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110Y1 -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110Y1
KR0135110Y1 KR2019950040042U KR19950040042U KR0135110Y1 KR 0135110 Y1 KR0135110 Y1 KR 0135110Y1 KR 2019950040042 U KR2019950040042 U KR 2019950040042U KR 19950040042 U KR19950040042 U KR 19950040042U KR 0135110 Y1 KR0135110 Y1 KR 0135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oor trim
arm
heigh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751U (ko
Inventor
이은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110Y1/ko
Publication of KR970029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트림의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 도어트림의 팔걸이에 관한 것으로, 팔을 얹혀 놓을 수 있는 통상의 도어트림(1)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1)의 중앙부에 팔걸이(10)를 설치하고 상기 팔걸이(10) 하부에는 일측이 하부로 랙(30)로 고정된 고정아암(20)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레일(12)이 구비되어 상·하로 각 로울러(14,24)가 고정된 이동아암(20a)이 상기 고정아암(20)과 교차되게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랙(30) 상부에는 손잡이(34)가 구비된 피니언(32)을 나사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트림의 팔걸이를 상·하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승차감이 좋고 탑승자에게 팔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트림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트림에 팔걸이가 설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팔걸이 12,40 : 제1,2레일
14,24 : 제1,2로울러 20 : 제1아암
20a : 제2아암 30 : 랙
32 : 피니언 34 : 손잡이
본 고안은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트림의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킨 도어트림의 팔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트림은 자동차문 내부를 장식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창유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위치와 구동부품이 장착되어 있고, 그밖에 스피커 및 팔걸이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어트림에 형성되는 팔걸이는 도어트림의 중앙부위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팔걸이는 승차자가 시트에 착석후 팔을 올려 놓음으로써,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어트림에 형성된 팔걸이는 일정한 높이에 구비되어 있는데, 자동차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서로 다른 신체구조, 즉 시트에 앉아있을 때의 팔높이가 서로 다른 경우로, 탑승자가 팔걸이에 팔을 얹어 놓았을 때 신체가 작은 탑승자가 탈 경우에는 도어트림의 팔걸이가 높게 느껴질 것이고, 신체가 비교적 큰 탑승자가 탈 경우에는 도어트림의 팔걸이가 낮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트림의 팔걸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도어트림의 팔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의 내측 중앙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팔걸이와, 그 팔걸이에 양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아암과, 그 제1아암과 중앙이 힌지 결합되어 교차되면서, 일단과 타단에는 팔걸이의 이면으로 설치된 제1레일의 제1로울러와 도어트림의 내측 표면으로 설치된 제2레일의 제2로울러를 연결 설치한 제2아암으로 이루어진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도어트림의 내부로 직진 운동되는 랙을 수평 설치하되, 그 랙에는 손잡이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과 기어 결합하여 된 것,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트림에 팔걸이가 설치된 상태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는 자동차 도어트림(1)의 내측 중앙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팔걸이(10)와, 그 팔걸이(10)에 양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아암(20)과, 그 제1아암(20)과 중앙이 힌지 결합되어 교차되면서, 일단과 타단에는 팔걸이(10)의 이면으로 설치된 제1레일(12)의 제1로울러(14)와 도어트림(1)의 내측 표면으로 설치된 제2레일(40)의 제2로울러(24)를 연결 설치한 제2아암(20a)으로 이루어진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도어트림(1)의 내부로 직진운동되는 랙(30)을 수평 설치하되, 그 랙(30)에는 손잡이(34)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32)과 기어 결합하여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있어, 자동차의 탑승자의 필요에 손잡이(34)를 회전시켜 랙(30)과 피니언(32)의 작동에 의해 제1,2아암(20,20a)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되고, 그 제1,2아암(20,20a)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팔걸이(1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높이로 팔걸이(10)의 높낮이를 높게 혹은 낮게 조절하되, 그 높이는 손잡이(34)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적절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탑승자의 체경이 커서 팔걸이(10)를 높게 하기 위해, 자동차의 탑승자는 시트에 착석한 이후 자신의 체형에 팔걸이(1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일단 탑승자는 손잡이(34)를 파지후 회전시키게 되고, 이와 함께 그 손잡이(34)와 결합된 피니언(32)도 동시에 회전되면서, 그 피니언(32)과 기어 결합된 랙(30)은 회전 운동을 직진 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랙(30)이 직진 운동으로 이에 연결 설치된 제1아암(20)을 밀게 되어 결과적으로 그 제1아암(20)의 일측 끝단이 팔걸이(10)의 타단을 밀어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러한 제1아암(20)과 중앙이 힌지 결합된 제2아암(20a)도 함께 팔걸이(10)의 일단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팔걸이(10) 차체는 상승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그 높이조절 정도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34)를 많거나 적게하여 미세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반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해 보면, 상기 랙(30)의 직진운동에 의해 제1아암(20)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팔걸이(10)의 타단을 상승시켜 줌과 아울러, 상기 제1아암(20)의 상승 운동에 의해 이와 힌지 결합된 제2아암(20a)도 상승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제2아암(20a)의 선후단에는 제1,2로울러(14,24)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제1,2로울러(14,24)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팔걸이(10)의 이면에는 제1레일(12)이 부착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어트림(1)의 내측 표면으로는 제2레일(40)이 부착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앞서와 같은 동작으로 제2아암(20a)이 상승될 경우, 상기 제1,2로울러(14,24)는 제1,2레일(12,4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안내되면서 팔걸이(10)의 일단을 밀어 상승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탑승자의 체형이 작아 팔걸이(10)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랙(30)를 역으로 작동시켜 그 선단을 잡아 당겨주게 되면, 제1아암(20)이 당겨지면서 제2아암(20a)도 함께 잡아 당겨짐으로써, 그 제2아암(20a)의 제1,2로울러(14,24)는 제1,2레일(12,40)의 우측에 있다가 좌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팔걸이(10)는 하강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구비되어 도어트림(1)에 설치된 팔걸이(10)은 승차자가 올려놓는 정도의 힘에 의해서는 이를 받치고 있던 제1,2아암(20,20a)에 의해 피니언(32) 및 랙(30)가 작동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스토퍼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따르면, 도어트림의 내측면에는 이면으로 제1레일과 함께 팔걸이를 수직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고, 그 팔걸이의 소정간격 이격된 채 실린더와 제2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실린더와 팔걸이에 제1아암의 양단을 힌지 고정하면서 제1,2레일에는 제2아암의 제1,2로울러가 끼워져 안내되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해 줄 경우,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의 선단을 밀고 당기는 동작으로 제1,2아암이 동작되면서 팔걸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탑승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자동차 도어트림(1)의 내측 중앙으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팔걸이(10)와, 그 팔걸이(10)에 양단이 힌지 고정되는 제1아암(20)과, 그 제1아암(20)과 중앙이 힌지 결합되어 교차되면서, 일단과 타단에는 팔걸이(10)의 이면으로 설치된 제1레일(12)의 제1로울러(14)와 도어트림(1)의 내측 표면으로 설치된 제2레일(40)의 제2로울러(24)를 연결 설치한 제2아암(20a)으로 이루어진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10)의 하부로 위치되도록 도어트림(1)의 내부로 직진 운동되는 랙(30)을 수평 설치하되, 그 랙(30)에는 손잡이의 회전 동작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피니언(32)과 기어 결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2019950040042U 1995-12-12 1995-12-12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0135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42U KR0135110Y1 (ko) 1995-12-12 1995-12-12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042U KR0135110Y1 (ko) 1995-12-12 1995-12-12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751U KR970029751U (ko) 1997-07-24
KR0135110Y1 true KR0135110Y1 (ko) 1999-02-18

Family

ID=1943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042U KR0135110Y1 (ko) 1995-12-12 1995-12-12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1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751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75297A1 (en) Armrest subassembly for the door of a motor vehicle
KR0135110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0135109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KR0178484B1 (ko)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19990029173U (ko) 차량용 도어 암 레스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0131546Y1 (ko) 자동차의 팔걸이 위치 조절장치
KR100196175B1 (ko) 자동차용 시트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0132816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19990018485U (ko) 시트의 시트백 높이 조절장치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200146277Y1 (ko) 시트등받이의 위치설정장치
KR100318077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이용한 리어 시트의 센터 헤드레스트 자동 높이 조절 장치
KR0140757Y1 (ko) 확장 가능한 자동차용 시이트
KR0173426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조절장치
KR200141070Y1 (ko) 차량용 시트
KR960007632Y1 (ko) 자동차형 시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0212261B1 (ko) 자동차의 운전자 팔받침 장치
JPH08276769A (ja) 可変シート
KR19980028225A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KR19990017151U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9980062192A (ko) 자동차 시트의 아암레스트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