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29U -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29U
KR19980018929U KR2019960032341U KR19960032341U KR19980018929U KR 19980018929 U KR19980018929 U KR 19980018929U KR 2019960032341 U KR2019960032341 U KR 2019960032341U KR 19960032341 U KR19960032341 U KR 19960032341U KR 19980018929 U KR19980018929 U KR 19980018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mute
telephone
signal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32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929U/ko
Publication of KR19980018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2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링신호에 의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의 볼륨에 의해 전화기 링신호가 들리지 않을때를 대비한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디오에 내장된 마이컴의 뮤트제어 신호로 구동되는 뮤트발생부를 포함한 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전화기와 연결된 국선인 전화선로를 접속하여 구성한 후, 전화선로를 통해 통화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뮤트발생부를 구동시켜 오디오음이 뮤트되도록 한 특징을 지닌다.

Description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본 고안은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링신호에 의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의 볼륨에 의해 전화기 링신호가 들리지 않을때를 대비한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현대인의 다양한 욕구추세에 부응하여 각종의 전자제품 역시 다기능 및 고기능화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본 고안과 관련된 오디오 역시 예외일 수 없는 바, 마이크 믹싱, 에코기능, 잡음감쇄기능 등 다양한 고기능이 부가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따라 본 고안자도 오디오의 고기능부가에 연구하던중, 일시적으로 오디오음을 뮤트시키는 뮤트회로의 기능이 단순하게 이용됨을 인식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오디오의 뮤트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신호 처리부(3)를 통해 오디오음이 발생됨에 있어 마이컴(4)의 뮤트 제어출력으로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켜 오디오 신호 처리부(3)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뮤트시켜 주었는 바, 이는 단순히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적으로 마이컴(4)에 입력시켜 뮤트 처리함으로써 가변의 상황조건 특히, 전화링신호가 들리지 않을 정도로 오디오 볼륨을 크게 하는 등에서의 적절히 대응치 못했다.
따라서, 가변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오디오 뮤트회로가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화선로를 오디오를 거쳐 전화기로 연결하되 전화기 링신호가 감지될때 자동으로 오디오음이 뮤트되게 회로를 구성함으로서, 오디오의 볼륨에 의한 전화기 링신호가 들리지 않을때 효과적인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개략적인 제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오디오,2 - 전화기,
11 - 마이컴,13 - 뮤트발생부,
29 - 링거회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디오에 내장된 마이컴의 뮤트제어 신호로 구동되는 뮤트발생부를 포함한 오디오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전화기와 연결된 국선인 전화선로를 접속하여 구성한 후 전화선로를 통해 통화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뮤트발생부를 구동시켜 오디오음이 뮤트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마이컴과 전화기에 포함된 훅크스위치를 연결하되 훅크스위치의 온신호시에는 뮤트음출력이, 훅크스위치의 오프신호시에는 뮤트음 출력이 해제되게 구성되도록 한 다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제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도이다.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1)은 프리앰프(12), 메인앰프(14), 스피커(15)를 통해 증폭된 오디오음이 발생되도록 한 오디오로서, 상기 프리앰프(12)와 메인앰프(14) 사이로 저항(R1-R3), 트랜지스터(Q)로 구비된 뮤트발생부(13)와, 상기 뮤트발생부(13)를 뮤트 제어함과 아울러, 오디오 전체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컴(11)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1)과 국선인 전화선로(T,R)와 접속하며, 상기 전화선로(T, R)에는 후술하는 전화기(2)와 연결된다.
(2)는 전화기로서, 전화기용 마이컴(27)과, 통화음성신호를 처리하는 통화회로(28)와, 상기 전화선로(T,R)의 통화전원을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21)와, 온/오프 훅크신호를 발생하는 훅크스위치(22)와, 상기 훅크스위치(22)의 출력을 수신하여 통화루프를 형성 또는 단절하도록 저항(R4-R5) 및 트랜지스터(Q2,Q3)로 구성된 선로제어부(23)와, 코일(L) 및 다이오드(D)로 구성되어 통화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24) 및 배터리(25)와, 상기 전화선로(T,R)에 연결되어 링신호 수신시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거회로(29)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1)용 마이컴(11)과 전화기(2)에 포함된 훅크스위치(22)를 연결하여 훅크스위치(22)의 온신호시에는 뮤트음출력이, 훅크스위치(22)의 오프신호시에는 뮤트음 출력이 해제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화기(2)의 링신호에 따라 오디오 뮤트출력을 제어하는 바, 먼저 국선인 전화선로(T,R)를 통해 링신호가 오디오(1)의 마이컴(11)과 이와 연결된 전화기(2)에 인가되면 마이컴(11)은 프리앰프(12), 메인앰프(14), 스피커(15)를 통해 증폭된 오디오음을 트랜지스터(Q)를 도통시킨 뮤트발생부(13)로 뮤트 제어하여 오디오음이 들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화기(2)에 인가된 신호는 링거회로(29)에 의해 링신호가 발생하고 이에따라 사용자에 의해 훅크스위치(22) 온상태(오프-훅크)이면 브릿지 다이오드(21)는 전화선로(T,R)부터 공급되는 통화전원을 정류한다.
그러면 선로제어부(23)의 트랜지스터(Q2)가 온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의 턴온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면 마이컴(27) 및 통화회로(28)로 브릿지 다이오드(21)의 출력이 인가된다. 이후, 전화선로(T,R)와 통화회로(28)간에 통화루프가 형성되어 음성통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3)를 통하는 브릿지 다이오드(21)의 출력에는 직류신호에 음성의 교류신호가 실려 있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동작과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뮤트음 출력제어는 상기 오디오용 마이컴(11)과 전화기(2)에 포함된 훅크스위치(22)과 연결된 상태인 관계로 훅크스위치(22)의 온신호시에는 계속적으로 뮤트음출력이 발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오디오음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계속적인 통화가 가능하다.
그런후, 훅크스위치 오프상태(온-훅크)이면, 온-훅크 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되므로 통화루프가 단절된다.
이와동시에 오디오 마이컴(11)은 상기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는 즉, 뮤트발생부(13)를 뮤트해제시켜 프리앰프(12), 메인앰프(14), 스피커(15)를 통해 증폭된 오디오음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링신호시 오디오볼륨을 뮤트시켜 전화링 신호가 잘 들리도록 하는 반면, 전화선로가 단절되면 자동으로 뮤트출력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특히, 오디오의 볼륨에 의해 전화기 링신호가 들리지 않는 곳에서 유용하다.

Claims (2)

  1. 오디오(1)에 내장된 마이컴(11)의 뮤트제어 신호로 구동되는 뮤트발생부(13)를 포함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1)에 전화기(2)와 연결된 국선인 전화선로(T,R)를 접속하여 구성한 후, 전화선로(T,R)를 통해 통화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마이컴(11)의 제어신호로 뮤트발생부(13)를 구동시켜 오디오음이 뮤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1)과 전화기(2)에 포함된 훅크스위치(22)를 연결하되 훅크스위치(22)의 온신호시에는 뮤트음출력이, 훅크스위치(22)의 오프신호시에는 뮤트음 출력이 해제되게 구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KR2019960032341U 1996-09-30 1996-09-30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KR199800189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341U KR19980018929U (ko) 1996-09-30 1996-09-30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341U KR19980018929U (ko) 1996-09-30 1996-09-30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29U true KR19980018929U (ko) 1998-07-06

Family

ID=53978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341U KR19980018929U (ko) 1996-09-30 1996-09-30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92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14B1 (ko) * 2002-09-06 2009-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14B1 (ko) * 2002-09-06 2009-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볼륨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879A (en) Computer telephony headset amplifier
US5896450A (en) Automatically variable circuit of sound level of received voice signal in telephone
US5172408A (en) Speakerphone state-controlled alerting arrangement
KR19980018929U (ko)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KR20000049768A (ko)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JP3289453B2 (ja) 信号切換装置
US7003092B1 (en) Automated microphone switch controlled by a CTI combo
KR19980076829A (ko) 전화신호에 의한 오디오 음량 조절회로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JP200226194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10290282A (ja) ハンズフリー制御回路
JP4368064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JPS62227249A (ja) ドアホン回路
JPH051167Y2 (ko)
JP3342617B2 (ja) ドアホン装置
JPS6292645A (ja) 電話機回路
JPS63135056A (ja) インタ−ホンシステム
KR20010026852A (ko) 컴팩트 핸즈프리 장치
JPH01154661A (ja) 電話機
JPS6351754A (ja) 電話応答方式
KR19990055344A (ko) 모니터의 오디오신호 뮤트방법
KR19990056087A (ko) 스피커폰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JPS63268340A (ja) 電話回線接続回路
JPH071625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