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118B1 -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 Google Patents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118B1
KR101800118B1 KR1020160052580A KR20160052580A KR101800118B1 KR 101800118 B1 KR101800118 B1 KR 101800118B1 KR 1020160052580 A KR1020160052580 A KR 1020160052580A KR 20160052580 A KR20160052580 A KR 20160052580A KR 101800118 B1 KR101800118 B1 KR 101800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elephoto
guide
telephoto lens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735A (ko
Inventor
이순미
이경록
이승기
Original Assignee
이순미
이경록
이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미, 이경록, 이승기 filed Critical 이순미
Priority to KR102016005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11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에 필요 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가 설치되고, 안경렌즈의 전방에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경과 망원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휴대가 편리한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안경다리에 망원렌즈가이드가 고정되고, 망원렌즈가이드에 제1망원렌즈부와 제2망원렌즈부가 설치되며, 필요 시 렌즈의 전방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경과 망원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Glasses with Telescopic Function}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다리에 필요 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대물렌즈와 접안렌즈가 설치되고, 안경렌즈의 전방에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경과 망원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고 휴대가 편리한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원경은 렌즈의 개수 및 렌즈 거리에 따라 배율이 결정되고 망원경의 크기가 결정된다. 망원경은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큰 부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먼 곳에 있는 물체를 확인하거나, 공연을 관람 시 망원경을 이용하면 좋으나, 부피가 크고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3-0018548호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안경식으로 구성된 망원 안경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대물렌즈와 접안렌즈가 항상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망원경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적이고, 사용자의 시력에 렌즈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안경렌즈가 2벌 존재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부피와 무게가 증가함으로써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KR 20-1993-0018548 U KR 20-2013-0002410 U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다리에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설치하고, 필요 시 펼쳐서 안경렌즈의 전방에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안경과 망원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안경렌즈와 별개로 대물렌즈와 접안렌즈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시력에 맞춘 안경렌즈를 통해서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를 바라볼 수 있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안경다리 쪽에서 필요시에만 꺼내 쓸 수 있도록 하여 부피가 작고, 휴대가 편리한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100); 상기 렌즈(100)가 결합되는 2개의 렌즈프레임(200); 상기 렌즈프레임(2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렌즈프레임(200)이 사람의 콧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코받침(400);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안경다리(500); 상기 2개의 안경다리(500)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망원렌즈가이드(600);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상기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망원렌즈부(700); 및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상기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망원렌즈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는, 상기 안경다리(5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바(610)와, 상기 가이드바(610)의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620)과, 상기 가이드바(61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610)과 구획되어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6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는 상기 제1가이드홈(620)에 끼워져 가이드되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끼움바(710)와, 상기 제1끼움바(710)의 끝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망원렌즈(7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는 상기 제2가이드홈(630)에 끼워져 가이드되어 직성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끼움바(810)와, 상기 제2끼움바(810)의 끝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망원렌즈(8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와 상기 제2망원렌즈(8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사물을 크고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는, 상기 제1끼움바(710)의 선단에 제1힌지구(7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구(7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렌즈고정구(7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가 부착될 수 있는 제1렌즈고정홈(7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으로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는, 상기 제2끼움바(810)의 선단에 제2힌지구(8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구(8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렌즈고정구(8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가 부착될 수 있는 제2렌즈고정홈(822)이 형성되되,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으로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끼움바(810)는 상기 제1끼움바(710)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제1끼움바(710)가 상기 제1가이드홈(620)에 끼워져 밀착되며, 상기 제2끼움바(810)가 상기 제2가이드홈(630)에 끼워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는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보다 앞선 위치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는, 상기 제1힌지구(7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돌기(732)와, 상기 제1힌지돌기(732)에서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1렌즈고정돌기(7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는, 상기 제2힌지구(8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힌지돌기(832)와, 상기 제2힌지돌기(832)에서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2렌즈고정돌기(8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2렌즈고정돌기(834)는, 상기 제1렌즈고정돌기(734)보다 더 앞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이 상기 제1렌즈고정돌기(734)에 끼워져 전면이 상기 가이드바(610)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이 상기 제2렌즈고정돌기(834)에 끼워져 전면이 상기 제1망원렌즈(720)의 후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는, 상기 가이드바(610)의 외측에서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버힌지구(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힌지구(6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와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을 덮어주어 먼지의 침투를 막아주는 먼지커버(9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먼지커버(900)는,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와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을 덮어주는 덮개부(910)와, 상기 덮개부(910)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힌지구(6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힌지구(912)와, 상기 덮개부(9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탈부착구(9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500)의 선단에는 상기 제2탈부착구(9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탈부착구(5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탈부착구(920)가 상기 제1탈부착구(510)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경다리(500)에 망원렌즈가이드(600)가 고정되고, 망원렌즈가이드(600)에 제1망원렌즈부(700)와 제2망원렌즈부(800)가 설치되며, 필요 시 렌즈(100)의 전방으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경과 망원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이드바(6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620)에 제1끼움바(710)가 끼워지고, 가이드바(6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530)에 제2끼움바(810)가 끼워져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제1끼움바(71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제1망원렌즈(710)가 설치되며, 제2끼움바(81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제2망원렌즈(810)가 설치되어 렌즈(100)의 전방으로 대물렌즈 역할을 하는 제1망원렌즈(720)와 접안렌즈 역할을 하는 제2망원렌즈(820)를 펼쳐서, 이들의 간격을 조절해서 먼 곳의 사물에 초점을 맞추어 크고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로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이드바(610)에 제1망원렌즈(720)가 밀착되게 접히고, 제2망원렌즈(820)가 제1망원렌즈(720)에 밀착되게 접힌 상태에서 덮개부(910)를 덮은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20)에 유입되는 먼지를 차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에서 먼지커버(900)를 열고, 제2망원렌즈부(8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2망원렌즈(820)를 펼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에서 제1망원렌즈부(7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망원렌즈(720)를 펼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뒤집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는, 렌즈(100), 렌즈(100)가 결합되는 2개의 렌즈프레임(200)과, 렌즈프레임(2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렌즈프레임(200)이 사람의 콧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코받침(400)과, 연결프레임(300)의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안경다리(500)와, 2개의 안경다리(500)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망원렌즈가이드(600)와,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망원렌즈부(700)와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망원렌즈부(800)와, 제1망원렌즈부(700)와 제2망원렌즈부(800)를 덮어주는 먼지커버(900)를 포함한다.
렌즈(100)는 2개의 렌즈프레임(200)에 끼워져 사용자의 눈 전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렌즈프레임(200)은 중앙에 연결프레임(300)을 통해 연결된다. 연결프레임(300)의 배면에는 사람의 콧등으로부터 렌즈프레임(200)이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코받침(400)이 형성된다.
아울러 연결프레임(300)의 양단에는 2개의 안경다리(50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안경다리(500)를 접음으로써 안경을 컴팩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안경다리(500)의 선단에는 먼지커버(900)을 임시로 탈부착할 수 있는 제1탈부착구(510)가 설치된다. 제1탈부착구(510)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을 수 있는 금속재가 사용된다.
망원렌즈가이드(600)는 2개의 안경다리(500)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망원렌즈가이드(600)에는 바 형상의 가이드바(610)와, 가이드바(610)의 전길이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제1가이드홈(620)과, 가이드바(610)의 전길이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된 제2가이드홈(630)과, 가이드바(610)의 외측에서 먼지커버(900)의 덮개부(910)가 힌지결합될 수 있는 커버힌지구(640)가 포함된다.
가이드바(610)는 안경다리(500)의 외측에 부착되는 중공형의 바이다. 가이드바(610)는 상부에 전길이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제1가이드홈(620)이 파여있다. 아울러 가이드바(620)의 하부에는 전길이에 걸쳐서 길이방향으로 제2가이드홈(630)이 파여있다. 제1가이드홈(620)과 제2가이드홈(630)은 구획되어 있다.
커버힌지구(640)는 가이드바(610)의 선단에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1망원렌즈부(700)는 제1가이드홈(620)에 끼워져 제1가이드홈(620)에 안내되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제1끼움바(710)와, 제1끼움바(710) 끝단에 구비되는 제1망원렌즈(720)를 포함한다. 제1끼움바(710)는 제1가이드홈(6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막대로 선단에 제1힌지구(712)가 형성되고, 제1힌지구(712)와 인접하게 제1걸림홈(714)이 형성된다.
제1망원렌즈(720)는 대물렌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끼움바(710)를 통해 렌즈(100)의 전방에서 제2망원렌즈(820)보다 앞선 위치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망원렌즈(720)에는 제1렌즈고정홈(722)이 형성된다.
제1렌즈고정구(730)는 제1힌지돌기(732)와 제1렌즈고정돌기(734)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제1힌지돌기(732)는 제1끼움바(710)에 형성된 제1힌지구(7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렌즈고정구(730)가 제1힌지구(7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제1망원렌즈(720)의 제1렌즈고정홈(722)이 제1렌즈고정돌기(734)에 끼워진다. 이로써 제1망원렌즈(720)는 제1끼움바(710)의 제1힌지구(712)에 고정된다. 제1망원렌즈(720)는 제1렌즈고정구(730)를 통해서 270도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망원렌즈(720)는 접혀있는 상태에서 시작하여 렌즈(100)와 나란하게 펼쳐질 수 있는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끼움바(710)의 끝단에는 제1걸림홈(7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망원렌즈(720)가 270도 반경으로 펼쳐지면 제1망원렌즈(720)의 측면이 제1걸림홈(714)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고, 렌즈(100)와 평행인 상태가 되도록 해준다.
반대로 제1망원렌즈(720)를 접을 때는 제1렌즈고정돌기(734)에 의해 가이드바(610)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제1망원렌즈(720)의 전면이 가이드바(610)의 외측에 밀착되어 접히게 된다.
제2망원렌즈부(800)는 제2가이드홈(630)에 끼워져 제2가이드홈(630)에 안내되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는 제2끼움바(810)와, 제2끼움바(810)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2망원렌즈(820)를 포함한다. 제2끼움바(810)는 제2가이드홈(6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막대로 선단에 제2힌지구(812)가 형성되고, 제2힌지구(812)와 인접하게 제2걸림홈(814)이 형성된다. 이때 제2끼움바(810)는 제1끼움바(710)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끼움바(710)와 제2끼움바(810)가 제1가이드홈(620)과 제2가이드홈(630)의 후단에 각각 밀착되었을 때, 제2끼움바(810)가 제1끼움바(710)보다 앞선 위치에 있게 된다.
제2망원렌즈(820)는 접안렌즈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끼움바(810)를 통해 렌즈(100)의 전방에서 제1망원렌즈(720)보다 후단에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망원렌즈(820)에는 제2렌즈고정홈(822)이 형성된다.
제2렌즈고정구(830)는 제2힌지돌기(832)와 제2렌즈고정돌기(834)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제2힌지돌기(832)는 제2끼움바(810)에 형성된 제2힌지구(8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렌즈고정구(830)가 제2힌지구(8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제2망원렌즈(820)의 제2렌즈고정홈(822)이 제2렌즈고정돌기(834)에 끼우진다. 이로써 제2망원렌즈(820)는 제2끼움바(810)의 제2힌지구(812)에 고정된다.
한편, 제2망원렌즈(820)는 제2렌즈고정구(830)를 통해서 270도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망원렌즈(820)는 접혀있는 상태에서 렌즈(100)와 나란하게 펼쳐질 수 있는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끼움바(810)의 끝단에는 제2걸림홈(8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망원렌즈(820)가 270도 반경으로 펼쳐지면 제2망원렌즈(820)의 측면이 제2걸림홈(814)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해주고, 렌즈(100)와 평행인 상태가 되도록 해준다.
반대로 제2망원렌즈(820)를 접을 때는 제2렌즈고정돌기(834)에 의해 제1망원렌즈(720)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제2망원렌즈(820)의 전면이 제1망원렌즈(720)의 후면에 밀착되어 접히게 된다.
먼지커버(900)는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2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제1망원렌즈부(700)와 제2망원렌즈부(800)를 덮어주어 먼지의 침투를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먼지커버(900)는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30)이 가이드바(610)에 밀착되도록 접힌 상태에서 안경다리(500)의 선단측에서 시작하여 제2만원렌즈(830)의 끝단을 덮어줄 수 있는 크기로 덮개부(910)가 형성된다. 덮개부(910)의 후단에는 덮개힌지구(912)가 형성된다. 덮개힌지구(912)는 커버힌지구(6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덮개부(910)의 선단에는 제2탈부착구(920)가 형성된다. 제2탈부착구(920)는 제1탈부착구(510)와 대응되는 것으로, 제1탈부착구(510)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가 사용된다.
덮개부(910)는 선단측을 열어주면 후단측에 위치한 덮개힌지구(912)를 축으로 열리게 되며, 반대로 선단측을 닫아주면 제2탈부착구(920)가 제1탈부착구(510)에 임시로 고정되면서 제1망원렌즈부(700)와 제2망원렌즈부(800)를 먼지로부터 보호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에서 먼지커버(900)를 열고, 제2망원렌즈부(8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2망원렌즈(820)를 펼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평상시에는 도 1과 같이 먼지커버(900)로 제1망원렌즈부(700)와 제2망원렌즈부(800)를 덮어준 상태에서 일반 안경으로 사용한다.
그러다가 먼 곳의 사물을 크고 정확하게 보고자 할 경우에 먼지커버(900)를 열고, 제2망원렌즈부(800)의 제2끼움바(8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제2망원렌즈(820)를 펼쳐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에서 제1망원렌즈부(7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망원렌즈(720)를 펼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망원렌즈(820)를 렌즈(100)와 평행이 되도록 펼쳐준다.
아울러 제2망원렌즈부(700)의 제1끼움바(71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준다. 제1끼움바(7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1망원렌즈부(720)를 펼쳐준다.
도 6은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2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후 제1망원렌즈(720)도 렌즈(100)와 평행이 되도록 펼쳐준다. 그러면 사용자의 시선이 렌즈(100)와 제2망원렌즈(820)와 제1망원렌즈(810)를 차례로 향하게 된다.
아울러 렌즈(100)와 제2망원렌즈(820)와 제1망원렌즈(720)가 차례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2망원렌즈(820)는 접안렌즈 역할을 하고, 제1망원렌즈(720)는 대물렌즈 역할을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망원렌즈(720)와 제2망원렌즈(820)를 각각 앞뒤로 이동시켜 크게 보고자 하는 사물에 초점을 맞춰주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가 시선이 향하는 먼 곳의 사물을 크고 정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100 : 렌즈
200 : 렌즈프레임
300 : 연결프레임
400 : 코받침
500 : 안경다리
510 : 제1탈부착구
600 : 망원렌즈가이드
610 : 가이드바 620 : 제1가이드홈 630 : 제2가이드홈
640 : 커버힌지구
700 : 제1망원렌즈부
710 : 제1끼움바 712 : 제1힌지구 714 : 제1걸림홈
720 : 제1망원렌즈 722 : 제1렌즈고정홈
730 : 제1렌즈고정구
732 : 제1힌지돌기 734 : 제1렌즈고정돌기
800 : 제2망원렌즈부
810 : 제2끼움바 812 : 제2힌지구 814 : 제2걸림홈
820 : 제2망원렌즈 822 : 제2렌즈고정홈
830 : 제2렌즈고정구
832 : 제2힌지돌기 834 : 제2렌즈고정돌기
900 : 먼지커버
910 : 덮개부 912 : 덮개힌지구
920 : 제2탈부착구

Claims (10)

  1. 렌즈(100);
    상기 렌즈(100)가 결합되는 2개의 렌즈프레임(200);
    상기 렌즈프레임(2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렌즈프레임(200)이 사람의 콧등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받쳐주는 코받침(400);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양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안경다리(500);
    상기 2개의 안경다리(500) 중 어느 하나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망원렌즈가이드(600);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상기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망원렌즈부(700); 및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에 끼워져 상기 렌즈(100)의 전방으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망원렌즈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는,
    상기 안경다리(500)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바(610)와, 상기 가이드바(610)의 상부측에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620)과, 상기 가이드바(610)의 하부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홈(620)과 구획되어 길이방향으로 파여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6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는 상기 제1가이드홈(620)에 끼워져 가이드되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끼움바(710)와, 상기 제1끼움바(710)의 끝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망원렌즈(7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는 상기 제2가이드홈(630)에 끼워져 가이드되어 직성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끼움바(810)와, 상기 제2끼움바(810)의 끝단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망원렌즈(8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와 상기 제2망원렌즈(8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사물을 크고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초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는,
    상기 제1끼움바(710)의 선단에 제1힌지구(7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구(7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렌즈고정구(7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가 부착될 수 있는 제1렌즈고정홈(722)이 형성되되,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으로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는,
    상기 제2끼움바(810)의 선단에 제2힌지구(8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구(8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렌즈고정구(8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가 부착될 수 있는 제2렌즈고정홈(822)이 형성되되,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으로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끼움바(810)는 상기 제1끼움바(710)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되,

    상기 제1끼움바(710)가 상기 제1가이드홈(620)에 끼워져 밀착되며, 상기 제2끼움바(810)가 상기 제2가이드홈(630)에 끼워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는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보다 앞선 위치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고정구(730)는,
    상기 제1힌지구(7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힌지돌기(732)와, 상기 제1힌지돌기(732)에서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1렌즈고정돌기(7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고정구(830)는,
    상기 제2힌지구(8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힌지돌기(832)와, 상기 제2힌지돌기(832)에서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되는 제2렌즈고정돌기(8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고정돌기(834)는,
    상기 제1렌즈고정돌기(734)보다 더 앞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망원렌즈(720)는 상기 제1렌즈고정홈(722)이 상기 제1렌즈고정돌기(734)에 끼워져 전면이 상기 가이드바(610)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기 제2망원렌즈(820)는 상기 제2렌즈고정홈(822)이 상기 제2렌즈고정돌기(834)에 끼워져 전면이 상기 제1망원렌즈(720)의 후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원렌즈가이드(600)는,
    상기 가이드바(610)의 외측에서 선단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버힌지구(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힌지구(6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와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를 덮어주어 먼지의 침투를 막아주는 먼지커버(9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커버(900)는,
    상기 제1망원렌즈부(700)와 상기 제2망원렌즈부(800)을 덮어주는 덮개부(910)와, 상기 덮개부(910)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힌지구(6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힌지구(912)와, 상기 덮개부(910)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2탈부착구(9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500)의 선단에는 상기 제2탈부착구(9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탈부착구(51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2탈부착구(920)가 상기 제1탈부착구(510)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KR1020160052580A 2016-04-29 2016-04-29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KR101800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80A KR101800118B1 (ko) 2016-04-29 2016-04-29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80A KR101800118B1 (ko) 2016-04-29 2016-04-29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35A KR20170123735A (ko) 2017-11-09
KR101800118B1 true KR101800118B1 (ko) 2017-12-20

Family

ID=6038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580A KR101800118B1 (ko) 2016-04-29 2016-04-29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1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35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182B2 (en) Modular lens adapters for mobile anterior and posterior segment ophthalmoscopy
JPH0238931B2 (ko)
SE538390C2 (en) Device for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US11471048B2 (en) Tele-microscopic magnifying attachment for bi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es
JP6259765B2 (ja) 装着式双眼鏡
KR101835874B1 (ko) 휴대용 단말기 헤드마운트 장치
KR101800118B1 (ko) 망원 기능이 구비된 안경
US6002517A (en) Flat, hands-free, convertible Keplerian binoculars
CN103119502B (zh) 具有带偏置弹簧的伸缩式铰链的眼镜架
KR101656430B1 (ko) 안경테에 거치되는 망원경 장치
CN111458899A (zh) 一种液体可调曲率的眼部防护装置
CN215642055U (zh) 一种可折叠式多功能化的充电式调光放大镜
EP3262458B1 (en) Portable vision assistance assembly
CN209356755U (zh) 一种望远镜调焦座
KR200239012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안경테
CN208672930U (zh) 一种多功能眼镜
KR200383968Y1 (ko) 절첩식 이중 돋보기 안경
JPH028260Y2 (ko)
JP3148919U (ja) 化粧用拡大具
KR101676766B1 (ko) 착탈식 보조안경
CN202306040U (zh) 佩带式调距观望眼镜
KR20210148717A (ko) 착탈 가능한 고글타입 망원경
USRE38224E1 (en) Flat, hands-free, convertible keplerian binoculars
CN114153068A (zh) 眼镜型显示装置及其遮光面罩
KR20120000828U (ko) 기능성 접이식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