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413A -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413A
KR19980021413A KR1019960040236A KR19960040236A KR19980021413A KR 19980021413 A KR19980021413 A KR 19980021413A KR 1019960040236 A KR1019960040236 A KR 1019960040236A KR 19960040236 A KR19960040236 A KR 19960040236A KR 19980021413 A KR19980021413 A KR 1998002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etected
alarm
distanc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4484B1 (ko
Inventor
김채수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40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48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차가 주행중인 도로환경을 분석하여 충돌위험성이 없는 경우에는 비록 측방의 지근거리에 물체가 감지되더라도 경보를 억제하므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의 전후좌우에 각각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좌우측의 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는 감지영역이 전후로 대칭임과 동시에 각도가 좁고, 좌우측의 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는 감지영역이 후방쪽을 넓게 커버함과 동시에 각도도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으며, 좌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와 우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가 각각 쌍으로 하여 구동되어서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후방에서만 물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보다 짧은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도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본 발명은 차량용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차가 주행중인 도로환경에 의한 과다경보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차량에 속속 탑재되고 있는 바, 그 예들로서 자차와 선행차량과의 충돌 위험성을 경보하는 전방충돌 경보시스템과 자차와 측방물체와의 충돌위험성을 경보하는 측방충돌 경보시스템이 있다.
이 중에서, 측방충돌 경보시스템은 차량의 주행차선 변경시나 주차시 또는 주행시에 운전자의 시야가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서의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자차의 측방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 물체감지센서(1)를 구동하는 센서구동부(2), 물체감지센서(1)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처리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증폭하는 증폭부(3), 증폭부(3)로부터 증폭된 감지신호(전압신호)를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차량의 측방의 지근거리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4), 방향지시램프의 작동여부를 검출하는 방향전환신호 검출부(6), 자차가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중인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속도신호 검출부(5), 자차의 측방에 물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9), 자차의 측방에 물체가 존재함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8) 및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편의상 생략하여 도시하였지만 물체감지센서(1), 센서구동부(2), 신호증폭부(3) 및 비교부(4)는 차량의 전후좌우의 각각에 대해서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비교부(4)로부터 자차의 측방의 지근거리에 물체가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가 제공되고, 이와 동시에 방향전환신호 검출부(6) 및 속도신호 검출부(5)의 양측에서 검출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보음 발생부(8)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9)를 점멸시키므로써 충돌위험성을 경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차(21)가 일차선을 따라서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좌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중앙선(20) 너머에서 교행중인 차량이 존재하거나 또는 중앙분리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험한 사태가 아닌 데도 경보를 울리게 되어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차(30)가 최우측차선(34)을 따라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중인 상태에서 우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변에 가드레일(31), 전신주(32), 가로등(33)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험한 사태가 아닌 데도 경보를 울리게 되어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술적 과제는자차가 주행중인 도로환경을 분석하여 충돌위험성이 없는 경우에는 비록 측방의 지근거리에 물체가 감지되더라도 경보를 억제하므로써 장치의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를 기현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물체감지센서의 설치위치 및 감지영역을 보인 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체감지센서, 2: 센서구동부,
3: 증폭부, 4: 비교부,
5: 속도신호 검출부, 6: 방향전환신호 검출부,
7: 마이크로 프로세서, 8: 경보음 발생부,
9: 디스플레이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전후좌우에 각각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좌우측의 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는 감지영역이 전후로 대칭임과 동시에 각도가 좁고, 좌우측의 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는 감지영역이 후방쪽을 넓게 커버함과 동시에 각도도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으며, 좌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와 우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가 각각 쌍으로 하여 구동되어서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후방에서만 물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보다 어느 일정거리 이상 짧은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도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비슷한 거리일 경우에는 동일물체라 판단하고 경보를 억제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물체감지센서의 설치위치 및 감지영역을 보인 도인 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물체감지센서(1)는 차량의 좌측의 전방(1fl), 좌측의 후방(1bl), 우측의 전방(1fr) 및 우측의 후방(1br)에 각각 설치된다. 나아가, 좌측 및 우측의 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1fl), (1fr)는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감지영역이 전후로 대칭임과 동시에 각도가 좁고, 좌측 및 우측의 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1bl), (1br)는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감지영역이 후방쪽을 넓게 커버함과 동시에 각도도 좌우측 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의 감지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좌측의 전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1fl), (1bl)가 쌍으로 동작하고, 우측의 전후방에 설치된 물체감지센서(1fr), (1br)도 쌍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아니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차량주변의 물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좌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1fl), (1bl)를 쌍으로 하여 구동하고, 우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1fr), (1br)를 쌍으로 하여 구동한다. 이렇게 구동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물체감지센서들(1fl), (1bl), (1fr), (1br)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이렇게 출력된 소신호는 이후에 증폭부(3; 편의상 하나의 물체감지센서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음)를 통하여 적절한 크기로 증폭된다.
다음, 이렇게 증폭된 감지신호는 비교부(4; 역시, 하나의 물체감지센서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음)로 입력되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서 제공하는 기준전압과 비교되고, 그 비교 결과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에 다시 제공된다. 다음, 마이크로 프로세서(7)는 각 센서의 구동시점부터 비교부(4)를 통하여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물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지근거리에 물체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자차가 일정속도이상으로 주행중인 가의 여부 및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방향으로 방향회전신호가 검출되었는 가의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킬 것인 지 또는 경보음은 발생시키지 않고 단지 경보램프만을 점멸시킬 것인 지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와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를 도로상황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먼저,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 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차의 우측의 후방(또는 좌측의 후방)에서만 물체가 감지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자차가 우측(또는 좌측)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이면 운전자가 뒤따라오는 차량을 보지 못하고 충돌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즉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경보램프도 점멸시키게 된다.
두 번 째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전후방(또는 좌측의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나아가 후방에서 감지된 거리(l2)가 전방에서 감지된 거리(l1)보다 짧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후방에서 감지된 물체는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는 바로 옆차선의 차량이고, 전방에서 감지된 물체는 다시 그 옆차선의 차량일 개연성이 높은 바, 자차가 우측(또는 좌측)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이면 운전자가 옆차선에서 뒤따라오는 차량을 보지 못하고 충돌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즉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경보램프도 점멸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경보램프는 점멸시키지만 경보음은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진행한다.
이 경우에는 우측의 전후방(또는 좌측의 전후방)에서 모두 물체가 감지되며, 감지거리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를 생각할 수가 있는 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차량이 옆차선에서 달리거나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대의 승용차가 옆차선에서 거의 거리를 두지 않고 연이어서 달리는 경우일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야에 이미 차량의 존재가 들어와 있으므로, 비록 자차가 물체가 감지된 방향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이더라도 충돌의 위험성이 매우 적기 때문에 경보음은 발생시키지 않고 경보램프만 점멸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에 따르면, 자차가 현재 주행중인 도로상황까지 포함하여 충돌위험성을 경보하기 때문에 오경보나 과다경보의 문제가 억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신뢰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체의 전후좌우에 각각 물체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좌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와 우측의 전후방의 물체감지센서가 각각 쌍으로 하여 구동되어서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된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우측중 어느 한 쪽의 후방에서만 물체가 감지된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보다 짧은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좌우측중 어느 한 쪽의 전후방에서 동시에 물체가 감지되고, 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와 전방에서 감지된 물체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자차가 상기 물체가 감지된 쪽으로 방향전환을 하고자 하고 나아가 자차의 속도가 일정속도이상인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1019960040236A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016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236A KR0164484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236A KR0164484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413A true KR19980021413A (ko) 1998-06-25
KR0164484B1 KR0164484B1 (ko) 1999-10-01

Family

ID=1947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236A KR0164484B1 (ko) 1996-09-16 1996-09-16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9059A1 (de) 2013-08-21 2015-02-26 Mando Corporation Seiten-Rückwärts-Alarmsystem für Fahrzeuge und Alarmsteuerverfahren für die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9059A1 (de) 2013-08-21 2015-02-26 Mando Corporation Seiten-Rückwärts-Alarmsystem für Fahrzeuge und Alarmsteuerverfahren für dieses
US9569970B2 (en) 2013-08-21 2017-02-14 Mando Corporation Back-sideways alarming system for vehicle and alarming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4484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249A (en) Off-lane alarm apparatus
JP3324421B2 (ja) 車両の後側方警報装置
JP3672914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2000353298A (ja) 車両用衝突警報装置
KR016448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RU2724044C1 (ru)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о столкновении
JP4221166B2 (ja) 車間距離警報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10918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JPH11339197A (ja) 車両安全装置
JPH10166971A (ja) 車両の後側方障害物警報装置
JP4108592B2 (ja) 車両周辺監視装置
JPH0458179A (ja) 障害物検出装置
KR19980037171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100240681B1 (ko) 보행자 감지장치
KR19980051736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19980051742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19980051737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의 과다경보 억제방법
KR0126514Y1 (ko) 차량의 측방충돌 경보장치
KR10019343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방지 경보장치
KR950011217A (ko) 자동차의 안전 차선 변경 장치
KR200255770Y1 (ko) 측도 진입차량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9980052734A (ko) 자동차 측방충돌 감지방법
CA2120638A1 (en) Blind spot warning device
KR20050040586A (ko) 차량 선회시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KR19980021411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