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732A -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732A
KR20020011732A KR1020000045220A KR20000045220A KR20020011732A KR 20020011732 A KR20020011732 A KR 20020011732A KR 1020000045220 A KR1020000045220 A KR 1020000045220A KR 20000045220 A KR20000045220 A KR 20000045220A KR 20020011732 A KR20020011732 A KR 20020011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de
ring data
mobile phone
cellular phone
portab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근
Original Assignee
임재용
(주)에스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용, (주)에스지텔레콤 filed Critical 임재용
Priority to KR102000004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1732A/ko
Publication of KR2002001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의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와 거치대의 스피커 및 마이크 사이에 송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자동 응답모드시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와 기준 링 데이터를 대비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 휴대전화에서의 착신상태를 확인하고, 착신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PU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로 상대방과 통화함에 있어, 운전자는 아무런 조작없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갖는다.

Description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A call mode automatic switching apparatus of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로 상대방과 통화함에 있어, 운전자는 아무런 조작없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기술이 빠른 속도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나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전화까지 등장하였다.
이러한 휴대전화는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단말기로서의 기능에서 벗어나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휴대전화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부가장치들 연시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을 직접 운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는 차량 내에 별도로 설치된 핸즈프리장치의 거치대에 휴대전화를 결합시켜 배터리의 충전기능과 스피커폰 기능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시거단자에 시거잭을 연결하여 차량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전화의 배터리에 충전하고, 마이크와 스피커 및 증폭기를 이용하여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 전화를 걸거나 혹은 전화를 받는 경우 손으로 직접 휴대전화의 통화/대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통화모드로 절환하고 다이얼링해야 하거나 혹은 걸려온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통화/대기 스위치의 조작으로 통화모드를 설정한 후 다른 사람과의 음성통화를 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가 끝난 후에는 다시 통화/대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대기모드로 복귀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을 운전하는 중에 휴대전화를 이용한 전화통화시 한 손으로 운전을 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휴대전화를 조작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집중력이 떨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결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1997. 12. 31 자 특허출원 제 82612호에서는 음성을 이용하여 휴대전화의 통화/대기 절환 및 다이얼링까지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회로를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고 고도한 음성 처리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로 상대방과 통화함에 있어, 운전자는 아무런 조작없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거치대 11 : 오디오 처리부
12 : 충전부 13 : 증폭기
14 : 비교기 15 : CPU
Vref : 기준 링 데이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는, 휴대전화의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와 거치대의 스피커 및 마이크 사이에 송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자동 응답모드시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와 기준 링 데이터를 대비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 휴대전화에서의 착신상태를 확인하고, 착신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핸즈 프리(hands free)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는 상기 휴대전화 배터리에서의 전압변동을 검출하여 착신에 따른 링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휴대전화로부터의 링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일정 회수의 링 데이터가 수신되고 나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최초 링 데이터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휴대전화의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와 거치대(10)의 스피커(speaker) 및 마이크(mic) 사이에 송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11)와, 차량의 시거단자로부터의 전원을 휴대전화의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부(12)와, 자동 응답모드시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에서출력되는 링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13)와, 증폭기(13)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와 기준 링 데이터(Vref)를 대비하는 비교기(14)와, 비교기(14)의 출력레벨에 따라 휴대전화에서의 착신상태를 확인하고, 착신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PU(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는 통상적인 휴대전화 배터리에서의 전압변동을 검출하여 착신에 따른 링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거치대(10) 내의 CPU(15:central processing unit)는 휴대전화로부터의 링 데이터(ring data)를 카운팅하여 일정 회수의 링 데이터가 수신되고 나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로부터 최초 링 데이터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전화를 거치대(10)에 장착하고, 휴대전화의 이어폰잭에 거치대(10)의 오디오 처리부(11)에 연결된 이어폰 라인을 그리고 충전부(12)를 차량의 시거단자에 연결하게 되면, 충전부(12)가 휴대전화의 배터리와 연결되면서 차량의 전원이 휴대전화의 배터리에 충전된다.
이렇게 휴대전화의 배터리에 차량의 전원을 충전하는 중에 자동 응답모드가 설정되면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는 배터리의 전압변동을 감시하여 착신상태를 검출한다. 즉, 링 데이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배터리의 전압변동, 즉 링 데이터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을 타고 증폭기(13)에 입력되어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비교기(14)의 하나의 입력단에 입력된다.
이때 비교기(14)의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는 기준 링 데이터(Vref)가 입력되는데, 이는 휴대전화에 전화가 착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전화의 배터리에서 검출되는 전압상태를 말한다. 즉, 착신시 휴대전화의 배터리의 전압변동과 비교될 수 있는 전압을 말한다.
이어서, 비교기(14)는 증폭기(13)로부터의 링 데이터와 기준 링 데이터(Vref)를 대비하여 그 결과를 CPU(15)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CPU(15)는 비교기(14)의 출력레벨에 따라 휴대전화의 착신상태를 판단한다. 물론 아래에서와 같이 CPU(15)는 링 데이터의 수신시간이나 링 데이터의 수신회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에서의 통화모드 절환시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착신시 휴대전화의 이어폰잭에 연결된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여 통화상태로 절환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로부터의 음성이 이어폰 라인을 통해 오디오 처리부(11)에 인가되어 처리된 후 스피커로 출력되고, 마이크에 의해 수집된 음성은 오디오 처리부(11)에 의해 처리되어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된다. 그러므로 운전자(사용자)는 운전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착신시 아무런 조작없이도 상대방과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로 상대방과 통화함에 있어, 운전자는 아무런 조작없이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휴대전화의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와 거치대의 스피커 및 마이크 사이에 송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에 있어서,
    자동 응답모드시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를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링 데이터와 기준 링 데이터를 대비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레벨에 따라 휴대전화에서의 착신상태를 확인하고, 착신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이어폰 라인을 통해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PU;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의 링 데이터 검출부는, 상기 휴대전화 배터리에서의 전압변동을 검출하여 착신에 따른 링 데이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휴대전화로부터의 링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일정 회수의 링 데이터가 수신되고 나서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자동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휴대전화로부터 최초 링 데이터가 검출되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 후 휴대전화를 통화모드로 절환하기 위한 통화모드 절환신호를 휴대전화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KR1020000045220A 2000-08-04 2000-08-04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KR20020011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220A KR20020011732A (ko) 2000-08-04 2000-08-04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220A KR20020011732A (ko) 2000-08-04 2000-08-04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35U Division KR200211440Y1 (ko) 2000-08-04 2000-08-04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절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732A true KR20020011732A (ko) 2002-02-09

Family

ID=1968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220A KR20020011732A (ko) 2000-08-04 2000-08-04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17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52B1 (ko) * 2002-02-19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음성 다이얼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523A (ko) * 1994-08-29 1996-03-22 박성규 전화기의 자동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970004525A (ko) * 1995-06-07 1997-01-29 김주용 전화기에서 자동통화 구현 방법
KR970008986A (ko) * 1995-07-20 1997-02-24 구자홍 셀룰라폰의 이어폰-마이크 사용시 자동 오프-후크 방법
KR19990016463A (ko) * 1997-08-16 1999-03-05 정태기 차량내 이동전화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9990024223A (ko) * 1998-12-22 1999-03-25 이각종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20000049768A (ko) * 2000-04-28 2000-08-05 전한배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KR20000058808A (ko) * 2000-06-30 2000-10-05 서공원 차량용 핸드프리 착신신호 구동장치 및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523A (ko) * 1994-08-29 1996-03-22 박성규 전화기의 자동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970004525A (ko) * 1995-06-07 1997-01-29 김주용 전화기에서 자동통화 구현 방법
KR970008986A (ko) * 1995-07-20 1997-02-24 구자홍 셀룰라폰의 이어폰-마이크 사용시 자동 오프-후크 방법
KR19990016463A (ko) * 1997-08-16 1999-03-05 정태기 차량내 이동전화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9990024223A (ko) * 1998-12-22 1999-03-25 이각종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20000049768A (ko) * 2000-04-28 2000-08-05 전한배 자동 수신 핸드 프리 장치
KR20000058808A (ko) * 2000-06-30 2000-10-05 서공원 차량용 핸드프리 착신신호 구동장치 및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52B1 (ko) * 2002-02-19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음성 다이얼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5955A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CN101119399B (zh) 蓝牙喇叭
JP2003125069A (ja) 携帯電話のイヤホーンジャックに連結可能なスピーカモジュール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211440Y1 (ko)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절환장치
KR20020011732A (ko) 핸즈 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의 통화모드 자동 절환장치
KR19990024488A (ko) 차량 전화기의 핸즈 프리 장치
KR100306487B1 (ko) 핸드프리용 스피커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KR100393631B1 (ko) 이어폰-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음성안내 방법
KR200178691Y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프리웨이 스피커 폰 장치
KR200303580Y1 (ko) 충전크레들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KR200249937Y1 (ko)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영상휴대폰 장치
KR20020006862A (ko) 핸즈프리킷의 자동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249936Y1 (ko)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 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휴대폰장치
KR20000049382A (ko) 셀룰라폰의 핸즈 프리셋
KR200249938Y1 (ko) 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52043Y1 (ko) A/v 볼륨 자동 조절장치가 내장된 핸즈프리
KR970008675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발신장치 및 그 방법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00041316A (ko) 핸즈프리 장치에서 무선단말기 전원 오프 방법
JPH11196173A (ja) 通信装置
KR200258278Y1 (ko) 영상휴대폰과 한 조가 된 음성인식을 가능케 하고인터럽트발생기를 구비한 핸즈프리 장치
KR200283859Y1 (ko) 음성인식 다이얼 기능을 구비한 핸즈프리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