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161U -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161U
KR19980026161U KR2019960039020U KR19960039020U KR19980026161U KR 19980026161 U KR19980026161 U KR 19980026161U KR 2019960039020 U KR2019960039020 U KR 2019960039020U KR 19960039020 U KR19960039020 U KR 19960039020U KR 19980026161 U KR19980026161 U KR 19980026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argo
auxiliary gate
loading box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연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6003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161U/ko
Publication of KR19980026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16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276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vertical trans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게이트를 2단으로 구성한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에서는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게이트상에 수납, 이탈식의 보조게이트를 더 구비하여 화물적재의 편익을 도모토록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화물자동차(10)의 적재함(11) 양측과 후방에 마련되는 게이트(12)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수납공(13,13')을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13,13')에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횡프레임(17,17')의 저면에 게이트(12)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의 수직프레임(16,16')을 고정하여 이루어진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이 수납시켜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경량이면서 부피가 큰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고 화물의 안전도에도 기여가 크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게이트를 2단으로 구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물자동차를 살펴보면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는 양측면과 후방에 개폐가 자유로운 게이트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는 화물을 적재할 때 적재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방하여 사용을 하고 화물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개방된 게이트를 닫아 적재된 화물이 이탈되거나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적재함의 적재량을 초과하지 않는 무게에 대비 부피가 큰 경량제품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게이트의 높이가 낮아 항상 로우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이때에는 견고하지 않은 화물일 경우에는 적재된 화물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는 적재함의 게이트의 높이가 일정하게 제약되어 있는 관계로 경량이면서도 적재함 게이트의 높이보다 큰 화물을 적재하였을 경우 적재된 화물을 로우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화물이 적재함의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는 불상사가 일어나므로 어떠한 화물이라도 적재하고 나면 항상 고정하여야 하는 등 여러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화물자동차의 적재함 게이트상에 수납, 이탈식의 보조게이트를 더 구비하여 화물적재의 편익을 도모토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 - A선 발췌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적재함
12; 게이트
13,13'; 수납공
15; 보조게이트
16,16'; 수직프레임
20,20',21; 핀공
23; 고정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 -A선 발췌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을 한다.
화물자동차(10)의 적재함(11) 양측과 후방에 마련되는 게이트(12)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수납공(13,13')을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13,13')에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횡프레임(17,17')의 저면에 게이트(12)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의 수직프레임(16,16')을 고정하여 ()형으로 이루어진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이 수납되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의 하방부에는 다수개의 핀공(20,20')을 형성하고, 게이트(12)에 형성된 수납공(13,13') 위치의 상방에는 핀공(21)을 형성하여 게이트(12)에 와이어(22)로 연결한 고정핀(23)을 이용하여 인출된 보조게이트(15)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보조프레임(15)과 게이트(12)에 형성되는 핀공(20,20',21)은 내, 외측에 동시에 형성하여 게이트(12)의 내, 외측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중량체나 높이가 아주 큰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게이트(12)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홈(13,13')에 수납된 보조게이트(15)를 인출치 않고 적재한 후에 로우프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면 되고, 적재함(11)의 게이트(12)보다 낮은 높이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적재함(11)의 게이트(12)보다 높이가 높고 중량이 가벼운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게이트(12)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홈(13,13')상에 수납된 보조게이트(15)를 인출하여 화물을ㄹ 적재하면 로우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즉, 보조게이트(15)를 게이트(12)의 수납홈(13,13')로부터 이탈시킨 후에는 화물의 높이에 맞게 보조게이트(15)의 인출량을 조절한 후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에 형성된 핀공(20,20')과 게이트(12)에 형성된 핀공(21)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23)을 이용하여 고정을 시키면 인출된 보조게이트(15)가 재차 수납되지 않으므로서 게이트보다 높은 화물이 유동하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경량이면서 부피가 큰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고 화물의 안전도에도 기여가 큰 고안이다.

Claims (3)

  1. 화물자동차(10)의 적재함(11) 양측과 후방에 마련되는 게이트(12)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수납공(13,13')을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13,13')에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횡프레임(17,17')의 저면에 게이트(12)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의 수직프레임(16,16')을 고정하여 이루어진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을 수납시켜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게이트(15)의 수직프레임(16,16')의 하방부에는 다수개의 핀공(20,20')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12)에 형성된 수납공(13,13') 위치의 상방에도 핀공(21)을 형성하여 게이트(12)에 와이어(22)로 연결한 고정핀(23)을 이용하여 인출된 보조게이트(15)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게이트(15)과 게이트(12)에 형성되는 핀공(20,20',21)은 내, 외측에 동시에 형성하여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KR2019960039020U 1996-11-05 1996-11-05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KR199800261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020U KR19980026161U (ko) 1996-11-05 1996-11-05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020U KR19980026161U (ko) 1996-11-05 1996-11-05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61U true KR19980026161U (ko) 1998-08-05

Family

ID=5398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020U KR19980026161U (ko) 1996-11-05 1996-11-05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1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2915A (zh) * 2017-12-08 2018-05-15 翁志坚 一种平车活动框
US9991507B2 (en) 2013-07-26 2018-06-05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energy densit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1507B2 (en) 2013-07-26 2018-06-05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energy densit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8032915A (zh) * 2017-12-08 2018-05-15 翁志坚 一种平车活动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830B1 (en) Self contained storage device for trucks
US4369902A (en) Retractable load carrier for vehicles
US6447051B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CN107867339B (zh) 用于轻型客货两用车货箱的存储装置
KR19980026161U (ko) 화물자동차 적재함용 보조게이트
US20140377046A1 (en) Compact Ramp System
US4723880A (en) Shoring beam storage rack
US20040050889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useful as a table
JP5159272B2 (ja) 集配用貨物自動車
JP7245512B2 (ja) 収納庫兼用運搬車
KR0139563B1 (ko) 길이가 조절되는 화물차의 적재함
KR100358281B1 (ko) 사다리 수납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US3052485A (en) Impact gate
BE1014568A3 (nl) Deurladder voor motorvoertuigen.
KR102379879B1 (ko) 차량용 서랍식 공구 부속함
KR100466512B1 (ko) 차량용 이동식 루프 캐리어
KR200490550Y1 (ko) 픽업 적재함 캠핑용 확장장치
KR0118265Y1 (ko) 자동차용의 화물고정용 고리구
KR200151406Y1 (ko) 화물승강용 화물차의 리어게이트
JP2006347356A (ja) 車両のトランクルーム構造
JP3063987U (ja) 荷物篭
KR101973266B1 (ko) 수납공간 확장형 차량 루프박스
KR100350898B1 (ko) 화물자동차의 적재함높이 증설장치
KR100710495B1 (ko) 화물차량의 적재구조
KR100535518B1 (ko) 승용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