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671U -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671U
KR19980016671U KR2019960029994U KR19960029994U KR19980016671U KR 19980016671 U KR19980016671 U KR 19980016671U KR 2019960029994 U KR2019960029994 U KR 2019960029994U KR 19960029994 U KR19960029994 U KR 19960029994U KR 19980016671 U KR19980016671 U KR 19980016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ing structure
rubber
vibration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29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671U/ko
Publication of KR19980016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7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41Link-type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지지해 주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계수가 다른 2 종류 이상의 고무체를 갖는 엔진 마운트를 병행 설치하고, 이것들이 각자 발휘하는 감쇠특성을 서로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폭 넓게 감쇠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충분한 감쇠범위 확보에 따른 엔진 진동의 전반적인 감소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을 지지해 주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계수가 다른 2 개의 마운트를 병행 설치하여 엔진의 진동을 180° 의 위상차를 갖는 주파수 대역으로 유도하는 동시에 이것들을 서로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엔진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고무체(10)와 하우징(11)으로 구성된 엔진 마운트(12)를 이용하여 차체에 설치된다.
즉, 자동차 엔진의 마운팅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 마운트(12)가 하우징(11)을 통해 차체에 고정되고, 이렇게 고정되는 엔진 마운트(12)의 고무체(10)에 엔진 브라켓(13)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엔진 마운팅 구조에서는 엔진 마운트의 고무체가 갖는 탄성만으로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흡수해야 하므로 엔진의 진동을 폭 넓게 감쇠시키지 못했던 취약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탄성계수가 다른 2 종류 이상의 고무체를 갖는 엔진 마운트를 병행 설치하고, 이것들이 각자 발휘하는 감쇠특성을 서로 상쇄시키는 방식으로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폭 넓게 감쇠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충분한 감쇠범위 확보에 따른 엔진 진동의 전반적인 감소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엔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엔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체11 : 하우징
12 : 엔진 마운트13 : 엔진 브라켓
14 : 암15 : 진동 전달부재
16 : 체결부17 : 고정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2 개의 암(14)을 갖는 진동 전달부재(15)를 차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암(14)의 끝단에는 탄성계수가 다른 2 개의 고무체(10) 및 하우징(11)을 각각 일체 형성하며, 상기 각 고무체(10)에는 2 개의 체결부(16)을 갖춘 엔진 브라켓(13)의 각 체결부(16)를 동시에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엔진 브라켓(13)은 1 개의 판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2 개의 판체가 분기되고 그 끝단에 상기 체결부(16)가 일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엔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5 는 진동 전달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진동 전달부재(15)는 한쪽 끝단이 서로 붙어 있는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약 90° 정도 벌어진 2 개의 암(14)과, 각 암(14)의 붙은쪽에 일체 형성되는 고정판(1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판(17)을 이용하여 차체 즉, 크로스 멤버나 센터 멤버 등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진동 전달부재(15)의 각 암(14)은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의 전달경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진동 전달부재(15)는 진동을 2 개의 경로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암(14)의 끝단에는 함께 조합되어 있는 고무체(10) 및 하우징(11)이 각각 일체 형성되어 엔진 브라켓(13)을 암(14)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이때의 상기 각 고무체(10)는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갖게 되며(예를 들면,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경질의 고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무체(10)는 서로 다른 탄성영역에서 각자 자체 탄성을 발휘하면서 각각 다른 특성의 진동 주파수 대역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부호 13 은 엔진 브라켓을 나타낸다.
상기 엔진 브라켓(13)은 엔진 본체에 연결되는 1 개의 판체에서부터 서로 나란한 2 개의 판체가 분기 형성되고, 분기된 판체의 각 끝단에는 ㄷ 자형 체결부(16)가 일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분기된 판체간의 간격은 상기 각각의 암(14)에 형성되는 양측 고무체(10)간의 배치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16)와 고무체(10)는 일대일 대응되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엔진 브라켓(13)은 분기되는 각각의 판체를 이용한 2 개의 진동 전달경로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각각의 판체를 통해 분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이 상기 엔진 브라켓(13)을 통해 분산되어 각 고무체(10)에 동시에 전달되면, 각각의 고무체(10)에서는 각기 가지고 있는 고유 탄성계수를 이용한 순차 감쇠방식을 통해 이때의 진동을 감쇠시키게 된다.
즉, 어느 한쪽의 고무체(10)가 감쇠작용을 일으키는 시점과 다른 한쪽의 고무체(10)가 감쇠작용을 일으키는 시점간에는 180° 의 위상차를 갖게 되고, 이렇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감쇠된 진동은 각각의 암(14)을 거쳐 진행되다가 암(14)이 만나는 위치에서 서로 상쇄작용을 일으켜 소멸되게 되므로서,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의 대부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계수가 다른 2 개의 고무체를 병행 설치하고, 이것들이 발휘하는 감쇠특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량 진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엔진의 진동을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2 개의 암(14)을 갖는 진동 전달부재(15)를 차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암(14)의 끝단에는 탄성계수가 다른 2 개의 고무체(10) 및 하우징(11)을 각각 일체 형성하며, 상기 각 고무체(10)에는 2 개의 체결부(16)을 갖춘 엔진 브라켓(13)의 각 체결부(16)를 동시에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브라켓(13)은 1 개의 판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한 2 개의 판체가 분기되고 그 끝단에 상기 체결부(16)가 일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2019960029994U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80016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94U KR19980016671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994U KR19980016671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71U true KR19980016671U (ko) 1998-06-25

Family

ID=5397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994U KR19980016671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67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87B1 (ko) * 2017-03-17 2018-06-19 동남정밀 주식회사 언더컷 성형용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1868986B1 (ko) * 2017-03-17 2018-06-19 동남정밀 주식회사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87B1 (ko) * 2017-03-17 2018-06-19 동남정밀 주식회사 언더컷 성형용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1868986B1 (ko) * 2017-03-17 2018-06-19 동남정밀 주식회사 슬라이드 코어가 있는 다이캐스팅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087A (ko) 자동차용방진장치_
KR940021294A (ko) 자동차
TR28189A (tr) Motorun vibrasyon hareketini söndürmek ve bu gibi vibrasyonlarin arac gövdesine iletilmesini önlemek veya azaltmak icin motor ile bir motorlu aracin gövdesi arasina monte etmek icin kontrol edilebilir antivibrasyon tasiyici elemanlar.
KR19980016671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100365222B1 (ko) 자동차용 다이나믹 댐퍼
KR100361281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10047588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브래킷의 보강구조
KR20010059095A (ko) 다이내믹 댐퍼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200173463Y1 (ko) 자동차의 능동 엔진마운트
KR100188539B1 (ko) 자동차용 미션 충격완충댐퍼
KR0185112B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KR20040016310A (ko) 엔진 지지구조
KR200147379Y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00457019B1 (ko) 엔진 지지구조
JPH0213695Y2 (ko)
KR200145051Y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 시스템
KR19990025191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구조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192488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0132017Y1 (ko) 엔진의 관성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장치
KR200143931Y1 (ko) 스톱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KR19990031038U (ko) 엔진 장착 인슐레이터
KR19980061243A (ko) 엔진유동량 조절장치
KR19980086017A (ko) 자동차의 엔진진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