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697U -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 Google Patents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697U
KR19980020697U KR2019960033940U KR19960033940U KR19980020697U KR 19980020697 U KR19980020697 U KR 19980020697U KR 2019960033940 U KR2019960033940 U KR 2019960033940U KR 19960033940 U KR19960033940 U KR 19960033940U KR 19980020697 U KR19980020697 U KR 199800206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ad
backrest
operation bar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식
Original Assignee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기,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관기
Priority to KR2019960033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697U/ko
Publication of KR19980020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69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후방충돌시 승차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에서는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을 하여 승차자의 머리와 목부위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작동바를 등받이에 내장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의 시트(10)를 구성하는 등받이(11)의 내부에 헤드레스트(12)를 전방으로 움직여 승차자의 머리가 젖혀지지 않토록 하여 주는 작동바(15)를 마련하되, 작동바(15)의 상단부에는 지주삽입공(17)을 형성하여 헤드레스트(12)의 지주(16)를 삽입하고, 상기 작동바(15)의 하방부는 승차자의 등부위와 일치하도록 등받이(11)의 내부 하방까지 연장하고, 작동바(15)는 중간부위는 등받이프레임(18)과 힌지(19)로 고정하여 작동바(15)가 힌지(19)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후방 충격력에 의하여 승차자의 목부위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본 고안은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에서 충돌이 일어날 시 승차자의 머리가 후방으로 급격하게 젖혀져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레스트는 자동차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등받이의 상방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하측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전,후방으로 일정각 회동이 자유롭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운전자가 운행중 목부위에 피로를 경감시켜주기 위하여 머리부위를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단순하게 승차자의 머리만을 지지하여 주고 운행중 승차자들 대부분이 머리와 헤드레스트 상간에 일정 공간을 유지시킨채 운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후방충돌이 일어날 경우에는 그 충격력이 자동차의 진행방향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승차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충격력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므로, 후방에서 충돌이 일어날 경우에는 승차자의 머리 후방부가 헤드레스트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젖혀지면서 헤드레스트와 충격하기 때문에 목부위 및 머리후방부에 상당한 타격을 받아 손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후방 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을 하여 승차자의 머리와 목부위가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 신체적인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파절 사시도
재 2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헤드레스트
15; 작동바
17; 지주삽입공
18; 등받이프레임
19; 힌지
20; 개구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파절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을 한다.
자동차의 시트(10)를 구성하는 등받이(11)의 내부에 헤드레스트(12)를 전방으로 움직여줄 수 있는 작동바(15)를 마련한 것이다.
상기 작동바(15)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12)의 지주(16)가 삽입되어 헤드레스트(12)가 상,하측으로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도록 지주삽입공(17)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바(15)의 하방부는 승차자의 등부위와 일치하도록 등받이(11)의 내부 하방까지 연장하였다.
상기 작동바(15)는 중간부위를 등받이프레임(18)에 힌지(19)로 결합을 하여 승차자의 등에 의하여 작동바(15)가 힌지(19)를 중심으로 하방부는 후방으로 상방부는 전방으로 일정 각 회동토록 하여 본 고안의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30)를 구성한 것이다.
물론, 상기 등받이(11)의 상면에는 작동바(15)의 상단부가 최대각으로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20)를 형성하여 작동바(15)의 움직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토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30)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통상적인 주행시에는 시트(10)의 등받이(11) 내부에 장착된 작동바(15)에 승차자가 등받이(11)에 기대는 힘이 미치지 않게 되므로 헤드레스트(12)는 정상적인 위치에 있게 된다.
즉, 승차자가 헤드레스트(12)를 조절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며, 상기 헤드레스트(12)의 지주(16)가 등받이(11)의 상단부까지 연장된 작동바(15)의 상부에 형성된 지주삽입공(17)에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자유로움은 물론, 헤드레스트(12)를 전,후방으로 일정 조절하는 것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이는 통상적인 조절방법과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후방에서 충돌이 일어나면 승차자는 자동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충격력을 전달받으므로 승차자의 등부위가 등받이(11)를 가격하게 된다.
그러면, 등받이(11)의 내부에 장착된 작동바(15)가 그 힘을 전달받고 아울러 작동바의 관성모우먼트로서 작동바(15)의 하방부가 등받이(11)의 후방으로 밀려가게 되고, 상기 작동바(15)의 상단부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인 시트(10)의 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는 작동바(15)의 중간부위가 등받이프레임(18)과 힌지(19)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19)를 중심으로 작동바(15)의 하방부는 시트(10)의 후방으로 헤드레스트(12)를 고정한 상방부는 시트(10)의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동바(15)의 상단부가 등받이(11)의 전방으로 회동할 때에는 등받이(11)의 상면에 작동바(15)의 운동거리만큼 개구(2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동바(15)의 회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상기 헤드레스트(12)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승차자의 목부위와 머리 후방부와 연접하게 되므로 충격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승차자의 목부위 및 머리 후방부를 지지하여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충격력에 의하여 승차자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하여 작동하는 작동바의 상단에 삽입된 헤드레스트가 승차자의 목부위에 미리 진입하게 됨으로서 승차자의 목부위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신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시트(10)를 구성하는 등받이(11)의 내부에 헤드레스트(12)를 전방으로 움직여 승차자의 머리가 젖혀지지 않토록 하여 주는 작동바(15)를 마련하되;
    상기 작동바(15)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12)의 지주(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삽입공(17)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바(15)의 하방부는 승차자의 등부위와 일치하도록 등받이(11)의 내부 하방까지 연장하고;
    상기 작동바(15)는 중간부위를 등받이프레임(18)에 힌지(19)로 결합을 하여 승차자의 등에 의하여 작동바(15)가 힌지(19)를 중심으로 하방부는 후방으로 상방부는 전방으로 일정각 회동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1)의 상면에는 작동바(15)의 상단부가 최대각으로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개구(20)를 형성하여 작동바(15)의 움직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KR2019960033940U 1996-10-10 1996-10-10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KR199800206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40U KR19980020697U (ko) 1996-10-10 1996-10-10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940U KR19980020697U (ko) 1996-10-10 1996-10-10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697U true KR19980020697U (ko) 1998-07-15

Family

ID=5397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940U KR19980020697U (ko) 1996-10-10 1996-10-10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6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09B1 (ko) * 2001-08-09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목 보호용 헤드레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09B1 (ko) * 2001-08-09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목 보호용 헤드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109B1 (ko) 목 보호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0980830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9980020697U (ko) 목보호용 헤드레스트장치
KR100786007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42272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0379964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0461146B1 (ko) 목 부상 방지를 위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치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20080015218A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00513550B1 (ko) 자동차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053495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 구조
KR100217990B1 (ko) 목 받침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장치
KR200141721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0333873B1 (ko) 승객 보호용 헤드 레스트
KR013653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168207Y1 (ko) 자동차시트용 헤드레스트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20010026884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200204144Y1 (ko) 자동차용 후방시트
KR100519233B1 (ko)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안전장치
KR20070065720A (ko) 여객 운송기 시트용 액티브 헤드 레스트 구동장치
KR20030013819A (ko) 토션바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방 시트 구조
KR19980017700U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헤드레스트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