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9768A -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9768A
KR20000049768A KR1020000022915A KR20000022915A KR20000049768A KR 20000049768 A KR20000049768 A KR 20000049768A KR 1020000022915 A KR1020000022915 A KR 1020000022915A KR 20000022915 A KR20000022915 A KR 20000022915A KR 20000049768 A KR20000049768 A KR 20000049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charging
rectifying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배
Original Assignee
전한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한배 filed Critical 전한배
Priority to KR102000002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9768A/ko
Publication of KR2000004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7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중 전화가 걸려오면 일정 횟수 전화벨이 울린 후 사용자가 별도로 뚜껑을 열거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신이 되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본체(5)의 측면에 핸드폰의 이어폰 플러그와 연결되는 이어폰 잭(J1), 시가 잭과 연결되는 DC전원 잭(J2)을 설치하고, 이 본체(5)의 상면에는 통화종료 스위치(S1), 마이크로 폰(MIC), 충전완료LED(L1), 충전중LED(L2), 통화중LED(L3)를 설치하여 전화가 걸려오면 3번 벨이 울린 후 자동적으로 수신 모드가 되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체(5)의 내부에 입력되는 착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프리앰프(10)를 구비하고 이의 출력단에 정류회로(20)를 접속하여 입력신호를 정류하도록 하며, 이 정류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인 사이리스터(SCR4)가 온 되어 메인 회로에 전원(B+)이 자동 공급되도록 하며, 발진회로(40)가 발진하여 발진이 3초간 이루어진 후 다시 지연회로(50)에 의해 발진신호가 0.5초간 지연되어 3번 벨이 울린 후 자동 수신 모드가 되도록 한 것으로 운전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덮개를 여는 부수적인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져 안전운행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Automatic received hand free device}
본 발명은 핸드 프리 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중 전화가 걸려오면 일정 횟수 전화벨이 울린 후 사용자가 별도로 뚜껑을 열거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수신이 되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 중 핸드폰을 사용할 경우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통화에 치중하다 보면 운전에 부주의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최근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는 국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운전 중 핸드폰의 사용에 따른 폐단을 방지하고자 차량의 운전석 전면부근에 별도로 마이크와 스피커 등을 구비하여 통화시 운전자가 휴대폰을 잡지 않고도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강구되고 있으나, 이러한 수단에 있어서도 전화가 걸려오면 운전자가 반드시 버튼을 누르는 등의 별도의 동작을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중 전화가 걸려오면 운전자가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아도 벨이 일정횟수 울린 후 자동적으로 수신이 되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의 본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리 앰프 20:정류회로
30:충전회로 40:발진회로
50:지연회로 60:메인 앰프
MIC:마이크 SP: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면에 핸드폰의 이어폰 플러그와 연결되는 이어폰 잭, 시가 잭과 연결되는 DC전원 잭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통화종료 스위치, 마이크로 폰, 충전완료LED, 충전중LED, 통화중LED가 설치되는 본체 내부에, 상기 이어폰 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착신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프리앰프, 상기 프리앰프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메인 회로에 전원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회로, 본체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 상기 착신신호가 입력되어 정류회로를 통하여 정류되면 소정 시간동안 발진을 수행하는 발진회로, 상기 정류회로와 발진회로사이에 접속되어 발진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프리앰프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메인 앰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진회로와 지연회로에 의해 발진신호가 소정시간 지연 출력된 후 자동 수신 모드가 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충전회로와 배터리가 본체에 일체형으로 내장되어 와이어레스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드 프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 본체(5)의 일측 상단에 통화 종료 스위치(S1)가 설치되고, 마이크로 폰(MIC), 충전 완료 LDE(L1), 충전중 LED(L2), 통화중 LED(L3)가 차례로 설치되며, 측면에 이어폰 잭(J1)과 시거잭으로 부터의 DC 전원 잭(J2)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이어폰 잭(J1)을 통하여 입력되는 착신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프리앰프(10)와, 상기 프리앰프(10)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20)와, 상기 정류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어 메인 회로에 전원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회로()와, 상기 본체(5)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회로(30)와, 상기 착신신호가 입력되어 정류회로(20)를 통하여 정류되면 소정 시간동안(예를 들어, 3초) 발진을 수행하는 발진회로(40)와, 상기 정류회로(20)와 발진 회로(40)사이에 접속되어 발진회로(40)의 발진신호를 소정시간동안(예를 들어 0.5초) 지연시키는 지연회로(50)와, 상기 프리앰프(1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SP)로 출력시키는 메인 앰프(60)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세 회로도로, 프리앰프(10)가 콘덴서(C1-C3), 저항(R1-R3), 트랜지스터(Q1)로 이루어져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회로(20)가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로 이루어져 입력신호를 정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회로(30)는 본 발명의 핸드 프리 장치에 내장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발진회로(40)는 트랜지스터(Q2)(Q3), 콘덴서(C5)(C6), 저항(R4-R7)으로 이루어져 3초간 발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연회로(50)는 제너 다이오드(ZD), 저항(R8-R12), 콘덴서(C7)(C8), 가변저항(VR1), 사이리스터(SCR1-SCR3), 착신 스위치(S5)로 이루어져 약 0.5초간 신호를 지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메인 앰프(60)는 앰프(AMP)와 저항(R13)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리앰프(10)의 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SP)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S1, S2는 연동되어 작동되는 오프 버튼이고, S3는 잭 스위치, S4는 수신/발신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핸드폰의 이어폰 잭을 본체(5)의 이어폰 플러그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잭 스위치(S3)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회로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운전자가 핸드폰의 이어폰 잭을 본체(5)에 부착된 이어폰 플러그에 삽입하면 상기 잭 스위치(S3)가 온 되면서 자동으로 대기상태(절전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핸드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착신 신호가 이어폰 잭(J1)을 통하여 본체(5)내로 입력되어 프리앰프(10)의 트랜지스터(Q1)를 통하면서 소정레벨로 증폭된다.
이때, 통화 종료 스위치(S1)(S2)는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으로, 통화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와 같이 증폭된 신호는 콘덴서(C2)를 통하여 다이오드(D1)와 콘덴서(C4)로 구성된 정류회로(20)를 거쳐 DC로 변환되어 사이리스터(SCR4)의 게이트에 인가되므로 스위칭 소자인 사이리스터(SCR4)가 턴 온 된다.
따라서, 사이리스터(SCR4)가 턴 온 되면 전원(B+)이 메인 회로에 공급되며, 배터리(B)의 전원이 메인 앰프(60)의 양단에 인가되어 앰프(AMP)가 동작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발진회로(40)가 3초간 발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진회로(40)에서 발진한 주파수를 지연회로(50)에서 0.5초간 지연시켜 통화스위치(S5)를 온 시키므로 결과적으로 3.5초간 벨소리가 3번 울리게 되고, 이후 스피커(SP)를 통하여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어 자동 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벨소리와 함께 상대자의 음성을 최적의 음질로 증폭하여 스피커(SP)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벨이 3번 울려 전화가 온 것을 알린 후 자동적으로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어 운전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덮개를 여는 등의 부가적인 행동을 취할 필요가 없어져 운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본체(5)의 상단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MIC)을 통하여 자신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마이크로 폰(MIC)을 통하여 입력되는 운전자의 음성이 이어폰 잭을 통하여 핸드폰으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통화가 끝나면 운전자는 도 1과 같은 본체(5)의 상단에 돌출 설치된 통화종료 스위치(S1)를 간단히 누르면 스위치(S1)가 온 되면서 이 스위치(S1)와 연동된 스위치(S2) 또한 온 되어 접지 측에 접속되므로 자동으로 대기상태가 되면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충전회로(30)에 연결하지 않고 별도로 와이어레스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B)전원을 충전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5)의 DC 전원 잭(J2)을 시가 잭 접속구와 연결하여 차량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본체(5)내부에 내장된 배터리(B)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DC전원 잭(J2)과 시가 잭을 연결하면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LED(L2)가 점등되면서 충전을 시작하고,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완료 LED(L1)가 점등되어 충전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히 차량의 운전석 부근에 본체를 고정시키고 핸드폰의 이어폰과 시가 잭을 본체의 이어폰 잭과 DC 전원 잭에 연결시키기만 하면 전화가 걸려왔을 때 일정 횟수의 벨이 울린 후 자동적으로 수신이 이루어져 운전자가 별도의 부수적인 동작을 취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전화가 걸려와도 운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통화를 할 수 있어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측면에 핸드폰의 이어폰 플러그와 연결되는 이어폰 잭, 시가 잭과 연결되는 DC전원 잭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통화종료 스위치, 마이크로 폰, 충전완료LED, 충전중LED, 통화중LED가 설치되는 본체 내부에,
    상기 이어폰 잭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화 착신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프리앰프, 상기 프리앰프를 통하여 증폭된 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메인 회로에 자동으로 전원(B+)을 공급하는 스위칭회로, 상기 스위칭회로의 스위칭에 의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회로, 상기 착신신호가 입력되어 정류회로를 통하여 정류되면 소정 시간동안 발진을 수행하는 발진회로, 상기 정류회로와 발진회로사이에 접속되어 정류회로를 거친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상기 프리앰프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레벨로 재차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메인 앰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회로와 지연회로에 의해 발진신호가 소정시간 지연 출력되고 자동 수신 모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 핸드 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와 배터리를 본체에 일체형으로 내장하여 본체를 와이어레스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KR1020000022915A 2000-04-28 2000-04-28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KR200000497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15A KR20000049768A (ko) 2000-04-28 2000-04-28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15A KR20000049768A (ko) 2000-04-28 2000-04-28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768A true KR20000049768A (ko) 2000-08-05

Family

ID=1966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15A KR20000049768A (ko) 2000-04-28 2000-04-28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976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70A (ko) * 2000-07-22 2001-04-06 양현민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회로
KR20010025174A (ko) * 2000-07-29 2001-04-06 양현민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방법 및 착신회로
KR20020011732A (ko) * 2000-08-04 2002-02-09 임재용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KR20020033279A (ko) * 2000-10-30 2002-05-06 설양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
KR100385336B1 (ko) * 2000-11-20 2003-05-27 이남용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6949A (ko) * 2002-09-27 2004-04-01 황선원 자동 온/오프 후크 전화기 및 그의 자동 온/오프 후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170A (ko) * 2000-07-22 2001-04-06 양현민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회로
KR20010025174A (ko) * 2000-07-29 2001-04-06 양현민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방법 및 착신회로
KR20020011732A (ko) * 2000-08-04 2002-02-09 임재용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KR20020033279A (ko) * 2000-10-30 2002-05-06 설양 휴대폰의 핸즈프리 장치
KR100385336B1 (ko) * 2000-11-20 2003-05-27 이남용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26949A (ko) * 2002-09-27 2004-04-01 황선원 자동 온/오프 후크 전화기 및 그의 자동 온/오프 후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9500261L (sv) Radiotelefonapparat innefattande en trådlös huvudmikrotelefon
KR20000049768A (ko)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KR100408738B1 (en) Mobile terminal having effect sound/background sound output function by using engaged key button
KR20030026429A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US6574341B1 (en) Hand-free switch device for wireless intercom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200247574Y1 (ko) 휴대폰 단말기에 악서세리로 부착하는 스피커 폰
JPS63119350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JPH0951369A (ja) 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付き電話装置
JPH0448040Y2 (ko)
KR20030069471A (ko) 음향 입출력장치 및 이를 적용한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KR100367283B1 (ko)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KR200255401Y1 (ko) 휴대폰및 음향기기에 동시사용할수 있는 착탈 분리형이어마이크로폰 만능제어장치
KR200216357Y1 (ko) 시가잭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87141Y1 (ko) 듀얼 마이크 이어폰
KR200252624Y1 (ko)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과 음향기기의 리모콘에연결하여 동시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착탈분리형 만능 제어장치
KR860001397Y1 (ko) 전화기용 보청장치
KR19990084177A (ko) 이동 무선 전화기용 핸즈프리 키트
KR200204514Y1 (ko) 이어폰형과 차량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통화보조용 핸즈프리 장치
KR20040060056A (ko) 이동 단말기의 착신 모드 및 착신 모드의 설정 및 해제방법
KR200240922Y1 (ko) 비접촉식수신전용전화기
JPH0456448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9980018929U (ko) 전화기 링신호시 오디오 뮤트 출력 회로
JPH10247969A (ja) 携帯電話用ハンズフリ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