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856A - 콘택트 구조 - Google Patents

콘택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856A
KR19980024856A KR1019970048156A KR19970048156A KR19980024856A KR 19980024856 A KR19980024856 A KR 19980024856A KR 1019970048156 A KR1019970048156 A KR 1019970048156A KR 19970048156 A KR19970048156 A KR 19970048156A KR 19980024856 A KR19980024856 A KR 1998002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ttery
charging
contact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6999B1 (ko
Inventor
토마스 이. 폴리크
Original Assignee
조나단 피. 메이어
모토롤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나단 피. 메이어, 모토롤라, 인크 filed Critical 조나단 피. 메이어
Publication of KR1998002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신규한 콘택트 구성은 배터리 팩의 선택적 충전 또는 배터리 팩과 전자 장치간의 정보의 전송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신규한 특징에 따르면, 충전 콘택트(408)가 종래의 전지의 콘택트에 의해 덮힌 영역 외부의 영역(410)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충전 콘택트 단자는 임의의 1차 전지의 비의도적인 충전을 피하기 위해 충전 전류을 재충전가능한 전지에만 인가할 것이다. 대체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콘택트는 배터리형에 따라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또는 데이타 전송 콘택트(406)는 정보의 전송이 가능케 하도록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콘택트 구조
본 발명은 배터리 콘택트(battery contacts)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적인 충전 콘택트를 갖는 배터리 콘택트 구조(a battery contact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전자 구성요소가 보다 발전되고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는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유사하게, 또한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여, 표준 알카린 전지 이외에 다양한 재충전가능한 전지를 가능케 한다. 많은 전자 장치는 장치내 전지의 재충전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재충전되도록 설계되지 않는 전지에 충전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재충전가능한 전지는 다른 충전 구비조건과 특성을 갖는다.
표준 또는 재충전가능하지 않은 전지의 충전을 방지하면서, 종래의 배터리 및 관련된 배터리 충전기가 배터리의 양극 콘택트에 재충전가능한 전지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재충전가능한 전지의 충전을 가능케 하지만 표준 전지의 양극 단자에 접촉하지 않는 특정한 콘택트 구조를 필요로 한다. 특히, 배터리의 양극 콘택트와 충전기의 양극 콘택트 모두는 변형되어야 한다. 보다 중요하게, 종래 기술의 이와 같은 콘택트 구조는 기능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배터리와 충전기 간에 정보를 전송할 배터리 구성 및/또는 대응하는 충전 콘택트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선택적인 충전(또는 충전을 방지함) 또는 배터리와 전자 장치간의 정보의 전송을 가능케 하는 배터리 콘택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A 전지와 같은 종래의 전지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전자 장치와 배터리 팩에 특별히 적용되지만, 이는 임의 형태의 배터리 또는 심지어 단일 전지를 갖는 전원 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신규한 특징에 따르면, 충전 콘택트는 종래의 전지의 콘택트에 의해 덮힌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 콘택트는 임의의 종류의 1차 전지(예를 들면, 충전을 위해 설계된 배터리 팩에 있지 않은 전지)의 비의도적인 충전을 피하기 위해 충전 전류를 재충전가능한 전지에만 인가할 것이다. 대체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콘택트는 배터리형에 따라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터리는 바람직하게 전자 장치의 다수의 콘택트중 하나에 대응하는 단일 충전 콘택트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는 배터리형에 관련된 선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올바르게 충전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또는 데이타 전송 콘택트는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의 저항기 또는 충전기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충전기는 특수한 콘택트의 전압에 근거하여 전압에 근거하여 배터리형을 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종래에 스마트(smart) 배터리라 일컫는, 메모리 장치를 갖는 배터리 팩은 전자 장치가 배터리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도록 하는 또 다른 영역에 콘택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콘택트의 임의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구조를 갖는 휴대가능한 전자 장치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콘택트 구조를 일체로 하는 무선 전화기의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구조를 갖는 배터리의 확대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콘택트 구조를 갖는 배터리의 회로도.
도 4는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의 상면도와 콘택트 구조(103)를 도시하는, 선 A-A라 절취한 무선 전화기(102)의 단면도.
도 5는 배터리 콘택트 구조(103)의 상면도와 콘택트 구조(103)를 도시하는, 선 A-A에 따라 절취한 무선 전화기(105)의 단면도의 대체 실시예.
도 6은 배터리 콘택트 구조(103)의 상면도와 콘택트 구조(103)를 도시하는, 선 A-A에 따라 절취한 무선 전화기(105)의 단면도의 제2 대체 실시예.
도 7은 배터리 콘택트 구조(103)의 상면도와 콘택트 구조(103)를 도시하는, 선 A-A에 따라 절취한 무선 전화기(105)의 단면도의 제3 대체 실시예.
도 8은 배터리 콘택트 구조(103)의 상면도와 콘택트 구조(103)를 도시하는, 선 A-A에 따라 절취한 무선 전화기(105)의 단면도의 제4 대체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무선 통신 장치
102 : 리세스부
103 : 콘택트 구조
104 : 배터리 팩
105 : 배터리 콘택트 구조
106, 107, 108 : 스프링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1)와 같은 전자 장치(100)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무선 통신 장치(101)는 바람직하게 배터리 팩(104)을 수용하기 위한 콘택트 구조(103)를 갖는 리세스부(102)를 포함한다.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는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콘택트 구조(103)와 맞물리도록 적응되어 있다. 상기 리세스부는 바람직하게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와 장치 콘택트 구조(103)간의 양호한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107과 108)을 포함한다. 스프링(107과 108)은, 사용자가 배터리의 적절한 방향을 결정하도록 배터리 팩(104)의 대응하는 리세스부에 끼워지는 다른 크기의 종단부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커버(110)는 배터리 팩(104)을 리세스부(102)내에 보호하고 유지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지금부터 도 2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1)와 본 발명의 콘택트 구조를 일체로 배터리 팩(104)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특히, 트랜시버부(200)는 바람직하게 모토롤라, 인크.로 부터 가용한 CMOS ASIC과 같은 신호/음성 ASIC(201)과, 또한 모토롤라, 인크.로 부터 가용한 68HC1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회로(202), 또는 셀룰러 기지국과 같은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필수 통신 프로토콜을 발생하도록 결합하는 일부 다른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프로토콜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단계를 실행하고 표시부(213)에의 기록, 키패드(215)로 부터 정보의 수신, 커넥터(216)를 통한 입력/출력 정보의 수신 또는 주파수 합성기(225)의 제어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위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회로(202)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패키지(211)에 통합된 RAM(205), EEPROM(207), 및 ROM(209)을 구비하는 메모리(204)를 사용한다. ASIC(201)은 마이크로폰(217)으로 부터 스피커(221)까지 음성 회로(219)에 의해 변환된 음성을 처리한다.
트랜시버부(20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한다. 특히, 전송기(223)는 주파수 합성기(225)에 의해 발생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안테나(229)를 통해 전송한다. 이동 유닛의 안테나(229)에 의해 수신된 정보는 주파수 합성기(225)로 부터의 상기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심벌을 복조하는 수신기(227)에 입력된다. 이동 유닛은 디지탈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기와 기억 장치(23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부(200)는 전원(114)에 의한 전력을 수신하고 조정된 출력을 충전 회로(112)에 공급하는 조정기(231)를 더 포함한다. 전원(114)은 종래의 AC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일 수 있거나, 자동차의 DC 전력을 장치에 결합하는 담배 라이터 어댑터일 수 있다. 트랜시버부(200)는 배터리의 배터리 콘택트(244) 및 접지 콘택트(246)에 각각 결합되도록 적응된 전력 콘택트(240) 및 접지 콘택트(242)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104)는 바람직하게 배터리 콘택트(244)와 접지 콘택트(246)간에 결합된 재충전가능한 전지(106)를 구비한다. 또한, 배터리 팩(104)은 바람직하게 충전 콘택트(252)에 결합되거나 개방 회로를 제공하는 콘택트(255)를 포함한다. 충전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충전부는 개방 회로인지에 근거하여 배터리형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로, 서미스터(256)가 접지 콘택트(246)에 결합될 수 있다. 서미스터(256)는 배터리의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케 하도록, 배터리의 온도와 같은, 배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콘택트(255)가 저항기의 값에 근거하여 충전부에 결합되는 경우, 콘택트(255)는 제어 회로(200)가 배터리형을 식별하게 하도록 배터리내 개별 저항기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팩(104)은 충전기에 결합될 수 있는 콘택트(258)와 온도 정보를 트랜시버부(200)에 제공하기 위한 트랜시버부(200)의 콘택트(262)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콘택트(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4)은 충전부의 대응하는 콘택트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콘택트(266)에 결합된 EEPROM(264)과 같은 부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팩(104)은 트랜시버부(200)의 콘택트(270)와 맞물리도록 적응된 콘택트(26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EPROM(264)은, 충전부 또는 트랜시버부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를 정확하게 충전하도록 배터리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회로(202)는 배터리형의 결정 또는 EEPROM(264)으로 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충전 회로(112)를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압을 변화시키는데 니켈 카드뮴 배터리 또는 니켈 금속 히드리드 배터리보다는 적은 충전 전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4)과 같은 전력 장치의 확대도가 도시된다. 배터리 팩은 양극 노드와 음극 노드를 갖는, 재충전가능한 AA 전지와 같은 종래의 전지(302 내지 308)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 전지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 스트립(strip)(312)은 전지(304)의 양극 단자를 전지(306)의 음극 단자에 결합한다. 유사하게, 도전 스트립(312)은 전지(302)를 전지(304)에 결합하는 반면에 도전 스트립(314)은 전지(306)를 전지(308)에 결합한다. 배터리 팩(104)은 바람직하게 폴리스위치(316), 온도 휴즈(318), 및 서미스터(320)와 같은 다른 소자를 포함한다. 서미스터 콘택트(322)는 서미스터(320)에의 외부 콘택트를 가능케 한다. 전류가 배터리(302)의 음극 단자에 인가될 때 음극 콘택트(324)는 배터리의 충전을 가능케 하는 충전 콘택트(325)를 포함한다. 충전 콘택트(325)의 위치는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추가로, 양극 콘택트(326)는 배터리 팩의 양극 콘택트에의 외부 연결을 가능케 한다. 스마트 배터리의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330)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또한 저항기(332) 또는 배터리형을 식별하기 위한 다른 개별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지와 구성요소는 콘택트 판을 갖는 지지 구조(340) 또는 배터리 팩에의 외부 연결을 가능케 하기 위한 콘택트 판(341)을 갖는 배터리 팩(104)에 패키징된다. 특히, 리세스부(342)는 양극 콘택트(326)를 수용하도록 적응되어 있는 반면에 개별 리세스부(344)는 음극 콘택트(324)를 수용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서미스터 리세스부(346)는 서미스터 콘택트(322)를 수용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348)는 리세스부(352와 354)을 갖는 종단부(350)을 포함한다. 리세스부(352와 354)는 다른 크기일 수 있고 스프링(106과 108)의 종단을 각각 수용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상기 다른 크기의 리세스부는 사용자가 배터리의 적절한 방향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비록 도 3a의 구조가 배터리 구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할 지라도, 임의의 수 또는 구성의 전지 또는 다른 소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조의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3b를 참조하면, 회로도는 배터리 3-1의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스위치(316)는 전지(302/304)와 전지(306/308)간에 결합된다. 또한, 온도 휴즈(318)는 바람직하게 양극 콘택트간에 결합된다. 서미스터(320)는 음극 콘택트(324)에 결합된다. 또한,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개별 충전 콘택트(325)가 제공된다. 또한, EEPROM(330) 또는 다른 메모리 장치가 양극 콘택트에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배터리형을 식별하기 위한 저항기(332)가 결합된다. 비록 도 3b의 예시적인 회로가 다양한 소자에 대한 하나의 레이아웃을 제공할 지라도, 도시된 하나 이상의 소자를 구현하는 다른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4를 참조하면, 도 4a는 배터리 팩(104)용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를 도시한다. 특히,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를 일체로 하는 콘택트판은 종래의 원통형 전지와 같은 전지를 전체적으로 보호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단면에서 보아 단일 전지를 갖는 팩의 경우, 콘택트판이 전체적으로 원통형 전지를 위해 원형인 반면에 단면에서 보아 두개의 전지를 갖는 배터리 팩은 전체적으로 타원형인 콘택트판을 갖는다. 콘택트 구조는 바람직하게 음극 콘택트(402), 양극 콘택트(404) 및 다른 콘택트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미스터 콘택트(406)와 충전 콘택트(408)가 배터리 팩에 일체화된다. 충전 콘택트(408)는 바람직하게 구석을 한정하는 영역(410)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 이외의 플랜지에 배치된다. 비록 서미스터 콘택트(406)와 충전 콘택트(408) 모두가 도 4a에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서미스터 콘택트는 선택적인 것이고, 제거되거나 또는 다른 콘택트로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전 콘택트는 서미스터 콘택트 대신에, 또는 콘택트판 아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 이외의 일부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어, 임의의 영역(410)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비록 충전 콘택트가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의 좌측 하부 영역에 도시되어 있지만, 충전 콘택트는 콘택트 구조의 임의의 플랜지상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콘택트(406)에 대향인 추가 콘택트가 도 4a의 실시예에 일체로 될수 있다.
지금부터 도 4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의 장치 콘택트 구조(103)가 도 1의 면선 A-A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로 도시된다. 특히, 대응하는 음극 콘택트 단자(422), 양극 콘택트 단자(424), 서미스터 콘택트 단자(426), 및 충전 콘택트 단자(428)는 배터리 팩(104)의 대응하는 콘택트를 결합하도록 적응되어 있다.
지금부터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의 대체 실시예가 도시된다. 특히, 배터리 팩의 전지의 영역 이외의 영역에 추가 콘택트가 놓이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두개의 플랜지가 제공된다. 특히, 도 1의 콘택트(406과 408)에 추가하여, 콘택트(5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준 전지 이외의 영역(503)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콘택트(504)는 콘택트(406)에 대향하여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네개의 추가 콘택트가 도 5a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네개의 부분적인 콘택트가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 콘택트의 임의의 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선택된 추가 콘택트의 기능이 변할 수 있다. 콘택트의 일부 가용한 용도는 서미스터, 배터리 식별형, 스마트 배터리 액세스, 또는 임의의 다른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502, 504, 및 406)에 대응하는 추가 콘택트 단자(522, 524, 및 526)가 각각 도시된다. 콘택트와 대응하는 콘택트 단자의 특수한 구성은 설계 선택의 문제이고, 회로 기판에 단자의 위치, 또는 관련된 제품 또는 표준과의 호환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택트 구조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a에서, 배터리 콘택트 구조(105)는 상호 대각선으로 배치된 두개의 플랜지를 일체로 한다. 또한, 도 6a의 구성은 종래의 콘택트 영역의 외부에 4개의 추가 콘택트가 놓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6a의 실시예에서, 영역(604)의 콘택트(602)는 도 5a의 콘택트(502)를 대체한다. 또한, 도 6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콘택트 단자(622)는 도 5b의 콘택트 단자(502) 대신에 무선 통신 장치의 콘택트 구조에 일체화된다. 비록 플랜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 추가되었지만, 좌측 상부와 우측 하부에 구석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지금부터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체 실시예가 도시된다. 특히, 3개의 플린지가 라운드된 하나의 영역만을 남기고 표준 전지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도 6a의 구석 부분에 추가하여, 영역(704)의 콘택트(7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콘택트를 제공하도록 포함된다. 콘택트(702)에 대응하는 추가 콘택트 단자(722)가 도 7b에 도시된다. 4개의 구석 부분중 임의의 하나가 라운드된 영역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결국, 4개의 플랜지를 일체로 하는 콘택트 구조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다. 도 8a 및 도 8b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a에 도시된 그와 같은 콘택트에 추가하여 영역(804)에 추가 콘택트(802)가 부가된다. 도 8a 및 도 8b의 콘택트 구조는 전지의 표준 콘택트 영역 외부에 6개의 콘택트가 놓이는 것을 가능케 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822와 828)가 콘택트(802와 408)에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콘택트 구조와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의 대응하는 콘택트 단자는 배터리의 선택적 충전을 가능케 할 수 있다. 특히, 원통형 AA 전지와 같은 종래의 전지에 의해 흔히 점유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충전 콘택트를 배치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의 충전 단자는 충전되도록 적응되어 있는 배터리에 콘택트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것이다. 표준 전지에 의해 흔히 점유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콘택트를 배치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리세스부에 배터리 팩의 적절한 삽입(또는 부정확한 어셔션(assertion)을 금지함)을 가능케 하는 배터리 팩의 독특한 구성 또는 형태를 가능하게 한다. 다수 영역 또는 구석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콘택트를 위한 추가 장소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두 영역은 적어도 4개의 추가 콘택트를 가능하게 하고, 3개의 영역은 적어도 5개의 추가 콘택트를 가능케 하는 반면에 4개의 영역은 적어도 6개의 추가 콘택트를 가능케 할 것이다. 전자 장치의 배터리형과 기능에 따라, 특정 영역의 단자의 위치는 배터리의 유지 또는 정보의 전송을 가능케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각각의 콘택트가 다른 충전 스킴을 제공하는 3개의 충전 콘택트를 갖도록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에 배치된 충전 콘택트를 갖는 특정 배터리는 배터리의 대응하는 충전 콘택트 단자에 의해서만 충전될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는 전자 장치에 의해 적절히 충전될 것이다. 선택적으로, 추가 콘택트가 배터리형을 식별하거나 배터리에 배치된 메모리로 부터 정보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의 설명과 도면에 설명되고 도시될 지라도, 이 설명은 단지 예로써 제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많은 변화와 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휴대용 셀룰러 무선 전화기에 특정하게 적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페이저, 전자 구성체, 또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가능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전력 장치용 콘택트 구조(A contact arrangement)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양극 노드에 결합된 양극 콘택트(40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음극 노드에 결합된 음극 콘택트(40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 이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보조 콘택트(40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콘택트가 충전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판(34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판이 상기 보조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플랜지(4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5.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는 전력 장치용 콘택트 구조(A contact arrangement)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보호하는 패키징부(packaging)(356);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양극 노드에 결합된 양극 콘택트(40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음극 노드에 결합된 음극 콘택트(410); 및
    상기 패키징부와 연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 이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충전 콘택트(40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6. 콘택트 구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리세스부(102);
    상기 리세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양극 콘택트에 결합되도록 적응된 양극 콘택트 단자(424);
    상기 리세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의 음극 콘택트에 결합되도록 적응된 음극 콘택트 단자(42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보조 콘택트 단자(42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콘택트 단자가 충전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부가 다수의 전지를 수용하도록 적응된 리세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콘택트 단자가 상기 다수의 전지에 의해 점유된 영역간에 배치된 콘택트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콘택트 단자가 배터리 팩의 플랜지(410)에 결합되도록 적응된 콘택트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구조.
KR1019970048156A 1996-09-24 1997-09-23 콘택트 구조 KR100276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10,912 US5854549A (en) 1996-09-24 1996-09-24 Contact arrangement having an auxiliary contact
US8/710,912 1996-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56A true KR19980024856A (ko) 1998-07-06
KR100276999B1 KR100276999B1 (ko) 2001-01-15

Family

ID=2485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156A KR100276999B1 (ko) 1996-09-24 1997-09-23 콘택트 구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54549A (ko)
JP (1) JP4417442B2 (ko)
KR (1) KR100276999B1 (ko)
CN (1) CN1185044A (ko)
AR (1) AR008436A1 (ko)
BR (1) BR9702903A (ko)
CA (1) CA2213018C (ko)
DE (1) DE19739399A1 (ko)
FR (1) FR2753841B1 (ko)
GB (1) GB2317511B (ko)
TW (1) TW3998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0618B2 (ja) * 1997-10-30 2006-06-28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電池管理システム
US5977745A (en) * 1998-04-17 1999-11-02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se type battery cells in a recharging device
US6005367A (en) * 1998-07-14 1999-12-21 Centurion International, Inc. Smart power system
JP2000215919A (ja) * 1999-01-26 2000-08-04 Fujitsu Ltd 電子機器及び電池ユニット
US6326767B1 (en) 1999-03-30 2001-12-04 Shoot The Moon Products Ii, Llc Rechargeable battery pack charging system with redundant safety systems
US6614232B1 (en) * 1999-09-01 2003-09-02 Fujitsu Limited Battery management circuit
US20040253500A1 (en) * 2003-06-13 2004-12-16 Bourilkov Jordan T. Fuel cartridge interconnect for portable fuel cells
US7482091B2 (en) * 2003-07-09 2009-01-27 The Gillette Company Fuel cartridge interconnect for portable fuel cells
JP4204446B2 (ja) * 2003-11-14 2009-01-07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バッテリ保護処理装置、およびバッテリ保護処理装置の起動制御方法
US20080305387A1 (en) * 2007-06-11 2008-12-11 Black & Decker Inc. Cordless power tool system
US8384340B2 (en) 2007-06-26 2013-02-26 The Coleman Company, Inc. Electrical appliance that utilizes multiple power sources
US9722334B2 (en) * 2010-04-07 2017-08-01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with light unit
US9219294B2 (en) 2012-08-22 2015-12-22 Eric D. Albsmeier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changes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battery charger
US9331498B2 (en) * 2012-09-07 2016-05-03 Kohler Co. Power generation system that provides efficient battery charger selection
US9450431B2 (en) * 2012-12-24 2016-09-20 Leapfrog Enterprises, Inc. Rechargeable battery
MX2017009784A (es) * 2015-02-02 2017-10-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rotector auditivo con compartimiento para paquete de baterias recargables.
US20170093184A1 (en) * 2015-09-25 2017-03-30 Voolt, Llc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ower cell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7838A (en) * 1978-04-13 1979-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Rechargeable battery with separate charging terminal
JPS5822931B2 (ja) * 1979-10-13 1983-05-12 松下電工株式会社 充電器
US4389469A (en) * 1980-10-10 1983-06-21 The Mettoy Company Limited Electrical power packs and charging devices
US4709202A (en) * 1982-06-07 1987-11-24 Norand Corporation Battery powered system
US4885523A (en) * 1988-03-15 1989-12-05 Norand Corporation Battery conditioning system having communication with battery parameter memory means in conjunction with battery conditioning
US4464445A (en) * 1983-05-13 1984-08-07 Matti David M Battery pack cartridge
US4628243A (en) * 1984-10-11 1986-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charging system having means for distinguish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batteries
US4554221A (en) * 1985-01-23 1985-11-19 Dsl Dynamic Sciences Limited Rechargeable battery pack
US4680527A (en) * 1986-08-06 1987-07-14 Motorola, Inc. Electrical battery including apparatus for current sensing
JPS63316641A (ja) * 1987-06-19 1988-1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US4861685A (en) * 1988-08-19 1989-08-29 Tien Spencer W H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US5108847A (en) * 1990-09-27 1992-04-28 Gates Energy Products, Inc. Rechargeable cell terminal configuration and charging device
US5111128A (en) * 1990-12-17 1992-05-05 Motorola, Inc. Battery identification apparatus
US5164761A (en) * 1991-03-06 1992-11-17 Nikon Corporation Battery system for camera
US5172043A (en) * 1991-04-03 1992-12-15 Gates Energy Products, Inc. Energy using device
US5136229A (en) * 1991-07-15 1992-08-04 Galvin Jay M Power pack device
US5122427A (en) * 1991-08-09 1992-06-16 Skil Corporation Battery pack
US5191275A (en) * 1991-08-12 1993-03-02 Singhal Tara C Rechargeable battery pack device
US5260636A (en) * 1991-11-18 1993-11-09 Steven G. Leiserson Plug-in rechargeable battery unit
DE4138598A1 (de) * 1991-11-23 1993-05-27 Hilti Ag Kontaktierung eines akkus
US5300372A (en) * 1992-10-26 1994-04-05 Motorola, Inc. Rechargeable cell or cell pack contact configuration
US5443924A (en) * 1992-10-29 1995-08-22 Rayovac Corporation Discriminating charger and compatible battery
US5368956A (en) * 1993-02-08 1994-11-29 Globe-Union, Inc. Multiple cell flat pack battery and short protection therefor
US5470255A (en) * 1993-03-23 1995-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Extended height connector for a battery
JPH0785896A (ja) * 1993-09-13 1995-03-31 Sony Corp 2次電池パック及びその充電装置
US5499040A (en) * 1994-06-27 1996-03-12 Radi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calibration and control
WO1997001871A1 (en) * 1995-06-29 1997-01-16 Sierra Wireless, Inc. Battery pack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type of battery pack in an electrical apparatus
FR2737809B1 (fr) * 1995-08-11 1997-08-29 Alcatel Mobile Comm France Batterie comportant plusieurs elements, notamment de technologie lithium-ion, en serie
JP3575646B2 (ja) * 1995-12-06 2004-10-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ツテリーパツク
JPH09271144A (ja) * 1996-01-29 1997-10-14 Sony Corp 電源識別方法、乾電池パツク、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7229A (es) 1998-03-31
CN1185044A (zh) 1998-06-17
CA2213018C (en) 2001-05-01
JPH10106633A (ja) 1998-04-24
TW399820U (en) 2000-07-21
FR2753841A1 (fr) 1998-03-27
GB2317511A (en) 1998-03-25
AR008436A1 (es) 2000-01-19
FR2753841B1 (fr) 2001-01-05
BR9702903A (pt) 2005-01-25
JP4417442B2 (ja) 2010-02-17
DE19739399A1 (de) 1998-04-09
GB2317511B (en) 2000-10-11
GB9717449D0 (en) 1997-10-22
CA2213018A1 (en) 1998-03-24
US5854549A (en) 1998-12-29
KR100276999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6999B1 (ko) 콘택트 구조
US5786106A (en) Battery pack with interchangeable tag-along supplemental feature cartridge particularly for cellular telephones
CA2037915C (en) Battery charger with battery guide and support apparatus
US5656914A (en) Battery charger having pocket with multiple sets of charging contacts
US9331324B2 (en)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2013535815A (ja) 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る無線電力通信用電力供給装置、並びに無線電力通信用コア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KR20020070653A (ko) 충전지 팩
EP090462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harging batteries of different types
US5920178A (en) Battery pack having integrated charging circuit and charging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5046131A (en) Portable radio transceiver apparatus
JP3820846B2 (ja) 充電方法、二次電池ユニット及び充電器
KR200423760Y1 (ko) 범용 리튬이온 2차 전지
CN1088024A (zh) 充电电池或电池组的连接结构
KR100487622B1 (ko) 배터리 충전전류 가변 장치 및 그 방법
US5980310A (en)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apparatus and of the type enabling various types of power source to be used, and corresponding portable apparatus
JP2004516763A (ja) 少なくともトランスポンダ・ユニットのトランスポンダ回路を含むアクセサリ・ユニットを有する移動通信装置
KR100249892B1 (ko) 무선호출기내장형 휴대폰 배터리팩
MXPA97007229A (en) Contact provision
JPH01169880A (ja) 充電器
WO2002075948A1 (en) A cellular phone holder capable of an electric charging
JP3276779B2 (ja) パック電池
Heydecke et al. Portable NiCd-and Ni-MH-batteries for telecom applications
KR20160131263A (ko) 베터리 팩
KR20060035457A (ko) Ic 카드 소켓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 전원장치
KR200164996Y1 (ko)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