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827U -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827U
KR19980018827U KR2019960032239U KR19960032239U KR19980018827U KR 19980018827 U KR19980018827 U KR 19980018827U KR 2019960032239 U KR2019960032239 U KR 2019960032239U KR 19960032239 U KR19960032239 U KR 19960032239U KR 19980018827 U KR19980018827 U KR 199800188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key
photo sensor
engine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우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2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8827U/ko
Publication of KR19980018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82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또는 시동을 걸 때 사용되는 키 스위치에 센서홀을 형성하여 키 실린더의 포토 센서 구동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기 신호를 발광부에서 빛으로 변환하고 수광부에서 다시 전기 신호로 환원하여 광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1)와 ; 상기 포토 센서(1)로 부터 검출된 광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 출력하는 비교기(2) ; 상기 비교기(2)로 부터 비교 출력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 ;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턴-온 동작시 구동하는 릴레이(4) 및 ; 상기 릴레이(4)의 구동시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5)로 구성한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최초의 흡입과 압축 행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외부로부터 공급하여 엔진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시동장치(Starting System)라 하고, 자동차에는 보통 축전지를 전원으로 하여 직류 전동기로 엔진을 구동시키는 방식이 쓰이며, 엔진의 시동 가능 회전속도로 가솔린 엔진은 100 RPM 이상(표준 50 - 60 RPM), 디젤 엔진은 180 RPM 이상(표준 70 - 80 RPM)이다.
한편, 상기 엔진과 추진축 사이 또는 엔진과 차동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따라 회전력과 속도로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인 변속기(Transmission)는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와 자동 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가 있으며, 상기 변속기는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시동시 무부하로 하기 위해 또는 자동차를 후진하기 위해 필요하다.
종래의 시동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10)와 ; 그 밧데리(10)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시동 전동기(20) 및 ; 시동용 전기 배선(40)을 통해 상기 시동 전동기(20)에 흐르는 전류를 개폐하기 위한 시동 스위치(30)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동 장치는, 자동차의 키를 차안에 넣고 도어를 잠그거나 자동차의 키를 분실한 경우 자동차의 도어를 열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동차 키의 분실로 인하여 자동차가 도난당할 우려가 있고, 따라서 차량 유지비의 상승으로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또는 시동을 걸 때 사용되는 키 스위치에 센서홀을 형성하여 키 실린더의 포토 센서 구동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 신호를 발광부에서 빛으로 변환하고 수광부에서 다시 전기 신호로 환원하여 광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포토 센서로 부터 검출된 광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로 부터 비교 출력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턴-온 동작시 구동하는 릴레이 및, 상기 릴레이의 구동시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본 차량의 키가 삽입된 경우 키의 센서 홀을 통하여 포토 센서가 작동함으로써, 전자 제어 모듈의 제어를 받아 엔진을 시동할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동 장치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 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토 센서 1A : 발광부
1B : 수광부 1C : 센서 홀
2 : 비교기 3 : 스위칭 트랜지스터
4 : 릴레이 5 : 전자 제어 모듈
6 : 키 7A : 키 하우징
7B : 키 실린더 7C : 키 뭉치
7D : 키 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신호를 발광부에서 빛으로 변환하고 수광부에서 다시 전기 신호로 환원하여 광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1)와 ; 상기 포토 센서(1)로 부터 검출된 광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 출력하는 비교기(2) ; 상기 비교기(2)로 부터 비교 출력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 ;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턴-온 동작시 구동하는 릴레이(4) 및 ; 상기 릴레이(4)의 구동시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5)로 구성된다.
상기 포토 센서(1)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신호를 빛으로 변환하여 발광하는 발광부(1A)와 ; 상기 발광부(1A)로 부터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다시 전기 신호로 환원하는 수광부(1B) 및 ; 상기 발광부(1A)와 수광부(1B) 사이의 광 신호 통로인 센서 홀(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6)은 센서 홀(1C)이 형성된 자동차의 키이며, (7A)는 자동차의 키 하우징이고, (7B)는 자동차의 키 실린더이며, (7C)는 상기 키 실린더(7B)안에 형성된 키 뭉치이고, (7D)는 상기 키 뭉치(7C)에 형성된 자동차의 키(6)가 삽입되는 키 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하기 위하여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키 하우징(7A)에 형성된 키 홀(7D)에 본 차량의 키(6)를 삽입하여 시동을 걸어주면, 키 실린더(7B)에 설치된 포토 센서(1)의 발광부(1A)로 부터 발광된 광 신호가 키(6)의 센서 홀(1C) 및 키 뭉치(7C)에 형성된 키 홀(7D)을 통과하여 포토 센서(1)의 수광부(1B)에서 수광하게 됨으로써, 상기 포토 센서(1)는 광 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토 센서(1)로 부터 검출된 광 신호는 비교기(2)의 비반전(+) 단자로 입력된 후 상기 비교기(2)의 반전(-) 단자로 입력된 기준 전압(Vref)과 비교되어 하이 신호를 출력시킨다.
상기 비교기(2)로 부터 출력된 하이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를 턴-온시키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턴-온 동작에 의해 릴레이(4)가 구동되며, 상기 릴레이(4)의 구동에 의해 전자 제어 모듈(5)은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자동차의 키 하우징(7A)에 형성된 키 홀(7D)에 본 차량의 키(6)가 아닌 다른 차량의 키를 삽입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경우, 상기 키 실린더(7B)에 설치된 포토 센서(1)의 발광부(1A)로 부터 발광된 광 신호가 키(6)의 센서 홀(1C) 및 키 뭉치(7C)에 형성된 키 홀(7D)을 통과하지 못하여 포토 센서(1)의 수광부(1B)에서 광 신호를 수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토 센서(1)의 턴-오프 동작에 의해 비교기(2)는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2)로 부터 출력된 로우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를 턴-오프시키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턴-오프 동작에 의해 릴레이(4)가 턴-오프됨으로써, 전자 제어 모듈(5)은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엔진 시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또는 시동을 걸 때 사용되는 키 스위치에 센서홀을 형성하여 키 실린더의 포토 센서 구동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 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 운행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도어를 열거나 또는 시동을 걸 때 사용되는 키 스위치에 센서홀을 형성하여 키 실린더의 포토 센서 구동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키의 분실로 인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전기 신호를 발광부에서 빛으로 변환하고 수광부에서 다시 전기 신호로 환원하여 광 신호를 검출하는 포토 센서(1)와 ; 상기 포토 센서(1)로 부터 검출된 광 신호를 기준 전압과 비교 출력하는 비교기(2) ; 상기 비교기(2)로 부터 비교 출력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3) ;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3)의 턴-온 동작시 구동하는 릴레이(4) 및 ; 상기 릴레이(4)의 구동시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모듈(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 장치.
KR2019960032239U 1996-09-30 1996-09-30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KR199800188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39U KR19980018827U (ko) 1996-09-30 1996-09-30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239U KR19980018827U (ko) 1996-09-30 1996-09-30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827U true KR19980018827U (ko) 1998-07-06

Family

ID=5397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239U KR19980018827U (ko) 1996-09-30 1996-09-30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88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68B1 (ko) * 1999-06-02 2002-03-16 이석규 차량의 자동 시동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68B1 (ko) * 1999-06-02 2002-03-16 이석규 차량의 자동 시동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092B2 (en) Combustion and emergency starting control system with auxiliary power
EP1110801A2 (en) Electric motor vehicle
KR19980018827U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KR10035757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점프장치
US4104560A (en) Ligh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JPH11117837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エンジン始動装置
KR19980047968U (ko) 차량용 재시동 방지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200266245Y1 (ko)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KR19980037739A (ko)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KR19980040513A (ko) 자동차의 유압 클러치를 장착한 발전기
KR200153163Y1 (ko) 자동차의 기계식 시동잠금장치
KR100205012B1 (ko) 자동차의 도어잠금 방지장치
KR20000055761A (ko) 차량 엔진 시동장치
KR0143800B1 (ko) 시동용 안전스위치가 장착된 수동변속기
KR100535420B1 (ko) 차량용 42v 시스템의 전원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41128A (ko) 자동차의 엔진 재시동 방지장치
KR19990058661A (ko) 자동차에서 원 터치 시동 제어 시스템
KR19980057902A (ko) 병렬식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시동 방법
KR19980040285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엔진 회전수 제어 장치
KR100244119B1 (ko) 전기 자동차의 키 박스에 의한 dc/dc 변환기의 출력제어회로
KR100273558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엔진 구동장치
KR980008592U (ko) 배터리 방전시 비상용 점화장치
KR19990032334U (ko) 자동차의 시동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