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537U -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537U
KR19980022537U KR2019960035889U KR19960035889U KR19980022537U KR 19980022537 U KR19980022537 U KR 19980022537U KR 2019960035889 U KR2019960035889 U KR 2019960035889U KR 19960035889 U KR19960035889 U KR 19960035889U KR 19980022537 U KR19980022537 U KR 199800225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ar seat
duct
vehic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5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537U/ko
Publication of KR19980022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53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뒷 좌석의 일정 부위에 에어컨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운전자 및 탑승자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즉 내외기 도입 댐퍼(3)와, 도입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 수단(31),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 수단(32),히터 코어(5), 복수의 절환 댐퍼(51)(52)(53)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냉,온기 공급 모듈과, 디프로스터 덕트 유입구 일측면에 뒷 좌석 공조 덕트(7)를 개설하여 차량 실내의 뒷 좌석 일정 부위까지 연장 구비하여 기존의 공조 장치가 적절한 공기의 흐름을 보장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
본 고안은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공기 흐름을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뒷 좌석의 일정 부위에 에어컨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운전자 및 탑승자가 여러 가지 불편함을 겪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공기 조화는 기후와 주행조건에서 탑승객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전면 유리창에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보호하고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 조화는 대체적으로 크게 나누어 난방 또는 냉방을 위한 장치로 분류되는데 난방시에는 차체의 동력 발생부에서 발열되는 열원을 이용하고 냉방시에는 별도의 냉각 싸이클을 이용하여 차내의 실내기를 송풍수단에 의하여 강제 대류식으로 순환시키면서 공조를 이루게 하고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제어장치로 공조상태를 선택함과 아울러 공조 공기의 송풍량을 적절히 선택하여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내의 여러방향, 디프로스터 덕트(100), 벤틸레이션 덕트(200), 플로어 덕트(300)로 분배 공급시키게 하고 있다.
공기 조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송풍펜 및 증발기 그리고 히이터 코어를 가지며 이들에 공조 공기를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의 송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풍 안내로를 구비하고 있고 그 송풍 안내로의 적당 장소에 방향 절환 또는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를 하나 이상 수개 가지고 그 댐퍼를 차내축으로 설치되는 공기 조화 제어 장치에 의해 개폐되게 하면서 공조 공기의 유로 방향절환 또는 송풍방향을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조화 제어 장치는 상기의 각 댐퍼에 개폐력을 부가하는 콘크롤 레버가 하나 이상 수개 구비되고 이의 각 콘트롤 레버의 선단 즉, 제어 장치의 전면판으로 노출되는 조절놉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일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콘트롤 레버를 가지며 그 콘트롤 레버 선단에 조절놉을 일체로 구비하고 이 조절놉을 잡아 좌우로 이동시킴에 의해 댐퍼가 개폐되게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에 따른 자동차 냉,난방 장치의 공기 공급모듈의 단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외기 도입 댐퍼(3) 다음에 설치되는 송풍 수단(31), 이어서 증발 수단(32),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공기 혼합용 제 1 절환 댐퍼(51)와, 가열되었거나 냉각된 기류를 자동차 내부의 여러 위치로 분배하기 위한 제 2, 제 3 절환 댐퍼(52)(53) 및 히팅코어(5)를 구비한 모듈 본체(1)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냉온기 공급모듈은 에어컨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이 플로어 덕트 즉 운전자나 탑승자의 신체 하부에 유입되는 관계로 찬공기가 원활히 순환되지 못하는 바 여름철의 경우 적절한 실내기가 소통되지 못하여 자동차의 주행 환경에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공조 장치를 가동한 상태에서도 완전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질때까지 자동차 외부에서 일정시간 대기하여야 했고, 또한 운전자나 탑승객이 시이트에 앉은 상태에서 변화된 온도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토출되는 냉풍이 자동차 내부를 일정시간 순환되어야 했으므로 빠른 시간내에 만족할 만한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실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뒷 좌석의 일정 부위에 에어컨 턱트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공조 장치중 냉방기가 탑승자의 신체 하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뒷 좌석 탑승개의 위치까지 적절한 공기의 흐름이 보장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개선적인 공조 효율 제고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입구에서 내외기를 구분하여 회전 개폐시키는 내외기 도입 댐퍼와, 도입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 수단과, 별도의 냉매 순환장치로부터 순환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수단과, 별도의 전열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 코어와, 복수의 절환 댐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공기 공급 모듈과, 상기 제 3 절환 댐퍼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디프로스터 덕트 유입구 일측면에 에어컨 덕트를 개설, 차량 실내의 뒷 좌석 일정 부위까지 연장 구비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실내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자동차 냉난방 장치의 공기 공급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냉난방 장치의 공기 공급모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뒷 좌석 공조 덕트를 개설한 자동차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를 실시한 자동차 실내의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모듈 본체3 : 내,외기 도입 댐퍼
5 : 히터 코어7 : 뒷 좌석 공조 덕트
31 : 송풍 수단32 : 증발 수단
51 : 제 1 절환 댐퍼52 : 제 2 절환 댐퍼
53 : 제 3 절환 댐퍼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냉,난방 장치의 공기 공급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내외기 도입 댐퍼(3)와, 도입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 수단(31),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 수단(32), 히터 코어(5), 복수의 절환 댐퍼(51)(52)(53)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냉,온기 공급 모듈과, 디프로스터 덕트(100) 유입구 일측면에 에어컨 덕트를 개설하여 차량 실내의 뒷 좌석 일정 부위까지 연장 구비된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7)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 도 3과, 본 고안인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를 실시한 자동차 실내의 예시도를 나타낸 첨부 도면 도 4,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입구에서 내외기를 구분하여 회전 개폐시키는 내외기 도입 댐퍼(3)와, 도입 공기를 일정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 수단(31)과, 별도의 냉매 순환 장치로부터 순환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 수단(32)과, 별도의 전열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 코어(5)와, 복수의 절환 댐퍼(51)(52)(53)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공기 공급 모듈과, 상기 제 3 절환 댐퍼(53)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디프로스터 덕트 유입구 일측면에 에어컨 덕트를 개설하여 차량 실내의 뒷 좌석 일정 부위까지 연장, 사용자 임의로 자유로이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 좌석 공조 덕트(7)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뒷 좌석 일정 부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컨 덕트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공조 장치중 냉방기가 탑승자의 신체 하부에 위치하는 관계로 뒷 좌석 탑승객의 위치까지 적절한 공기의 흐름이 보장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개선적인 공조 효율 제고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과 같은 공조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종래에 공조 덕트를 이중, 삼중으로 복수개 설치하는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어 소비자의 입장은 물론 자동차 생산 현장에서도 경제성을 고려하고서도 똑같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추가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입구에서 내외기를 구분하여 회전 개폐시키는 내외기 도입 댐퍼(3)와, 도입 공기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 수단(31)과, 별도의 냉매 순환 장치로부터 순환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 수단(32)과, 별도의 전열장치에 의하여 가열되는 히터 코어(5)와, 복수의 절환 댐퍼(51)(52)(53)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공기 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제 3 절환 댐퍼(53)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디프로스터 덕트 유입구 일측면에 에어컨 덕트를 개설하여 차량 실내의 뒷 좌석 일정 부위(7)까지 연장, 사용자 임의로 자유로이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덕트
KR2019960035889U 1996-10-28 1996-10-28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KR199800225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889U KR19980022537U (ko) 1996-10-28 1996-10-28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889U KR19980022537U (ko) 1996-10-28 1996-10-28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537U true KR19980022537U (ko) 1998-07-25

Family

ID=5398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889U KR19980022537U (ko) 1996-10-28 1996-10-28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53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3777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US5042566A (en) Heating 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6059018A (en) Vehicle seat air-conditioning system
JP40164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020323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557922B2 (ko)
JPH043490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263123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0600137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80022537U (ko) 자동차 뒷 자석 공기 조화 덕트
JP405531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263116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9980048091U (ko) 보조팬을 갖는 자동차 공조 장치
KR19980018002U (ko) 자동차 루프 에어컨 덕트
KR19980048095U (ko) 자동차 뒷 좌석용 히터 장치
KR19980037158U (ko) 자동차 뒷 좌석 공기 조화 제어 장치
KR100234802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제어 장치 구조
KR19980048096U (ko) 자동차 히터 예열 장치
JP2509853Y2 (ja) 自動車の後席用空気調和装置
JPH03189225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9564705U (zh) 空调系统及车辆
KR960009639Y1 (ko) 자동차용 샤워형 에어 벤틸레이터
JPH0727212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635070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9980052340U (ko) 차량의 냉난방용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