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803A -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803A
KR19980020803A KR1019960039402A KR19960039402A KR19980020803A KR 19980020803 A KR19980020803 A KR 19980020803A KR 1019960039402 A KR1019960039402 A KR 1019960039402A KR 19960039402 A KR19960039402 A KR 19960039402A KR 19980020803 A KR19980020803 A KR 1998002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node
transistor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한진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9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803A/ko
Publication of KR1998002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803A/ko

Link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압/전류절환부;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비례하는 정방향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전류미러부; 및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전류미러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전압/전류절환기를 통해 간단하게 양방향의 전류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본 발명은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전압/전류절환기를 통하여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비례하기도 하고 반비례하기도 하는 양방향 전류원을 발생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압/전류 변환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전압/전류절환부(10), 및 전류미러부(2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압/전류절환부(10)는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a)과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제 1 노드(N1)의 비교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1)와,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11)의 출력전압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Q1), 및 상기 제 1 노드(N1)와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된 저항(R1)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비교기(1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11)의 하이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또한 상기 비교기(1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같거나 낮으면 비교기(11)의 로우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된다.
또한, 상기 전류미러부(20)는 전원전압(VCC)과 상기 제 2 노드(N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N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전류원(I1), 및 상기 전원전압(VCC)과 전류원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노드(N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노드(N2)의 전압을 공통으로 인가받는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는 제 2 노드(N2)의 전압 상태에 따라 같은 전류량이 상기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의 전류통로로 흐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비교기(11)의 비반전단자의 입력전압(Va)이 인가되면, 상기 비교기(11)의 하이 출력 신호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또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구동으로 인해 전류미러부(20)의 제 2 노드(N2)는 접지전압(GND)으로 풀-다운되어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도 턴-온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흐르는 전류(I1)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흐르는 전류량(I1)의 증가에 따라 저항(R1)에 의해 제 1 노드(N1)의 전압이 증가하므로, 상기 비교기(11)에 인가되는 비반전단자의 입력전압(Va)과 반전단자의 비교전압은 같은 전위로 승압되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흐르는 전류량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통과하는 전류량(I1)은 다음 식과 같다.
[식1]
I1 = Va / R1
상기 식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기(1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증가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1)도 증가하고, 비교기(1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감소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1)이 감소하게 된다.
도 2 는 종래의 또다른 예에 의한 전압/전류 변환 제어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전압/전류절환부(40), 및 전류미러부(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압/전류절환부(40)는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a)과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제 1 노드(N1)의 비교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41)와, 전원전압(VCC)과 제 1 노드(N1) 사이에 연결된 저항(R1), 및 상기 제 1 노드(N1)와 제 2 노드(N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41)의 출력전압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비교기(4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41)의 하이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고, 또한 상기 비교기(4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같거나 낮으면 비교기의 로우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또한, 전류미러부(50)는 상기 제 2 노드(N2)와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N2)의 신호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전류원(I2), 및 상기 전류원(I2)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노드(N2)의 신호에 응답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노드(N2)의 전압을 공통으로 인가받는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는 제 2 노드(N2)의 전압 상태에 따라 같은 전류량이 상기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의 전류통로로 흐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의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의 제 1 노드(N1)의 전원전압 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비교기(41)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제 1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또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구동으로 인해 전류미러부(50)의 제 2 노드(N2)의 전위는 상승되어 상기 제 2, 제 3 트랜지스터(Q2, Q3)는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흐르는 전류량(I2)은 저항(R1)에 의해 감소되어 제 1 노드(N1)의 전위는 감소되고, 비교기(41)의 비반전단자의 입력전압(Va)과 반전단자의 비교전압은 동일한 전위로 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를 통과하는 전류량(I2)은 다음식과 같다.
[식2]
I2 = (VCC - Va) / R1
상기 식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기(4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증가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2)은 감소하고, 비교기(41)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감소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2)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은 전압/절류절환부의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에 인가하는 입력전압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한 쪽 방향으로만 전류량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전압/전류절환기를 통하여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라 비례하기도 하고 반비례하기도 하는 양방향 전류원을 발생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압/전류절환부;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비례하는 정방향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전류미러부; 및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전류미러부를 구비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방향 전압제어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또다른 예에 의한 단방향 전압제어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응용례에 의한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방향 전압제어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전압/전류절환부(100)와, 제 1 전류미러부(200), 및 제 2 전류미러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압/전류절환부(100)는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a)과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제 1 노드(Nd1)의 비교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110)와, 상기 제 1 노드(Nd1)와 제 2 노드(Nd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110)의 출력전압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노드(Nd1)와 저항(R1)의 일측단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1 노드(Nd1)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일측단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된 제 1 저항(R1)과, 전원전압(VCC)에 연결된 제 2 저항(R2), 및 상기 제 2 저항(R2)의 일측단과 제 3 노드(Nd3)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1 노드(Nd1)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5 트랜지스터(Q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110)의 하이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또한 상기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반전단자로 인가되는 비교전압보다 같거나 낮으면 비교기(110)의 로우 출력 신호에 따라 제 1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된다.
또한, 제 1 전류미러부(200)는 전원전압(VCC)과 상기 제 2 노드(Nd2)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Nd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 및 상기 전원전압(VCC)과 전류 소오스단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노드(Nd2)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4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전류미러부(300)는 전압/전류절환부(100)의 제 5 트랜지스터(Q5)의 일측단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3 노드(Nd3)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6 트랜지스터(Q6), 및 전류 싱크단과 접지전압(GND)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노드(Nd3)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7 트랜지스터(Q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전압 제어 전류원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압/전류절환부(100)의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에 반전단자 보다 높은 입력전압(Va)이 인가되면, 비교기(110)는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 1, 제 2 트랜지스터(Q1, Q2)는 턴-온되어 제 2 노드(Nd2)의 전위는 접지전압(GND)으로 풀-다운되어 제 1 전류미러부(200)는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전압/전류절환부(100)의 제 1 저항(R1)에 의해 제 1 노드(Nd1)의 전압레벨은 상승되고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의 입력전압의 전위는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저항(R1)에 흐르는 전류(I1)는 다음 식과 같다.
[식3]
I1 = (Va - Vbe2) / R1
상기 식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증가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1)도 증가하고,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감소하면 제 1 트랜지스터(Q1)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1)이 감소한다.
한편, 전압/전류절환부(100)의 제 5 트랜지스터(Q5)에 의해 제 2 저항(R2)으로 흐르는 전류(I2)는 다음과 같다.
[식4]
I2 = (VCC - Va -Vbe5) / R2
상기 식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증가하면 제 5 트랜지스터(Q5)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2)은 감소하고,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자로 인가되는 입력전압(Va)이 감소하면 제 5 트랜지스터(Q5)의 전류통로로 흐르는 전류량(I2)은 증가한다.
상기 식 3, 식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기(110)의 비반전단의 입력전압(Va)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류원(I1, I2)을 갖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전압/전류절환부(100)를 통해 양방향의 전류원(I1, I2)을 얻을 수 있으므로 기준전류발생기, 발진기, 타이머 등에 효과적이고, 간단하게 설계를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응용례에 의한 양방향 전압제어 전류원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전압/전류절환부(100)와, 제 1 전류미러부(200), 및 제 2 전류미러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동도면은 상기 도 3 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도 3 의 제 1 전류미러부(200)의 제 4 트랜지스터(Q4)의 일측단과 제 2 전류미러부(300)의 제 7 트랜지스터(Q7)의 일측단을 제 4 노드(Nd4)로 연결하고 기준전류원(Iref)을 연결한 것이 도 3 과 다르다.
상기와 같이 제 4 노드(Nd4)에 기준전류원(Iref)을 연결함으로서 다음단에 원하는 전류의 소오스(Source) 및 싱크(Sink)를 유용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전압/전류절환기를 통해 간단하게 양방향의 전류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의 입력전압을 인가받아 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생성하는 전압/전류절환부;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비례하는 정방향의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전류미러부; 및 상기 전압/전류절환부의 입력전압의 변화에 반비례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2 전류미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류절환부는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입력전압과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제 1 노드의 비교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제 1 노드와 제 2 노드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전압에 응답하는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노드와 저항의 일측단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된 제 1 저항; 전원전압에 연결된 제 2 저항; 및 상기 제 2 저항의 일측단과 제 3 노드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5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미러부는 전원전압과 상기 제 1 노드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2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전원전압과 전류 소오스단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류미러부는 전압/전류절환부의 제 5 트랜지스터의 일측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제 3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6 트랜지스터; 및 전류 싱크단과 접지전압 사이에 전류통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노드의 전압레벨에 응답하는 제 7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5. 상기 제 4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제 4 트랜지스터의 전류 소오스단과 제 7 트랜지스터의 전류 싱크단의 전류통로를 서로 연결하고 그 연결된 노드에 기준전류원을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KR1019960039402A 1996-09-11 1996-09-11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KR19980020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402A KR19980020803A (ko) 1996-09-11 1996-09-11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402A KR19980020803A (ko) 1996-09-11 1996-09-11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03A true KR19980020803A (ko) 1998-06-25

Family

ID=66520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402A KR19980020803A (ko) 1996-09-11 1996-09-11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80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904A (en) * 1986-11-21 1989-02-14 Sony Corporation Voltage to current converters for use in an active filter and with a moise reduction circuit
JPH05343933A (ja) * 1992-06-05 1993-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JPH06169225A (ja) * 1992-11-30 1994-06-14 Sanyo Electric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JPH06260853A (ja) * 1993-03-04 1994-09-16 Olympus Optical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KR960009360A (ko) * 1994-08-12 1996-03-22 가네꼬 히사시 전압/전류 변환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4904A (en) * 1986-11-21 1989-02-14 Sony Corporation Voltage to current converters for use in an active filter and with a moise reduction circuit
JPH05343933A (ja) * 1992-06-05 1993-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JPH06169225A (ja) * 1992-11-30 1994-06-14 Sanyo Electric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JPH06260853A (ja) * 1993-03-04 1994-09-16 Olympus Optical Co Ltd 電圧電流変換回路
KR960009360A (ko) * 1994-08-12 1996-03-22 가네꼬 히사시 전압/전류 변환회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4941A (ko) 출력 전위 공급 회로
KR930020449A (ko) 내부전원전압 발생회로
US5760614A (en) Potential detect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6411554B1 (en) High voltage switch circuit having transistor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KR930018345A (ko) 정전압 발생회로
KR20000021044A (ko) 전압 조정이 가능한 내부 전원 회로를 갖는반도체 메모리장치
KR19990087228A (ko) 내부전압 기준출력 구동기
KR950034156A (ko) 온도 검출 회로
KR960009401A (ko) 비교기 회로
KR940027322A (ko)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KR940001568A (ko) 레벨 변환 회로
KR19980020803A (ko) 전압제어 양방향 전류원 장치
KR960019311A (ko) 양/음 고전압 발생 전원의 출력전위 리셋회로
KR20060099428A (ko) 기준 전압 발생 회로, 및 기준 전류 발생 회로
KR910017743A (ko) 레벨변환회로
KR100452176B1 (ko) 전류원-숏회로
KR930008658B1 (ko) 전압레벨 검출회로
KR200141249Y1 (ko) 세탁기 리셋회로
KR0155904B1 (ko) 반도체 칩의 전압 변환 장치
KR100230408B1 (ko) 저전력 비교기 회로 및 비교기의 제어방법
SU1721819A1 (ru) Генератор токовых импульсов
KR0171853B1 (ko) 전기신호의 최저전압 제한회로
KR100206141B1 (ko) 전력손실을 감소시킨 부하 검출기
KR100240420B1 (ko) 파워다운기능을 구비한 밴드갭 기준전압발생회로
KR100462015B1 (ko) 전원 과도 특성 절감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