에는 브래킷 조립체(20) 장착을 위한 장착부(11)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11)는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장착면(12)과 제2장착면(13)으로 이루어진다. 제1장착면(12)은 범퍼가드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오목하면서 평활하게 마련되며, 제2장착면(13)은 범퍼가드 본체(10)의 전면 중앙부위에 평활하게 마련되어 있다.
결국, 제1장착면(12)이 제2장착면(13)에 비해 범퍼가드 본체(1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이들이 단차지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제1장착면(12)과 제2장착면(13)에는 범퍼가드 본체(10)의 성형 시 후술하는 볼트 조임홀(43)과 일치되도록 다수개의 너트(14)(15)가 인서트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1장착면(12)에는 3개의 너트(14)가 일정한 간격으로 인서트 고정되며, 제2장착면(13)에는 2개의 너트(15)가 인서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 조립체(20)는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장착되는 메인-브래킷(30)과, 범퍼가드 본체(10)의 장착부(11)측에 장착되며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메인-브래킷(30)과 연결되는 서브-브래킷(40)을 갖추고 있다. (한편, 범퍼가드 본체(10) 설치를 위한 브래킷 조립체(20)는 대응하게 구성된 2개가 한조를 이루면서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장착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하나의 브래킷 조립체(2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메인-브래킷(30)은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절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의 일단(31)은 차체의 프레임 후방측에 볼트를 통해 견실하게 고정되며, 이의 타단은 서브-브래킷(40)측과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메인-브래킷(30)의 일단(31)에는 2개의 볼트공(31a)이 천공되며, 메인-브래킷(30)의 타단(32)에는 후술하는 서브-브래킷(40)의 연결브래킷(42)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ㄷ" 단면을 갖는 수용부(33)가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브래킷(40)은 범퍼가드 본체(10)의 장착부(11)에 볼트(45)를 통해 고정되는 장착브래킷(41)과, 이 장착브래킷(41)의 외측에 접합되며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메인-브래킷(30)의 타단부(32)에 연결 결합되는 연결브래킷(42)으로 구별된다.
장착브래킷(41)은 절단된 금속판을 대체로 "U" 형상으로 벤딩 구성되며, 장착부(11)에 면접촉하게 된다. 즉, 장착브래킷(41)은 장착부(11)의 제1장착면(12)과 면접촉하며 볼트 조임홀(43)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제1고정부(41a)와, 이 제1고정부(41a)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장착부(11)의 제2장착면(13)과 면접촉하며 볼트 조임홀(43)이 천공된 제2고정부(41b)로 정의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1고정부(41a)에는 3개의 볼트 조임홀(43)이 가공되며, 제2고정부(41b)에는 2개의 볼트 조임홀(43)이 가공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4 "는 볼트 조임공구(미도시)의 단부가 여유 있게 삽입되도록 장착브래킷(41)의 절곡부위(41c)에 천공된 장공으로, 이를 통해 제1고정부(41a)의 볼트 조임홀(43)에 볼트(45)를 조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브래킷(42)은 장착브래킷(41)의 절곡부위(41c)에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되는데, 이의 접합위치는 차종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연결브래킷(42)은 메인-브래킷(30)의 수용부(33)에 여유 있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금속판을 밴딩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범퍼가드 본체(10)의 장착부(11)와 장착브래킷(41) 사이에는 진동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방진패드(51)(52)가 배치되는데, 이것은 장착브래킷(41)의 제1고정부(41a)와 제1장착면(12)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진패드(51)와, 장착브래킷(41)의 제2고정부(41b)와 제2장착면(13) 사이에 배치되는 제2방진패드(52)로 구별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의 조립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볼트(45)를 통해 서브-브래킷(40)을 범퍼가드 본체(10)의 장착부(11)에 조립한다. (이 때, 서브-브래킷(40)의 장착브래킷(41)에는 연결브래킷(42)이 접합된 상태이다.) 즉, 제1장착면(12)과 제2장착면(13)에 제1방진패드(51)와 제2방진패드(52)를 각각 배치한 후 장착브래킷(41)을 장착부(11)에 일치시킨다. 이에 따라 장착브래킷(41)의 제1고정부(41a)는 제1장착면(12)에 면접촉하며, 제2고정부(41b)는 제2장착면(13)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볼트 조임홀(43)들은 인서트 고정된 너트(14)(15)와 일치된다. 계속하여 볼트 조임홀(43)들을 관통하여 각각의 너트(14)(15)에 볼트(45)를 조이면, 장착브래킷(41), 즉 서브-브래킷(40)은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에 고정된다(도 2 참조).
그리고 메인-브래킷(30)의 일단(31)을 볼트를 통해 차체의 프레임 후방에 고정하면, 이의 타단(32) 즉 수용부(33)는 상측을 향하면서 차량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브래킷(30)에 서브-브래킷(40)의 연결브래킷(42)을 삽입한 후 마운팅볼트(42a)에 너트(42b)를 조이면(도 4참조), 범퍼가드 본체(10)는자동차의 리어 범퍼(1;도 1참조)를 감싸도록 견실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범퍼가드의 장착대상 차종이 달라 메인-브래킷(300) 및 연결브래킷(420)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범퍼가드 본체(10) 및 서브-브래킷(40)의 장착브래킷(41)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상술하면, 범퍼가드 본체(10)에 볼트(45)를 통해 장착되는 서브-브래킷(40)의 장착브래킷(41)은 그대로 사용하면서, 장착브래킷(41)에 접합되는 연결브래킷(420) 및 메인-브래킷(300)은 형상변경이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리어 범퍼가드 본체(10)를 수정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차종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브래킷(40)을 이루는 장착브래킷(41)은 U 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체에서 메인-브래킷(4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분산되면서 소멸된다. 또한, 장착브래킷(41)과 장착부(11) 사이에 배치된 고무재질의 방진패드(51)(52)에 의해, 차체의 진동이 범퍼가드 본체(1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에 의하면; 범퍼가드 본체의 단부에는 서브-브래킷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가 마련되며; 서브-브래킷은 장착부에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장착브래킷과, 이 장착브래킷에 접합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메인-브래킷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착브래킷에 접합된 연결브래킷 구조만을 달리하면, 리어 범퍼가드를 장착하는 차종이 달라도 범퍼가드 본체 및 서브-브래킷의 장착브래킷은 그대로 공용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장착브래킷이 U자형 단면을 갖도록 밴딩되어 있으며 장착부와의 사이에 방진패드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에서 발생된 진동이 범퍼가드 본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범퍼가드의 떨림 현상 및 진동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차의 리어범퍼(1)를 길이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는 범퍼가드 본체(10)와, 상기 범퍼가드 본체(10)를 자동차 후방에 배치하기 위해 자동차의 프레임 후방에 장착되는 메인-브래킷(30)과, 상기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측에 장착되며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상기 메인-브래킷(30)과 연결되는 서브-브래킷(40)을 갖춘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에 있어서,
    상기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브래킷(4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1)가 마련되며,
    상기 서브-브래킷(11)은 상기 장착부(11)에 볼트(45)를 통해 고정되는 장착브래킷(41)과, 상기 장착브래킷(41)에 접합되며 상기 마운팅볼트(42a)를 통해 상기 메인-브래킷(30)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래킷(41)에는 상기 볼트(45) 고정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 조임홀(43)이 다수개 천공되며,
    상기 장착부(11)에는 상기 볼트 조임홀(43)과 일치되도록 너트(14)(15)가 인서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1)는 범퍼가드 본체(10)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제1장착면(12)과 제2장착면(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브래킷(41)은 상기 제1장착면(12)에 볼트(45) 고정되는 제1고정부(41a)와, 상기 제1고정부(41a)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2장착면(13)에 볼트(45) 고정되는 제2고정부(4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브래킷(41)의 절곡부위(41c)에는 상기 연결브래킷(42)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래킷(41)과 상기 장착부(11) 사이에는 방진패드(51)(5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KR20-2003-0001601U 2003-01-18 2003-01-18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KR200311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01U KR200311137Y1 (ko) 2003-01-18 2003-01-18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601U KR200311137Y1 (ko) 2003-01-18 2003-01-18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37Y1 true KR200311137Y1 (ko) 2003-04-21

Family

ID=4940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601U KR200311137Y1 (ko) 2003-01-18 2003-01-18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4458A (zh) * 2017-09-21 2018-01-09 天津华夏联盛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后保险杠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4458A (zh) * 2017-09-21 2018-01-09 天津华夏联盛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后保险杠总成
CN107554458B (zh) * 2017-09-21 2024-02-27 天津华夏联盛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后保险杠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613B2 (en) Carrier structure
EP1211163B1 (en) Radiator support structure of motor vehicle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EP1690722B1 (en) Mount apparatus mounting structure
US20040195864A1 (en) Side member and bumper beam attaching structure
JP2003237508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US20180105213A1 (en) Suspension member
CN111516760B (zh) 挡泥板装置
JP4457903B2 (ja) 車体端部構造
US20040041439A1 (en) Vehicle front end structure
KR200311137Y1 (ko) 자동차의 리어 범퍼가드
EP1260427B1 (en) Bracket for motor vehicle
KR100383990B1 (ko) 프론트 앤드 모듈 구조
KR19980045538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0517702B1 (ko) 캐리어의 결합구조
KR200146028Y1 (ko) 자동차의 범퍼 조립구조
KR10088550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0517701B1 (ko) 래치커버 일체형 캐리어구조
JPH0580918U (ja) 自動車用バンパにおけるワイヤハーネス配線構造
JPH03208780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41666Y1 (ko) 차량용 범퍼의 밀착고정식 로워가드
KR100436739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 써포트 멤버
KR101762267B1 (ko) 전방 차체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0747405B1 (ko)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KR200141667Y1 (ko) 자동차 범퍼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