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836A - 차체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차체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836A
KR19980024836A KR1019970047983A KR19970047983A KR19980024836A KR 19980024836 A KR19980024836 A KR 19980024836A KR 1019970047983 A KR1019970047983 A KR 1019970047983A KR 19970047983 A KR19970047983 A KR 19970047983A KR 19980024836 A KR19980024836 A KR 1998002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frame structure
roof
polygonal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638B1 (ko
Inventor
토시로우 아시나
타카시 치리후
아키히로 수케가와
사케 사사키
시유우이치로우 이와쯔키
타카토시 미야베
Original Assignee
가와모또 노부히꼬
혼다기껭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519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50752A/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또 노부히꼬, 혼다기껭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또 노부히꼬
Publication of KR1998002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프레임 구조는 경합금으로부터 신장된 중공편에 의해 각각 형성된 다수의 고리형 부재(102)로 구성된다. 각 고리형 부재(102)는 그 단면이 다각형이다. 차체프레임 구조(100)는 이와같은 다수의 고리형 부재(102)가 옆측으로 함께 연결되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각 고리형 부재(102)는 코어커플링(106) 또는 스플릿 머프 커플링(140)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된 최소한 둘이상의 중공신장편(104, 105)으로 구성된다. 각 고리형 부재(102)의 일부는 단차되어 있어 짝이 되는 고리형 부재(102)와 두 고리형 부재(102)의 단차부를 하나 위에 다른 하나를 맞춤으로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체프레임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사륜 차량의 종래 바디프레임의 일예가 도 15에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디프레임(200)은 전방실링(ceiling) 크로스멤버(201; cross member), 중앙실링 크로스멤버(202), 후방 실링(203), 전방필러(pillar) (204, 204), 중앙필러(205, 205), 후방필러(206, 206) 상부 롱기튜디널 멤버(207, 207; longitudinal member) 하부롱기튜디널 멤버(208, 208) 및 중간부재(209, 209)와 같은 주요골격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는 금속판을 콜드 펀칭(Cold punching) 및/또는 프레스 벤딩(press bending)으로 제조되었다.
조립된 차체프레임(200)이 도 16에 도시되었는데, 주요골격부재 즉, 전·중·후방 실링 크로스멤버(201, 202, 203), 전방필러(204, 204), 중앙필러(205, 205), 후방필러(206, 206) 상부 롱기튜디널 멤버(207, 207) 하부롱기튜디널 멤버(208, 208) 및 중간부재(209, 209)는 점용접 등과 같은 기술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바디프레임 구조(200)를 형성한다.
지금까지 골격부재는 금속판의 콜드펀칭으로 제조되었기때문에 파편 또는 부스러기가 발생되어 수율이 저조하였다. 더우기, 골격구조는 실질적으로 직선상 부재(201∼209)를 조합하여 형성되기때문에 많은 수의 소재 또는 부재를 필요로 한다. 이는 각 부재를 제조가조립 및 용접의 도면설계, 제조계획에 많은 공수를 필요로 하여 바디프레임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킨다.
상술한 통상적 차체프레임의 종래 제조방법을 새롭게 하기위해 연구하는 동안, 본 발명자들은 바디프레임이 고리의 조합인 바디임을 깨달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륜 차체프레임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A-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고리형 부재를 만드는 방법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프레임의 연결모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조립된 사륜 차체프레임을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5는 도 4의 5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선 단면도,
도 8은 앞창 프레임과 루프프레임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어 오프닝 프레임과 루프프레임간의 연결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A 및 10B는 도 9에 도시된 프레임(고리형부재)간 연결의 변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및 11B는 고리형 부재간 연결의 다른 변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A 및 12B는 고리형 부재간 연결의 또다른 변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A는 도 4의 13-13선 단면도,
도 13B는 도어 오프닝 프레임과 그와 접하는 사각 창 프레임으로 한정된 요홈내에 수용된 레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A∼도 14D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커플링과 그의 적용을 도시한 도식적 사시도,
도 15는 종래 사륜 차체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종래 차체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식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차체프레임 101 --- 플랫포옴 102 --- 고리형부재
102a --- 윈드 쉴드 창 프레임 102b --- 도어 오프닝 프레임
102c --- 사각 창 프레임 102d --- 루프 레일 프레임
102e --- 테일 게이트 오프닝 프레임 102f --- 본닛 오프닝 프 레임
104, 105 --- 신장편 106 --- 코어커플링 136 --- 레일
140 --- 클램프 커플링 141 --- 채널 142 --- 타이플레이트
143 --- 스트라이커 장착좌 144, 145 --- 조인트 150 --- 레이저토치
152 --- 비드 160 --- 사이드멤버 162, 164, 166, 168 --- 크로스멤버
170 --- 보조멤버 180 --- 상부전방필러 186 --- 카울프레임
201 --- 전방 실링 크로스 멤버 202 --- 중앙실링 크로스멤버
203 --- 후방 실링 크로스멤버 204 --- 전방필러 205 --- 중앙필러
206 --- 후방필러 207 --- 상부 롱기튜디널 멤버
208 --- 하부 롱기튜디널 멤버 209 --- 중간부재
본 발명에 의하면, 이는 함께 옆측으로 연결되어 바디프레임 구조의 일부 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다수의 고리형부재를 포함하는 차체프레임구조를 제공하는데, 고리형부재는 경합금을 신장하여 중공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경합금으로부터 신장된 중공의 고리형부재가 채용되어 바디프레임구조를 형성하고 따라서 부스러기 또는 파편이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리형 부재는 신장된 파이프 형태를 하기때문에 휘기가 쉽고, 따라서 그 작업진행에 높은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고리형 부재의 옆측으로 연결 즉 묶음에 의해 높은 강도의 두꺼운 바디프레임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우기 레이저용접방법이 채용되어 고리형부재의 옆측으로의 연결에 효과적이기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열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고리형 부재의 하나는 약 4개의 종래 직선형부재와 동등하여, 고리형 부재의 조합은 바디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부재의 수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부재를 제조, 가조립 및 용접의 도면설계, 제조계획에 필요한 공수에 대응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바디프레임구조는 옆측으로 연결된 고리형 부재에 의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되기때문에, 종래 대용량의 프레스장비의 사용을 피할 수 있고, 그대신에 간단하고 값싼 장비를 사용하여 바디프레임 구조를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특징적 형태에서 고리형 부재는 앞창의 판유리를 수용하는 앞창 프레임, 도어를 지지하는 도어 오프닝(opening)프레임, 작은판유리를 사각 창내에 끼워 유지되게하는 사각 창 프레임, 실링골격구조로서 루프(roof)프레임, 테일게이트(tail gate)에 장착된 테일게이트 오프닝프레임 및 보닛에 장착된 보닛 오프닝프레임을 형성한다.
차체오프닝은 정확하게 재어진 고리형부재로 형성되기때문에, 씰(seal)부재는 높은 정확성을 가지고 위치될 수 있고, 이에의해 오프닝 주위의 밀봉효과는 증가한다.
종래의 차체프레임에서, 예를들어 중앙필러상단과 루프간의 연결은 필러상단을 롱기 튜디널빔(longitudinal beam)의 중간부에 접하여 이루어진 T형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반대로, 본 발명에서는 세개의 고리형 부재가 함께 삼-포오크형 구조를 형성하여 종래 구조에 비해 증가된 연결강도를 제공한다. 더우기, 차체프레임의 대부분이 고리형 부재로 형성되기때문에 바디프레임은 종래 대용량의 프레스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저렴한 장비로 쉽게 생산할 수 있다.
적당하기로는, 각 고리형 부재는 코어커플링수단에 의해 말단쪽이 함께 연결된 최소한 두개이상의 중공의 신장된 편으로 부터 형성된다. 그래서, 고리형 부재는 값비싼 벤더(bender) 장비의 사용없이 다수의 중공 신장편을 연결하여 쉽게 생산할 수 있다.
고리형 부재의 대부분에는 종으로 신장하는 단차부가 제공되어 하나의 고리형부재는 다른 고리형부재와 각 단차부표면이 포개어 결합됨에 의해 옆측으로 결합된다. 이 결과, 고리형부재가 뒤틀려 합체되더라도 각 단차부의 단계와 단계가 결합됨에 의해 뒤틀림이 완화되어 결합될 수 있어 부재들은 소정된 정확도로 손쉽게 생산될 수 있다.
각 고리형부재는 클램프결합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된 최소한 두개이상의 중공신장편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 결과 고리형부재는 값비싼 벤더장비의 사용없이 이와같은 다수의 중공신장편을 간단히 함께 결합함에 의해 쉽게 생산될 수 있다.
적당하기로는 두개의 인접 고리형 부재는 클램프결합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이와같은 결합에 의해 두 인접고리형 부재를 연결함에 의해 증가된 강도가 차체프레임에 쉽게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과 형태는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로 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된 고리형부재란 용어는 경합금의 원재를 중공으로 신장하여 구부려(필요하면 늘리고 압착함) 얻어진 환상부재로 해석된다. 차체프레임은 이러한 다수의 고리형부재를 결합하여 형성된 차량골격구조로 해석된다.
도 1을 참고로, 차체프레임(100)은 플랫포옴(platfrom; 101)과 다수의 고리형부재(102)로 구성된다. 고리형부재(102)는 윈드쉴드 창를 끼우기위한 윈드쉴드(windshield) 창 프레임(102a), 도어를 장착하는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 소형후면유리창을 끼우기위한 사각 창 프레임(102c), 실링의 골격구조로서 루프레일 프레임(102d), 테일 게이트을 장착하기위한 테일 게이트 오프닝프레임(102e) 및 본닛을 장착하는 본닛 오프닝프레임(102f)을 형성하고, 이들이 결합하여 차체프레임(100)을 형성한다. 플랫포옴(101)은 좌·우 사이드멤버(160, 160; Side member), 다수의 크로스멤버(162, 164, 166, 168) 및 좌·우 보조멤버(170, 170)로 구성된다.
도 2A∼2C는 고리형 부재의 생산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및 티타늄합금과 같은 경합금을 신장하여 얻어지고 전체가 니자 형상인 중공의 신장편(104, 105)과, 각 중공신장편의 내경과 실제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코어커플링(106, 106; core coupling)이 먼저 제공된다.
그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리형부재(102)는 코어커플링(106, 106)수단에 의해 중공신장편(104, 105)을 연결하여 얻어진다.
도 2C에 그 종방향의 중앙이 휜 고리형 부재(102) 하나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둘이상의 중공신장편(104, 105)을 코어커플링(106, 106) 수단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고리형 부재(102)는 쉽게 생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쌍의 프레임의 연결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예에서와 같이 도어오프닝프레임(102b)과 사각 창 프레임(102c)은 상호 당접하여 프레임의 당접면의 상·하부 모서리가 레이저 토치(150; laser torch)에 의해 융접된다. 비드(bead; 152)는 도면의 앞뒷면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로서 연결에 높은 강도를 제공한다.
도 4는 조립된 사륜 차체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플랫포옴(101)은 도어오프닝프레임(102b), 사각창 프레임(102C), 루프프레임(102d), 윈드쉴드창 프레임(102a), 본닛오프닝프레임(102f) 및 테일 게이트오프닝프레임(102e)이 옆측으로함께 연결되어 조립된 차체프레임(100)을 수반한다. 번호 5로 지시된 원은 세개의 부재 즉,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 도어오프닝프레임(102b) 및 루프프레임(102d)이 함께 하는 T형 부분이다.
종래 차체에 있어서, 상기한 부분은 크로스빔의 끝단이 롱기튜디널 빔의 중앙부분에 당접하고 당접부를 용접하여 나타나는 T형 결합의 형태를 취한다. 두 부재의 T형 결합에 비해, 도 4의 T형부는 세개의 부재가 함께 하여 형성된 세갈래진 구성을 하며, 이에의해 종래의 구성에 비해 높은 강도가 세갈래진 연결에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5의 원으로 지시된 하나 이외에 다른 세갈래진 부분들이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전방필러(180)는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좌·우측과 도어오프닝프레임(102b)의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부중앙필러(182)는 사각창 프레임(102c)의 전면측과 도어오프닝프레임(102b)의 측면 일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와같이, 상부후면 중앙필러(184)는 사각 창 프레임(102c)의 후면측과 테일 게이트오프닝프레임(102e)의 측면 일부분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카울(Cowl) 프레임(186)은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하측이 본닛 오프닝프레임(102f)의 상측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전방 루프레일(188)은 루프프레임(102d)의 전방모서리와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상부모서리가 함께 결합되어 형성된다.
좌·우 루프레일(190, 192)은 루프프레임(102d)의 좌·우 모서리와 도어오프닝프레임(102b)의 각 상부모서리가 함께 결합되어 형성된다.
후방 루프레일(194)은 루프프레임(102d)의 후방모서리와 테일 게이트 오프닝프레임(102e)의 상부모서리가 함께 결합되어 형성된다.
측면 프레임복합체(196)는 도어오프닝프레임(102b), 사각창 프레임(102c) 및 프론트 사이드 프레임(102g)이 함께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5는 도 4에서 번호 5로 지시된,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 도어오프닝프레임(102b) 및 루프프레임(102d)이 함께된 T형 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은 요홈(111), 제 1면(112) 및 제 2면(113)을 가진 중공부재로 제 1면과 제 2면(112, 113)은 연결되어 단차부 또는 면을 형성한다.
유사하게 도어오프닝프레임(102b)은 요홈(115), 제 1면(116) 및 제 2면(117)을 가진 중공부재로 제 1면과 제 2면(116, 117)이 연결되어 단차부 또는 면을 형성한다.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이다. 루프프레임(102d) 또한 제 1면(121) 및 제 2면(122)을 가진 중공부재로 이들이 연결되어 단차부 또는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제 2면(113)은 루프프레임(102d)의 제 1면 위에 놓일 수 있게 되고,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제 1면(112)은 루프프레임(102d)의 제 2면(122)위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7-7선 단면도이다.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제 2면(117)은 루프프레임(102d)의 제 1면위(121)에 놓일 수 있고,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제 1면(116)은 루프프레임(102d)의 제 2면(122)위에 놓일 수도 있다.
도 8에서 윈드쉴드 창 프레임과 루프프레임간의 연결을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루프프레임(102d)은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과 맞대어져 용접연결된다. 후면경(124) 아암(arm; 125)의 기저부는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홈(111)내로 수용된다. 루프(126), 내부라이닝(lining; 127) 및 윈드쉴드 창(128) 또한 바디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 9도는 도어 오프닝프레임과 루프프레임간의 연결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루프프레임(102d)은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와 맞대어져 용접 연결된다. 도어 베어링패킹(131)의 기저부는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홈(115)내로 수용된다. 루프(126), 내부라이닝(127) 및 도어프레임(132) 또한 부착되어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고리형 부재(102)는 단차면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짝이 되는 고리형부재와 두 부재의 단차면이 포개어지도록 맞대어 질 수 있다. 따라서, 결합한 고리형 부재쌍(102, 102)에 의해 두 부재는 비록 뒤틀려 합체될때라도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어 부적당한 연결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단차면이 연결을 필요로하는 고리형 부재의 부분에만 제공된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0A 및 10B는 단면도로, 고리형부재간의 변형된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A에서, 예를들어 루프프레임(102d)과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이 연결될때, 제 1 및 제 2면(116, 117)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같이, 루프프레임(102d)과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이 함께 연결될때, 루프프레임(102d)의 제 1 및 제 2면(121, 122)은 결합적으로 중앙 분할벽을 이루고, 이에 의해 증가된 유연한 강도가 연결에 부여된다. 더우기, 도 9의 구성에 비해 무게가 보다 가벼운 바디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도 10A 및 10B에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고리형 부재간 연결의 다른 변경을 도시한다.
루프프레임(102d)이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과 연결될때, 예를들어 루프프레임(102d)의 제 1 및 제 2면(121, 122)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같이, 루프프레임(102d)과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이 함께 연결되기때문에,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제 1 및 제 2면(116, 117)은 결합적으로 중앙 분할벽을 이루고, 이에의해 증가된 유연한 강도가 연결에 부여된다. 더우기, 도 9의 구성에 비해 무게가 보다 가벼운 바디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도 12A 및 12B는 도 11A 및 11B에 유사한 단면도이지만, 고리형 부재간 연결의 또다른 변경을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같이, 루프프레임(102d)이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과 연결될때, 도어오프닝프레임(102b)의 제 1및 제 2면(116, 117)뿐 아니라 루프프레임(102d)의 제 1 및 제 2면(121, 122)도 생략될 수 있다.
도 12B에서, 루프프레임(102d)과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은 함께 연결되어, 이에의해 큰 단면의 중공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A는 도 4의 13-13선 단면도이다.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과 사각 창 프레임(102c)이 맞추어져 큰 또는 깊은 홈(135)을 제공한다.
이를위해 레일(136)은 홈(135)내에 끼워져서 레일(136)이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을 사각창 프레임(102c)과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레일(136)은 부재를 강화하는것 뿐 아니라 내부커어튼용 커어튼 레일로서도 작용할 수 있다. 번호 137과 138로 지시된 것은 각각 사각 창과 도어 창이다.
도 14A∼14D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또는 스플릿 머프 커플링(split muff coupling)과 그의 적용을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4A는 두개의 로드(rod)형 또는 파이프형 편을 죄는데 적합한 클램프 또는 스플릿 머프 커플링을 도시한 것으로 채널(141)과 오프닝에 면하는 타이 플레이트(tie-plate; 14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이 플레이트에는 스트라이커 장착좌(143)가 돌출되어 제공되어 T형 단면을 형성한다.
한편, 클램프 또는 스플릿 머프 커플링(140b; 도 14D 참고)은 스트라이커 장착좌(143)로서 돌출 또는 융기가 없는 타이 플레이트(142b; 도 14D 참고)와 채널(141)을 함께 죄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각 상·하부 중공 신장편(146, 147과 148, 149)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단쪽으로 연결 또는 접촉된다. 그래서, 채널(141)은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같이 후면으로부터 삽입되고, 그후 화살표(b)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으로부터 타이 플레이트(142)가 끼워진다.
채널(141)과 타이 플레이트(142)를 용접 또는 접착적 연결을 함으로 중공신장편(146∼149)은 커플링(140)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중공신장편(146, 147)사이의 조인트(joint; 144)와 중공신장편(148, 149)사이의 다른 조인트(145)는 강도를 목적으로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같이 높이방향으로 바람직하게 오프셋(offset)한다.
도 14D는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과 사각 창 프레임(102c)의 하방으로 위치한 하부프레임(102h)을 연결하도록 적용된 클램프 커플링(140), 하부프레임(102h)와 사각 창 프레임(102c)을 연결하도록 적용된 커플링(140b), 및 사각 창 프레임(102c)과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을 연결하도록 적용된 커플링(140b)을 도시한 것이다.
달리 기술하면, 커플링(140 및 140b)은 두기능을 수행하도록 응용되는데, 즉, 인접 쌍의 고리형 부재(102b, 102c)를 함께 연결하는 것과 상부 및 하부 중공신장편{(146, 147(또는 148, 149)}을 동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리형 부재(102)의 일면에는 요홈이 제공되고 다른 고리형부재(102)의 일면에는 돌출부가 제공되어 요홈내로 돌출부를 끼움으로서 두 부재를 함께 맞출 수 있다.
한편, 그 일면에 요홈과 타원형 단면의 중간부재를 각각 가지는 두개의 고리형 부재(102)가 제공될 수 있어 하나를 다른것위에 놓음으로서 이들 사이에 끼워진 중간부재로 고리형 부재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라면 상술한 것과 첨부도면 및 청구범위로 부터, 본 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여러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의 골격구조를 형성하도록 신장된 부재로 형성된 다수의 다각형 고리형부재(102)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가 옆측으로 함께 결합되어 상기 골격구조를 형성하는 경합금으로 신장된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의 각각이 윈드쉴드 창을 수용하는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 도어를 장착하는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 후면 작은 유리창을 수용하는 사각 창 프레임(102c), 실링골격구조로서의 루프프레임(102d), 테일 게이트을 장착하는 테일 게이트 오프닝프레임(102e), 본닛을 장착하는 본닛 오프닝프레임(102f) 및 상기 바디프레임구조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사이드 프레임(196)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프레임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우측면 및 좌측면이 상기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일면과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상부 전방필러(18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창 프레임(102c)의 전면이 상기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일부와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상부 중앙 필러(18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창 프레임(102c)의 후면이 상기 테일 게이트 오프닝프레임(102e)의 일부와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상부 후방 중앙 필러(18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저면이 상기 본닛 오프닝 프레임(102f)의 상부면과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카울프레임(18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102d)의 전방 모서리가 상기 윈드쉴드 창 프레임(102a)의 상부모서리와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전방루프레일(18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102b)의 좌·우 모서리가 상기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의 상부 모서리와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좌·우 루프레일(190, 19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프레임(102d)의 후방 모서리가 상기 테일게이트 오프닝프레임(102e)의 상부 모서리와 종방향으로 연결되어 후방 루프레일(194)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오프닝프레임(102b), 상기 사각 창 프레임(102c)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프레임(102g)이 함께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복합체(19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고리형부재(102) 각각이 코어 커플링(106)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된 최소한 2개이상의 중공 신장편(104, 10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 각각은 그의 길이방향으로 최소한 일부가 신장하는 단차부를 가지고, 짝이 되는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와 상기 단차부를 상기 짝이 되는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의 대응 단차부와 맞추어 연결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 각각은 스플릿 머프 커플링(140)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된 최소한 둘이상의 중공 신장편(104, 10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머프 커플링(140)이 상기 다각형 고리형 부재(102, 102)의 인접쌍을 연결하도록 적용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차체프레임 구조.
KR1019970047983A 1996-09-24 1997-09-22 차체프레임구조 KR100524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51910 1996-09-24
JP8251910A JPH09150752A (ja) 1995-09-29 1996-09-24 車体フレー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36A true KR19980024836A (ko) 1998-07-06
KR100524638B1 KR100524638B1 (ko) 2005-12-21

Family

ID=1722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983A KR100524638B1 (ko) 1996-09-24 1997-09-22 차체프레임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524638B1 (ko)
BR (1) BR9702908A (ko)
ES (1) ES2144348B1 (ko)
FR (1) FR2753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6793B2 (en) 2014-03-04 2016-09-20 Hyundai Motor Company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22910U1 (de) * 1997-12-29 1999-04-29 Ball, Wilfried, 84130 Dingolfing Wagenkasten für einen Kraftwagen
JP4486655B2 (ja) * 2007-02-19 2010-06-23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7896A (en) * 1936-11-07 1939-10-31 Chrysler Corp Motor vehicle
EP0568215A1 (en) * 1992-04-29 1993-11-03 Ford Motor Company Limited Space frame construction
US5213386A (en) * 1992-05-11 1993-05-25 Ford Motor Company Space frame construction
FR2712249B1 (fr) * 1993-11-09 1995-12-22 Renault Charpente de support de la carrosserie d'un véhicule.
IT1281093B1 (it) * 1995-12-21 1998-02-11 Fiat Auto Spa Telaio per autoveicol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6793B2 (en) 2014-03-04 2016-09-20 Hyundai Motor Company Under-floor frame syste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53676A1 (fr) 1998-03-27
FR2753676B1 (fr) 2000-05-05
KR100524638B1 (ko) 2005-12-21
BR9702908A (pt) 1999-08-24
ES2144348B1 (es) 2001-02-01
ES2144348A1 (es)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070A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KR100199537B1 (ko) 압출된 접속구
EP1683710B1 (en) Method of forming a door seal interface structure
US5716155A (en) T-shaped connection frame
US6322135B1 (en) Body structure of motor vehicle
US5228259A (en) Space frame connector
JPH0999857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EP2236395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tube-shaped frames, corresponding method and vehicle body
CN101720292B (zh) 机动车车身承载结构构造方法及其所构造的承载结构
KR980009009A (ko) 차량용, 특히 승용차용 바닥 조립체
JP2669535B2 (ja) 鉄道車両の車体
JP4440832B2 (ja) 鉄道車両の構体骨構造
JPH061262A (ja) 車体骨格部材の結合構造
KR100524638B1 (ko) 차체프레임구조
US6128861A (en) Door frame assembly
JP2784279B2 (ja) 軽合金押出形材を用いた構体構造
JPH0671364A (ja) 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2166U (ja) 構造部材
KR200204157Y1 (ko) 철도차량용 측출입구의 골조구조
JPH1095364A (ja) 車体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S60199774A (ja) オ−プンカ−の車体
JPH04154458A (ja) センタピラー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7104347A (zh) 一种侧围结构及车辆
JPH0569823A (ja) 鉄道車両用構体
KR200151813Y1 (ko) 전동차의 측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