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232A -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 Google Patents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232A
KR19980019232A KR1019970059098A KR19970059098A KR19980019232A KR 19980019232 A KR19980019232 A KR 19980019232A KR 1019970059098 A KR1019970059098 A KR 1019970059098A KR 19970059098 A KR19970059098 A KR 19970059098A KR 19980019232 A KR19980019232 A KR 1998001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crete
base plate
vibration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3970B1 (ko
Inventor
허규판
Original Assignee
허규태
주식회사 삼성산업
신세현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김동식
주식회사 보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규태, 주식회사 삼성산업, 신세현, 주식회사 삼성콘크리트, 김동식, 주식회사 보림기계 filed Critical 허규태
Priority to KR101997005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9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7Controlling the humidity during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herein the elements are reinforc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목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장착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부에 복수 개의 와이어 및 콘크리이트가 충전되는 금형부를 갖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 진동력을 가하는 진동 발생 수단과, 상기 금형부 내의 콘크리이트를 양생하기 위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형부내에 충전된 콘크리이트가 진동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콘크리이트의 밀도가 치밀하게 되어 양생 후 더욱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천막이 설치된 금형부 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자동 온도 조절되어 공급됨으로써 침목의 양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강성이 증대되며 코스트가 현저하게 절감된다.

Description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의 내부로 투입된 콘크리이트 원료에 진동을 주어 원료가 치밀하게 양생되도록 하여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복수 개의 침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레일이 설치되는 침목은 목재나 콘크리이트 등으로 제조되는데, 목재 침목은 중량이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반면 가격이 비싸고 산림의 훼손으로 자원을 고갈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콘크리이트 침목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목 형상을 갖는 금형(10) 내에 콘크리이트(C)를 투입하고 양생시킨 후 금형으로부터 양생된 침목을 취출하여 콘크리이트 침목을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이트 침목은 콘크리이트의 밀도가 낮아 강성 및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콘크리이트를 양생시킴으로 인하여 균일한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 내에 투입된 콘크리이트의 밀도를 높여서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콘크리이트의 양생이 증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침목의 양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는, 지면에 장착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부에 복수 개의 와이어 및 콘크리이트가 충전되는 금형부를 갖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 진동력을 가하는 진동 발생 수단과, 상기 금형부 내의 콘크리이트를 양생하기 위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형부내에 충전된 콘크리이트가 진동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콘크리이트의 밀도가 치밀하게 되어 양생 후 더욱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천막이 설치된 금형부 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자동 온도 조절되어 공급됨으로써 침목의 양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강성이 증대되며 코스트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베이스 판 21 : 금형 지지 부재
22 : 패드 23 : 금형
24 : 와이어 25 : 금형부
26 : 천막 지지대 27 : 진동 발생 수단
28 : 증기 히터 30 : 레일
C : 콘크리이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로서, 지면에 장착된 베이스 판(20)의 양측에는 복수 개의 금형 지지 부재(21)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금형 지지 부재(21)의 상측에는 신축성을 갖는 패드(22)를 개재하여 금형(2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22)는 금형(23)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신축성을 가지게 되는데, 재질은 고무재로 이루어짐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금형(23)은 상측에 콘크리이트(C) 및 보강 와이어(24)가 투입되는 금형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형부(25)의 상측에는 천막 등을 지지하는 활 모양의 천막 지지대(26)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금형(23)의 저면에는 금형부(25)내에 충전된 콘크리이트(C)에 진동을 가하여 밀도를 증대시키는 진동 발생 수단(27)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판(20)의 상측에는 증기를 발생시켜 금형부(25)내에 충전된 콘크리이트(C)를 양생시키기 위한 증기 히터(2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증기 히터(28)는 도시하지 않은 자동 온도 조절 장치에서 적정의 온도로 증기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판(20)의 양측에는 레일(30)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30)은 지면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이트부(31)내에 매설된 기초 빔(32)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기초 빔(32)은 콘크리이트부(31)내에 매설된 기초 볼트(33)의 상단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레일(30)에는 침목의 제조시 필요한 여러 장치, 예컨대 금형부(25)내에 콘크리이트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나 천막 지지대(26)의 상측에 천막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그리고 금형(23)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나 양생된 침목을 인출하기 위한 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30)의 일측에는 배수로(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로(34)의 상측에는 격자 모양의 뚜껑(35)이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는 금형부(25)의 내측면에 청결하게 청소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24)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면, 레일(30)의 상측으로 도시하지 않은 콘크리이트 투입 장치가 이동되어 적절하게 배합된 콘크리이트 원료를 금형부(25)의 내측으로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부(25)의 내측으로 투입된 콘크리이트(C)는 진동 발생 수단(27)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밀도가 매우 치밀하게 되며, 이어서 천막 지지대(26)의 상측으로 천막이 설치되면 증기 히터(28)가 작동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금형(23)은 진동시 금형 지지 부재(23)와의 사이에 신축성을 갖는 패드(22)가 개재됨에 따라 진동에 따른 충격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금형부(25)의 상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되면 그 내부에 충전된 콘크리이트(C)가 양생되고, 이어서 침목 인출 수단에 의해 금형부(25)로부터 침목이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목의 제조시 발생된 오염수 등은 배수로(34)를 통하여 별도의 집수 장소에 저류됨으로써 오수에 의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부내에 충전된 콘크리이트가 진동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콘크리이트의 밀도가 치밀하게 되어 양생 후 더욱 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며, 천막이 설치된 금형부 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공급됨으로써 침목의 양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양생된 침목의 강성이 증대되며, 이와 동시에 코스트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에 장착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측에 장착되며 상부에 복수 개의 와이어 및 콘크리이트가 충전되는 금형부를 갖는 금형과, 상기 금형에 진동력을 가하는 진동 발생 수단과, 상기 금형부 내의 콘크리이트를 양생하기 위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상측에는 천막을 설치하기 위한 천막 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베이스 판에 세워 설치된 복수 개의 금형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금형 지지 부재와 금형의 사이에는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패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
KR1019970059098A 1997-11-10 1997-11-10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KR100243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98A KR100243970B1 (ko) 1997-11-10 1997-11-10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098A KR100243970B1 (ko) 1997-11-10 1997-11-10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32A true KR19980019232A (ko) 1998-06-05
KR100243970B1 KR100243970B1 (ko) 2000-02-01

Family

ID=1952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098A KR100243970B1 (ko) 1997-11-10 1997-11-10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9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2531A (nl) * 1990-11-20 1992-06-16 Schokbeton Bv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voorgespannen betonnen dwarsliggers voor spoorrails, alsmede dwarsliggers vervaardigd onder toepassing van deze inrichting.
KR950017206U (ko) * 1993-12-23 1995-07-20 최기성 콘크리트 트로프(trough) 생산 방법
KR960000434A (ko) * 1994-06-29 1996-01-25 박창규 콘크리트 성형물의 연속 성형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3970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236B1 (ko) 탄성 레일 지지 블럭 조립체 제조방법
SE431667B (sv) System for anvendning vid gjutning av betonggolv samt sett och form for tillverkning av i systemet ingaende balkar
JP3895023B2 (ja) 機械基礎
KR20160100310A (ko) 탄성 레일 지지 블럭 조립체
KR100243970B1 (ko)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leeper)
CN106758563A (zh) 用于无砟轨道新旧混凝土粘结的轨枕构造及施工方法
CN215038687U (zh) 振动式脱模设备
JPH1060913A (ja) 機械設備の据付方法
DE69608985T2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Eisenbahnschienenunterstützung und nach dem Verfahren hergstellte Unterstützung
JP2007231517A (ja) 移動式型枠を用いて成形されたトンネルの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のための養生設備
DK1563728T3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riste til staldgulve til kvæg eller lignende
KR100918774B1 (ko) 줄눈 유도장치 및 시공방법
KR100668202B1 (ko) 연약지반의 강화장치
JPS5820771B2 (ja) 長尺のベンチ上で成型された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部材の脱型方法とその装置
JP7385495B2 (ja) まくら木の補修方法及びまくら木の補修構造とまくら木
JPH083901A (ja) 軌道構造におけるレベル調整工法
KR100243969B1 (ko) 콘크리이트 침목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leeper)
SU1675098A1 (ru) Пустотообразователь форм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шпал
ATE174084T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senbahngleisen
CN113279516B (zh) 加固型地铁预应力梁体及其制造方法
KR100233809B1 (ko) 접착력이 증대된 건축용 보강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보강판재
JP2612638B2 (ja) セメントパネル及びセメントパネルの製造方法
US1096057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rable, slab-like light-conducting body, mold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a light-conducting body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KR100368138B1 (ko) 슬래브교 보강방법
JP3791786B2 (ja) 弾性材下面のコンクリート気泡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