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160U - 가변식 팔걸이 - Google Patents

가변식 팔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160U
KR19980024160U KR2019960037549U KR19960037549U KR19980024160U KR 19980024160 U KR19980024160 U KR 19980024160U KR 2019960037549 U KR2019960037549 U KR 2019960037549U KR 19960037549 U KR19960037549 U KR 19960037549U KR 19980024160 U KR19980024160 U KR 199800241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oor trim
present
door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4160U/ko
Publication of KR199800241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1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8Arm-rests post or panel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트림(Door Trim)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식 팔걸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자 한 가변식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정식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를 상하로 승·하강되게 하는 수단(15) 및 상기 팔걸이(1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도어의 내측인 도어트림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팔걸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이 팔걸이를 승강시키고 사용함으로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가 편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고, 또한 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식 팔걸이
본 고안은 가변식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트림(Door Trim)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식 팔걸이를 상하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고자 한 가변식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경우에 중형 이상의 승용차에는 뒷좌석에 팔걸이를 설치하는 경우는 있어도 소형 승용차의 경우는 팔걸이를 설치하지 않는다. 더구나 앞좌석의 경우에는 별도의 팔걸이가 시트에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승차감 증대와 편익을 제공하고자 고안된 것이 도어트림(Door Trim)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팔걸이다. 이 도어의 내측에 형성된 팔걸이는 비록 딱딱하기는 하나 승차자로 하여금 편익을 도모하는데 일조하고 있기는 하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측 팔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팔걸이는 도어(1)의 내측 마감부재인 도어트림(2)에 일체로 팔걸이(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윈도우가 일정한 높이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팔걸이(5)의 높이는 운전자의 앉은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어트림에 형성된 팔걸이가 운전자의 앉은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기 때문에 운전자들은 도어트림에 형성된 팔걸이를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불편함이 가중될 뿐이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이 팔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측 윈도우를 하강시켜 팔을 차량의 외측으로 내민 상태로 운전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사고의 위험성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구 증가와 이로 인한 차량의 증가로 도심지 도로는 출·퇴근 시간을 정점으로 주차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자동차의 물결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차량들은 제속도를 내지 못하고 서행을 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들은 대부분이 운전대로부터 한 손으로 운전을 하고, 다른 한 손은 쉬게 하는데 역시 팔을 걸칠 수 있는 마땅한 것이 없기 때문에 도어측 윈도우를 열고 팔을 걸치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처럼 도어측 윈도우를 하강시켜 놓고 차량의 외측으로 팔을 내민 상태는 위험할 뿐만 아니라 압박되어 팔이 저려 오는 경우도 발생하여 운전에 장애요소로도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어의 내측인 도어트림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팔걸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이 팔걸이를 승강시키고 사용함으로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익을 도모하고자 한 가변식 팔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가변식 팔걸이는 자동차 도어트림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정식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를 상하로 승·하강되게 하는 수단과; 상기 팔걸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팔걸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도어트림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체결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도어측 팔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가변식 팔걸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가변식 팔걸이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팔걸이 16. 슬라이딩부
17. 슬라이딩 가이드 21. 로킹체
22. 탄성부재 23. 로킹체 가이드
24. 로킹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가변식 팔걸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가변식 팔걸이 고정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어(1)의 내측인 도어트림(2)에 팔걸이(10)를 상하로 승·하강되게 하는 수단(15)이 구비되고, 그리고 팔걸이(1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수단(20)이 구비된다.
전술한 팔걸이(10)의 승·하강수단(15)에는 팔걸이(10)의 일측에 미끄럼되는 슬라이딩부(16)가 형성되고, 도어트림(2)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딩부(16)가 체결되어 이 슬라이딩부(16)를 안내하는 슬라이딩 가이드(17)가 형성된다.
한편 팔걸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6)는 팔걸이(10)의 일측면 좌우에 상하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고, 이에 도어트림(2)측의 슬라이딩 가이드(17) 또한 슬라이딩부(16)에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된다. 또한 팔걸이(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6)와 도어트림(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7)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팔걸이 고정수단(20)에는 일단이 팔걸이(10)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타단이 팔걸이(10)의 타측면으로 관통되어 탄성부재(22)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로킹체(21)가 설치되며, 이 로킹체(21)가 상하로 안내되도록 도어트림(2)에 상하의 길이 방향으로 로킹체 가이드(23)가 형성되고, 그리고 로킹체(21)의 일단이 안착되어 팔걸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로킹체 가이드(23)에 근접하여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게 로킹홈(24)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로킹체(21)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2)는 통상적으로 탄성스프링을 사용하고, 팔걸이(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된 로킹체(21)의 일단을 누름으로써 로킹체(21)의 타단이 로킹홈(24)으로부터 팔걸이(10)가 고정해제되어 상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일정한 높이로 팔걸이(10)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누르고 있는 로킹체(21)의 일단을 놓으면 이 로킹체(21)의 타단이 로킹홈(24)에 안착되어 팔걸이(1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가변식 팔걸이는 팔걸이(10)를 상하로 이동시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팔 위치에 따른 높이를 조정할 수 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의 내측인 도어트림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팔걸이를 구비하여 필요시 이 팔걸이를 승강시키고 사용함으로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가 편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고, 또한 사고의 위험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도어트림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정식 팔걸이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를 상하로 승·하강되게 하는 수단(15) 및
    상기 팔걸이(1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하는 수단(2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팔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15)은 상기 팔걸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6) 및
    상기 도어트림(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6)가 체결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7)로 이루어진 가변식 팔걸이.
KR2019960037549U 1996-10-31 1996-10-31 가변식 팔걸이 KR199800241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49U KR19980024160U (ko) 1996-10-31 1996-10-31 가변식 팔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549U KR19980024160U (ko) 1996-10-31 1996-10-31 가변식 팔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160U true KR19980024160U (ko) 1998-07-25

Family

ID=5398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549U KR19980024160U (ko) 1996-10-31 1996-10-31 가변식 팔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416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654683B1 (fr) Perfectionnements aux sieges avant des vehicules automobiles.
CA1303954C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n armrest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KR19980024160U (ko) 가변식 팔걸이
SE0103239D0 (sv) A safety device for a seat of a motor driven vehicle
KR0157792B1 (ko) 차량용 룸미러 상하조절장치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19990034578A (ko) 높낮이 조절형 아암레스트
JPS604819Y2 (ja) 自動車の運転室
KR0134975Y1 (ko) 차량용 팔걸이 취부구조
KR100227373B1 (ko) 리어도어에 설치된 어시스트 핸들의 구조
KR100415228B1 (ko) 자동차의 슬라이드식 사이드 암레스트
KR0140663Y1 (ko)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0361983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프리텐셔너 구조
KR0173277B1 (ko) 자동차의 도어트림을 이용한 시트 조절장치
KR960007632Y1 (ko) 자동차형 시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202997Y1 (ko) 승합차량의 사이드스텝
KR0137886Y1 (ko) 가동 그립이 형성된 자동차 도어의 암 레스트
KR0113670Y1 (ko) 화물 자동차의 침대장치
KR0135110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20040098374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9980029690U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52229U (ko) 자동차용 의자(Seat)구조
KR19980042096U (ko) 이동식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43434U (ko) 자동차용 의자(Seat)구조
KR19980046836U (ko) 자동차의 시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