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439U - 망원경 - Google Patents

망원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439U
KR19980019439U KR2019960032589U KR19960032589U KR19980019439U KR 19980019439 U KR19980019439 U KR 19980019439U KR 2019960032589 U KR2019960032589 U KR 2019960032589U KR 19960032589 U KR19960032589 U KR 19960032589U KR 19980019439 U KR19980019439 U KR 19980019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leg members
telescope
integr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399Y1 (ko
Inventor
정대훈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주식회사 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주식회사 대교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2019960032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3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3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 형태로 얼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망원경을 제공함에 있다.
얼굴에 착용 가능하게 귀 걸이부를 갖게 형성된 한쌍의 다리부재에는 제1망원렌즈가 설치되는 제1후레임의 양단을 회동가능하게 힌지하고, 상기 제1후레임의 앞쪽으로는 제2망원렌즈가 설치되는 제2후레임을 설치하되, 그 제2후레임과 다리부재들과의 결합부위에는 제1후레임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제1후레임과 같이 다리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시킬수 있게한 이동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망원경을 안경과 같이 얼굴에 착용 할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후레임들을 다리부재들로부터 회동 상태로 접어서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망원경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의 분리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망원경의 결합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망원경110a, 110b : 다리부재
112a, 112b : 안내홈114a, 114b : 귀 걸이부
16a, 116b : 광고표시부120, 130 : 제1, 제2지지 후레임
122, 132 : 제1, 제2 망원렌즈140a, 140b : 이동장치
141a, 141b : 접동홈142a, 142b : 회동체
143a, 143b : 지지핀151a, 151b : 치홈
152a, 152b : 가동체161a, 161b : 조절치
162a, 162b : 조절축164a, 164b : 조절 손잡이
본 고안은 안경 형태로서 얼굴에 착용하여 사용 하도록된 망원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망원렌즈를 지지 하는 후레임들을 일정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망원경에 관한 것이다.
보통 망원경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한 원통상의 지지통체에 망원렌즈를 설치하여 그 렌즈들의 촛점거리를 조절 함에 의해서, 원거리의 사물들을 보다 가깝게 관찰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망원경들은 사물을 관찰 하고져 할시에는 반드시 양손이나 혹은 어느 한손으로 지지통체를 잡지 않으면 안되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고, 또한 비사용 시에는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손에 들고 다니거나 혹은 걸고 다녀야만 하는 휴대상의 번거로움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결점들을 해소하고, 망원렌즈들의 지지후레임을 안경 형태로 형성 하여 얼굴 착용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그 지지후레임을 일정위치로 회동 시킬수 있도록 한 망원경을 제공 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원거리 관찰이 가능하게 적어도 2개가 한쌍을 이루는 망원렌즈들을 갖는 망원경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는 안내홈들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귀 걸이부가 형성된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망원경다리부재; 상기 제1망원렌즈들을 일체로 지지하고, 양단은 다리부재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소정 길이를 갖는 제1 지지후레임; 상기 제2 망원렌즈들을 일체로 지지하고, 양단은 제1 지지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그 제1 지지후레임에 결합된 소정 길이를 갖는 제2 지지후레임; 및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과 망원경다리부재들의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그 다리부재들로부터 어느 일방향으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을 일체적으로 회동 시키거나 혹은 상기 망원렌즈들의 촛점 조절이 가능하게 어느 하나의 지지후레임을 다른 하나의 지지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이동시키도록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망원경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원경(100)은 얼굴착용을 가능하게 하는 한쌍의 다리부재들(110a, 11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 되며, 그 다리부재들(110a, 110b)의 어느 일단에는 후술하는 제1, 제2 지지후레임들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안내홈들(112a, 112b)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각 사용자들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귀 걸이부(114a, 11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들(112a, 112b)는 어느 일측으로 경사를 이루게 형성 되어 있고, 그 안내홈들(112a, 112b)의 어느 일단부에는 안내홈들(112a, 112b)에서 하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안착홈부들(116a, 116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는 어느 사용자들의 얼굴에도 맞도록 하기 위하여 사전에 여러 가지의 사이즈로서 제작된다.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의 어느 일단부 즉, 안내홈들(112a, 112b)측으로는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사용자들의 눈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안경후레임과 같은 형태로서 제작되며, 그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에는 각각 한쌍씩의 망원렌즈들(122, 132)가 일체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후레임(130)은 제1 지지후레임(12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촛점조절을 가능하게 하므로서 원거리의 사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과 다리부재들(110a, 110b)와의 결합부에는 그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을 전후로 이동 시키거나 혹은 회동 시키기 위한 이동장치들(140a, 140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장치들(140a, 140b)는 양측 모두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어느 하나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이동장치(140a)는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을 일체로 회동 함에 제공되는 회동체(142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동체(142a)는 소정 길이와 넓이를 갖는 판형상을 이루며 어느 일측 벽면부에는 그 회동체(142a)의 전 길이에 걸쳐서 접동홈(14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142a)는 다리부재(110a)의 어느 일단부의 내측벽면부에 위치되어 지지핀(143a)로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142a)는 그 회동체(142a)의 어느 일단부에서 상하 위치로부터 일체로 돌설된 고정부(144a)에 의하여 제1 지지후레임(120)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1 지지후레임(120)과 회동체(142a)는 그 회동체(142a)의 접동홈(141a)의 내부로 삽입되는 후술하는 제2 지지후레임(130)의 가동체(152a)가 전후로 접동 되도록 하기위하여 소정의 간극을 두고 결합된다. 상기 제1 지지후레임(120)은 회동체(142a)와의 결합에 의하여 다리부재(110a)로부터 회동체(142a)와 같이 회동 시킬수가 있다.
상기 회동체(142a)의 접동홈(141a)에는 제2 지지후레임(130)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가동체(152a)가 그 접동홈(141a)로부터 접동 가능하게 삽입 된다.
상기 가동체(152a)는 접동홈(141a)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이루며, 내부에는 양측 모두가 개구된 치홈(151a)가 형성되어 그 가동체(152a)는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가동체(152a)의 어느 일단부로부터 돌설된 고정부(154a)에는 제2 지지후레임(130)과의 결합에 제공되는 고정축(156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156a)가 제2 지지후레임(130)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공(136a)의 내부로 삽입 됨에 의해서, 이들은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체(142a)와 가동체(152a)는, 상기 다리부재(110a)의 안내홈(112a)를 따라서 이동가능 하도록 그 안내홈(112a)을 관통하게 위치하는 조절축(162a)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재(110a)에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축(162a)는 안내홈(112a)로부터 회동체(142a)와 그리고 가동체(152a)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위치 하되, 그 조절축(162a)의 일단부는 가동체(152a)의 치홈(151a)의 내부로 위치되고, 반면에 타단부는 다리부재(110a)의 외측으로 위치된다.
상기 가동체(152a)의 치홈(151a)의 내부에 연장되어 그 치홈(151a)를 가로지르게 위치하는 조절축(162a)의 일단부에는 그 치홈(151a)과 치합 작용을 하도록된 조절치(161a)가 일체로 고정 되고, 그 조절축(162a)의 조절치(161a)과의 반대 단부에는 조절손잡이(164a)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142a)에는 조절축(162a)를 축지지 함에 사용하는 축지지공(146a)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170)은 다리부재들(110a, 110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고무밴드를 표시한 것으로, 그 다리부재들(110a, 110b)가 얼굴로부터 이탈됨이 없도록 머리에 결속 함에 사용된다. 또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의 외측면은 광고나 혹은 상표등을 부착 시킬수 있는 표시부(180)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결합 상태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평면도로서, 제1 지지후레임(120)의 회동체(142a, 142b)의 내부에 제2 지지후레임(130)의 가동체(152a, 152b)를 접동가능하게 위치 시킨 것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후레임(120)으로부터 제2 지지후레임(130)을 실선 위치로 이동 시키면서 각 망원렌즈들(122, 132)의 거리 조절을 할수가 있음을 표시한 것이다.
제 3 도는 제 2 도의 좌측면도로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을 다리부재(110b)에서 지지핀(143b)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 시킬수가 있음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다시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망원경(100)은 제1, 제2 망원렌즈들(122, 13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이동장치들(140a, 140b)를 개재하여 다리부재들(110a, 110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 조립함에 의해서 제 2 도의 표시와 같이 구성 할수가 있다.
이렇게 조립된 망원경(100)은 한쌍의 다리부재들(110a, 110b)에 형성된 귀 걸이부(114a, 114b)에 의해서 얼굴에 착용 할수가 있으며, 또한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를 얼굴에 견고하게 착용 하고져 할시에는 귀 걸이부(114a, 114b)에 설치된 고무밴드(170)을 사용하면 된다. 상기 고무밴드(170)은 신축성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의 머리의 크기에 상관 없이 용이하게 착용 할수가 있다. 또한 고무밴드(170)은 손상이 있을시에는 교환 할수가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제1, 제2 망원렌즈들(122, 132)의 촛점조절이 가능하게 그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거리 조절은 이동장치들(140a, 140b)에 있는 조절축들(162a, 162b)의 회전 조절에 의해서 실행할 수가 있다.
먼저,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간격을 이격되게 조절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의 표시에서 조절축들(162a, 162b)의 조절손잡이들(164a, 164b)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시키게 되면, 그 조절손잡이들(164a, 164b)와 일체로된 조절축들(162a, 162b)는 상기 다리부재들(110a, 110b)의 안내홈들(112a, 112b)와, 그리고 제1 지지후레임(120)의 회동체들(142a, 142b)의 축공들(146a, 146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조절축들(162a, 162b)에 일체로 설치되어 제2 지지후레임(130)에 있는 가동체들(152a, 152b)의 치홈들(151a, 151b)에 위치하고 있던 조절치들(161a, 161b)는 그 치홈들(151a, 151b)와 일체로 치합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절치들(161a, 161b)와 치홈들(151a, 151b)와의 치합 작동은, 상기 회동체들(142a, 142b)의 접동홈(141a)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되어있던 가동체들(152a, 152b)를 회동체들(141a, 141b)의 접동홈(141a)의 내부로 부터 제 2 도 표시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 되게 한다.
상기 가동체들(152a, 152b))의 전진이동은 그 가동체들(152a, 152b)와 일체로 결합조립된 제2 지지후레임(130)을 가동체들(152a, 152b)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제2 지지후레임(130)은 제1 지지후레임(120)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 시킬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제1, 제2 망원렌즈들(122, 132)의 촛점거리를 조절하면서 소망하는 사물을 볼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거리를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절하고져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손잡이들(164a, 164b)를 제 2 도 표시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된다.
상기 조절손잡이들(164a, 164b)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회전은 조절축들(162a, 162b)의 조절치들(161a, 161b)과 치홈들(151a, 151b)를 개재하여 치합 작동 되게한 가동체들(152a, 152b)를 제 2 도의 표시와 같이 화살표 b'방향으로 후진 이동되게 하므로서, 상기 제2 지지후레임(130)을 제1 지지후레임(120)과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이동량은 이동장치들(140a, 140b)의 조절축들(162a, 162b)의 회전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을 다리부재들(110a, 110b)의 상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의 조작일예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보통시에는 제 3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있게 되지만, 비 사용시에는 사용자들의 눈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인 상기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의 상부로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제 3 도 표시와 같이 평상시 다리부재(110b)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이동장치들(140b)의 회동체(142b)를 제 3 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 시키면 된다.
즉, 상기 회동체(142b)를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회동체(142b)는 지지핀(143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회동체(142b)의 회동시 그 내부에 수용된 가동체(152b)도 그 회동체(142b)와 같이 동일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에서 회동체(142b)를 지지핀(143b)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 시키는 순간, 상기 안내홈(112b)를 통하여 회동체(142b) 및 가동체(152b)를 관통하고 있는 조절축(162b)는 회동되는 회동체(142b) 및 가동체(152b)에 의해서 그 회전 방향과 동일한 화살표 c방향으로 작용되는 압압력을 받게 된다.
상기 조절축(162b)가 화살표 c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게되는 순간, 그 조절축(162b)는 상기 회동체(142b)와 같이 경사진 안내홈(112b)를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그 안내홈(112b)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안착홈부(116b)의 내부로 들어가서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조절축(116b)가 안내홈(112b)를 따라서 안착홈부(116b)에 위치 되면서 슬라이드됨이 종료되는 순간, 그 때까지 같이 회동되던 상기 회동체(142b)와 그리고 가동체(152b)는 제 3 도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상의 다리부재(110b)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며 위치하게 되고, 또한 가동체(142b)와 회동체(152b)에 일체로 결합되어 같이 회동하던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상기 다리부재(110b)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입설되는 회동체(142b)와 회동체(152b)에 의해서 다리부재(110b)의 상방으로 이동 되어져서 수평적으로 위치 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이 가상선 표시로 변동된 위치는 망원경 착용자들의 대략 이마와 머리부근에 해당된다.
상기 실시예와는 반대로 가상선위치로 회동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을 다시 실선 위치로 이동시에는 상기 회동체(142b)의 처음 회동방향과는 반대로 되는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된다.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이 가상선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에는 조절축(162b)는 안착홈부(116b)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게 되지만 상기 조절축(116b)는 화살표 d방향으로 가해지게 되는 약간의 가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조절축(162b)는 안착홈부(116b)로부터 용이하게 안내홈(112b)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120, 130)은 원래의 실선 위치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제 3도 )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동체(152b)를 회동체(142b)로부터 전진 이동시킨 상태에서 다리부재(110b)로부터 회동시키는 작용 일예를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망원렌즈들을 안경테와 같이 구성한 지지후레임들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그 망원렌즈 지지후레임들은 얼굴에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다리부재들에 의해서 착탈가능 하게 조립 결합한 것에 의해, 안경 형태로서 얼굴에 착용하여 사물을 관찰할수 있게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특히 망원렌즈를 비 사용시에는 렌즈의 지지후레임을 다리부재의 상방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시킬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갖게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거리 관찰이 가능하게 적어도 2개가 한쌍을 이루는 망원렌즈들을 갖는 망원경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는 안내홈들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귀 걸이부가 형성된 소정길이를 갖는 한쌍의 망원경다리부재;
    상기 제1망원렌즈들을 일체로 지지하고, 양단은 다리부재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소정 길이를 갖는 제1 지지후레임;
    상기 제2 망원렌즈들을 일체로 지지하고, 양단은 제1 지지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그 제1 지지후레임에 결합된 소정 길이를 갖는 제2 지지후레임; 및
    상기 제1, 제2 지지후레임들과 망원경다리부재들의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그 다리부재들로부터 어느 일방향으로 제1, 제2 지지후레임들을 일체적으로 회동 시키거나 혹은 상기 망원렌즈들의 촛점 조절이 가능하게 어느 하나의 지지후레임을 다른 하나의 지지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이동시키도록된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망원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다리부재들의 어느 일단부의 측벽면부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 되어 상기 제1 지지후레임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며, 그 제1 지지후레임과의 대향면에는 접동홈들이 형성된 소정 넓이를 갖는 회동체들;
    그 회동체들의 접동홈들로부터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어 제2 지지후레임의 양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양단이 개구된 치홈(齒溝)부들이 형성된 가동체들; 및
    상기 다리부재들의 안내홈들과 그리고 회동체들 및 가동체들을 관통하여 회전되게 결합한 조절축들과, 그 조절축들의 어느 일단에 일체로 설치하여 상기 가동체들의 치홈들과 교합되게한 조절치들과, 상기 조절축의 타단에 일체로 설치된 조절 손잡이들로된 조절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들은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며, 어느 일단부에는 그 안내홈들에서 대략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안착홈부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들의 어느 일측면들에는 광고용 표시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들의 귀 걸이부들에 착탈 할수 있게 설치된 결속용 고무 밴드를 더 포함하는 망원경.
KR2019960032589U 1996-10-02 1996-10-02 망원경 KR200157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89U KR200157399Y1 (ko) 1996-10-02 1996-10-02 망원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89U KR200157399Y1 (ko) 1996-10-02 1996-10-02 망원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439U true KR19980019439U (ko) 1998-07-15
KR200157399Y1 KR200157399Y1 (ko) 1999-09-15

Family

ID=1946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589U KR200157399Y1 (ko) 1996-10-02 1996-10-02 망원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39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75B1 (ko) * 2014-04-04 2014-08-14 주식회사 아이쏠 고글형 망원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399Y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0773A (en) Head mounted display configured to a user's physical features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EP2592463B1 (en) Lens receptor lock for glasses
JP6259765B2 (ja) 装着式双眼鏡
KR100848251B1 (ko) 확대경을 내장한 휴대전화기 커버
KR101550734B1 (ko) 의료용 루페
JPH06130304A (ja) 双眼鏡
JPH03144413A (ja) 装着式双眼鏡
JPH10293544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200157399Y1 (ko) 망원경
KR20170071169A (ko) 휴대용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JPH0931890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12239701A (ja) 検眼メガネ
KR100797545B1 (ko) 플립업 타입 의료용 루페장치
KR101550733B1 (ko) 고글형 의료용 루페
JPH05183838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JPH05191745A (ja) 眼鏡型映像表示装置
US20080198470A1 (en) Quick adjustment eyecup for optical viewing instruments
CN206649234U (zh) 视觉辅助设备
TWI682268B (zh) 穿戴式顯示裝置
JPH07131740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S5983128A (ja) 眼鏡
JP3836056B2 (ja) 自覚式検眼装置
KR101800118B1 (ko)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KR102436490B1 (ko) 착탈 가능한 고글타입 망원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