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588A -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588A
KR19980016588A KR1019960036200A KR19960036200A KR19980016588A KR 19980016588 A KR19980016588 A KR 19980016588A KR 1019960036200 A KR1019960036200 A KR 1019960036200A KR 19960036200 A KR19960036200 A KR 19960036200A KR 19980016588 A KR19980016588 A KR 1998001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onveyor
main
sleeve
clutch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성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588A/ko
Priority to US08/725,686 priority patent/US5826694A/en
Publication of KR1998001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5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01B5/0028Brakes, brakeshoes, clu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20)의 일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입 체인 컨베이어(30);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구동원인 반입 모터(31);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반입 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반입 스토퍼(32);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20)의 정면을 따라 설치된 메인 체인 컨베이어(40);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구동원인 메인 모터(41);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에 부착되고,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토퍼(42,43); 상기 제 2 메인 스토퍼(43)에 의해 정지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180。 회전되어 유격 측정장치(20)내로 반입시키고, 측정이 완료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다시 180。 회전되어 제 2 메인 스토퍼(43)로 반출시키는 클램핑 기구(61)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 에어 실린더(60);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20)의 타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출 컨베이어(50);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측정완료된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메인 모터(4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피검사체를 밀어서 반출 체인 컨베이어(50)로 전달하는 반출 스토퍼 및 푸셔(52); 상기 반출 체인 컨베이어(50)의 구동원인 반출 모터(51);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박스(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clutch-hub)와 슬리브(sleeve)간 유격(clearance)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용 기어식 수동 변속기에서 입력축에 결합된 클러치-허브와, 이 클러치-허브의 회전력을 입력축 양쪽 기어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슬리브간의 유격을 측정하는 장치로/에서 피검사체인 슬리브와 클러치-허브를 반입/반출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기어식 수동 변속기는, 엔진에 연결되고 엔진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가 설치된된 입력축, 차륜에 연결된 출력축, 및 출력축과 입력축에 각기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상태 변화에 따른 엔진 회전력의 전달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자동차를 후진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복수조의 기어로 이루어진 기어장치로 구성된다.
기어장치는, 입력축에 스플라인결합된 클러치-허브, 클러치-허브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스플라인결합된 슬리브, 및 슬리브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입력축과 출력축증 어느 하나에는 공회전, 다른 하나에는 같이 회전되게 끼워진 한 쌍의 기어를 포함한다. 즉, 클러치-허브와 입력축은 엔진 가동시에는 항상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고, 슬리브도 클러치-허브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변속 레버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허브의 외주면상을 이동하여 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가 클러치-허브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클러치-허브의 회전력을 기어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슬리브는 클러치-허브와 소정의 유격이 유지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즉,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슬리브가 이동될 때, 클러치-허브와 간섭이 최소화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속 레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슬리브가 클러치-허브상에서 유연한 미끄럼 운동을 함과 동시에 동력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클러치-허브의 회전력을 기어로 전달하기 위해, 슬리브와 클러치-허브간에 최적의 유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리브와 클러치-허브를 조립하기 전에, 슬리브와 클러치-허브간의 유격이 설계사양에 만족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격 측정작업이 먼저 실시되어야 하고, 종래에는 슬리브와 클러치-허브간의 유격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클러치-허브를 별도의 치구에 고정시킨 후, 클러치-허브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시킨 다음,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중앙을 수동으로 일치시킨다. 여기서 중앙을 일치시킨다는 것은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정중앙 원주선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된 슬리브에 대한 클러치-허브의 유격을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가 구비된 차동 트랜스를 클러치-허브의 축공에 수동으로 삽입시킨다. 그런다음, 슬리브와 클러치-허브의 중앙에서 100㎜ 떨어진 지점에서, 차동 트랜스를 손으로 잡고 위,아래로 한 번씩 움직여서 차동 트랜스의 다이얼 게이지에 나타난 수치, 즉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을 육안으로 읽는다. 그 다음, 수평 방향도 위와같은 방법으로 유격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유격 측정방식은, 측정자가 차동 트랜스를 잡는 지점이 클러브-허브와 슬리브의 중앙 일치점에서 100㎜ 떨어져 있기 때문에, 유격이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실제 유격과 차이가 발생할 소지가 많고, 또한 인력으로 차동 트랜스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가해지는 힘이 항상 일정할 수는 없으므로 유격 측정치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중앙을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아 육안으로 개략적으로만 맞춘 상태에서 측정을 실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슬리브와 클러치-허브간의 유격을 측정할 수가 없었다.
게다가, 차동 트랜스의 다이얼 게이지에 표시된 수치를, 측정자가 육안으로 읽어서 확인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유격치를 읽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정밀한 유격 측정치의 산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따라서 검사기준에 부합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오측정에 의해 검사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종국에는 변속동작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의 유격 측정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유격 측정장치는, 클러치-허브의 유격을 직접 실측하는 종래의 방식 대신에, 일축 방향을 중심으로 슬리브의 클러치-허브에 대한 진도거리를 측정하여 유격을 구하게 되는데, 여기서 슬리브의 진도거리란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으로 인하여 슬리브가 클러치-허브에 대하여 일축 방향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이동되는 거리를 말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 측정장치의 프레임(10) 상부면에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하부 고정부재(11)가 장착되고, 클러치-허브의 중심을 지나는 Y축 선상에 클러치 허브의 외주에 끼워지는 슬리브를 탄력지지하는 2개의 볼 포인트(12)가 각각 설치된다. 즉, 클러치-허브는 하부 고정부재(11)로, 슬리브는 볼 포인트(12)로 각각 지지되어, 하부 고정부재(11)와 볼 포인트(12)의 설치높이만 미리 설정하면,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정중앙 원주선이 자연적으로 정확하게 일치된다.
또한, 클러치-허브를 위에서 눌러 고정하는 상부 고정부재(13)가 프레임(10)상에 장착된 제 1 가압 실린더(14a)에 연결되어 상하이동된다. 상부 고정부재(13)는 제 1 가압 실린더(14a)에 연결된 고정부(13a), 고정부(13a)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축공에 베어링(13b)으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클러치-허브를 실질적으로 눌러 지지하는 지지부(13c), 및 지지부(13c)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축공에 끼워지는 볼트(13d)로 구성된다.
그리고, 클러치-허브(1) 및 슬리브(2)를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15)가 하부 고정부재(11)의 하부에 연결되고, 베어링(15a)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회전 실린더(15)의 회전력은 일체로 고정된 하부 고정부재(11), 클러치-허브, 및 지지부(13c)를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볼 포인트(12)의 부착 위치의 각각 90。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슬리브의 상부에, 슬리브의 진도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가압수단과 측정수단이 위치하는데, 그 구조는 슬리브(2)를 누르는 누름편(16a)이 하부 끝단에 부착된 차동 트랜스(16), 차동 트랜스(16)의 상부에 연결되어 일정한 압력을 부여하여 이동시키는 제 2 가압 실린더(14b), 차동 트랜스(16)의 상단에 부착되어 차동 트랜스(16)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측정센서(17), 및 상기 측정센서(17)에서 감지된 차동 트랜스(16)의 이동거리인 슬리브(2)의 진도거리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디지탈로 나타내는 표시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차동 트랜스(16: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란 물리적, 기계적 변위량을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우수한 검출기의 하나로서, 보통의 트랜스가 승압,강압, 및 인피던스 변환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차동 트랜스는 원칙적으로 신호의 전달변환으로 사용되지만, 구체적으로는 기계적 변위를 전압비례하거나, 전류로 변환하는 기계-전기 변환소자이다. 즉, 차동 트랜스는 각종 기계의 변위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상당히 우수한 일종의 센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격 측정장치를 이용해서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X축 방향의 슬리브의 진도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피검차체인 클러치-허브 및 슬리브를 수동으로 유격 측정장치내로 반입시켜서, 하부 고정부재(11)상에 안치,고정시킨 다음, 제 1 가압 실린더(14a)를 작동시켜 상부 고정부재(13)의 하강,압착으로 클러치-허브(1)를 압착,고정한다. 이때, 슬리브는 2개의 볼 포인트(12)에 의해 하방지지되고, 이때 슬리브는 볼 포인트(12) 사이를 잇는 선, 즉 Y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부 고정부재(11)와 볼 포인트(12)는 그 정중앙 원주선이 정확히 일치되도록 설치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장착되었으므로,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정중앙 원주선이 별도의 조작없이 자연스럽게 일치된다.
이와같이 클러치-허브 및 슬리브가 고정되면, 2대의 제 2 가압 실린더(14b)중 좌측 실린더를 가동시켜 차동 트랜스(16)를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차동 트랜스(16)는 슬리브를 누르게 되고, 따라서 슬리브는 Y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슬리브의 좌측부는 하강하고 우측부는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하강된 슬리브(2)의 위치를 측정센서(17)가 기준점으로 설정하게 되고, 이번에는 우측 제 2 가압 실린더(14b)에 의해 차동 트랜스(16)가 하강되어 슬리브를 누르게 된다. 이때는, 위와는 반대로 슬리브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서 슬리브의 좌측이 상승된다. 그러면 측정센서(17)가 기준점으로부터 상승된 슬리브의 진도거리를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센서(17)에 감지된 슬리브의 진도거리, 즉 차동 트랜스(16)의 이동거리는 디지탈로 표시되는 표시기에 나타나게 된다.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측정자가 수동으로 슬리브 및 클러치-허브를 유격 측정장치에서 반출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X축 방향의 슬리브의 진도거리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진도거리를 하기 식으로 L값을 산출한다.
L = [(l1+l2)/D]×100
여기서, L :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과 대응하는 값
l1,l2 : 일축 방향을 중심으로 슬리브의 클러치-허브에 대한 진도거리
D : 슬리브의 가압지점 사이의 거리
즉, 좌측 슬리브의 진도거리(l1)와 우측 슬리브의 진도거리(l2)를 합한 다음, 미리 측정된 슬리브상의 가압 지점 사이의 거리인 D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L값이 산출된다.
측정자는 이 L값에 대응하는 클러치-허브(1)와 슬리브(2)간의 유격을 대응표와 같은 자료에서 찾아서 검사기준에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그 다음, Y축 방향의 진도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회전 실린더(15)를 가동시켜 클러치-허브 및 슬리브를 90。 회전시킨 다음, 위와같은 방법으로 Y축 방향의 진도거리를 측정하고 L값을 산출한 다음, 유격 대응표에서 유격을 구하여 적합한 유격인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격 측정장치는, 가압 실린더로 차동 트랜스에 일정 압력을 부여하여 슬리브의 진도거리를 측정함으로써 균일한 측정 조건이 항상 유지되어 측정치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러치-허브와 슬리브의 정중앙 원주선을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진도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측정이 가능해지고, 차동 트랜스에서 측정된 수치를 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디지탈 표시기에 디지탈로 나타내게 하므로써, 보다 정확한 유격을 측정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 측정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정확한 유격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를 유격 측정장치로 반입/반출하는데는 여전히 측정자의 인력에 의존해서, 즉 측정자가 직접 수동으로 피검사체를 유격 측정장치로/에서 반입/반출해야만 하는 작업상의 불편한 요소가 상존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 측정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를 유격 측정장치로/에서 자동으로 반입/반출시켜서 유격 측정작업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의 유격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유격 측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유격 측정장치30 - 반입 체인 컨베이어
31 - 반입 모터32 - 반입 스토퍼
40 - 메인 체인 컨베이어41 - 메인 모터
42 - 제 1 메인 스토퍼43 - 제 2 메인 스토퍼
50 - 반출 체인 컨베이어51 - 반출 모터
52 - 반출 스토퍼 및 푸셔60 - 회전 에어 실린더
61 - 클램핑 기구70 - 메인 컨트롤 박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의 일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입 체인 컨베이어;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반입 모터;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반입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반입 스토퍼;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의 정면을 따라 설치된 메인 체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메인 모터;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에 부착되고,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토퍼; 상기 제 2 메인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180。 회전되어 유격 측정장치내로 반입시키고, 측정이 완료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다시 180。 회전되어 제 2 메인 스토퍼로 반출시키는 클램핑 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 에어 실린더;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의 타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출 체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측정완료된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메인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피검사체를 밀어서 반출 체인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반출 스토퍼 및 푸셔; 상기 반출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반출 모터;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반입 체인 컨베이어를 거쳐 메인 체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가 제 1 메인 스토퍼에서 대기상태에 있다가, 제 2 스토퍼에서 클램핑 기구에 의해 클램핑 된 후, 회전 에어 실린더에 의해 유격 측정장치로 반입되고,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회전 에어 실린더에 의해 제 2 스토퍼로 반출된 후, 메인 체인 컨베이어상을 따라 이송되다가, 반출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다음 푸셔에 의해 반출 체인 컨베이어로 반출되므로써, 피검사체가 전자동으로 유격 측정장치로/에서 반입/반출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가 반입되는 반입 체인 컨베이어(30)가 유격 측정장치(20)의 좌측부를 따라 설치되고, 그 회전진행 방향은 도 5를 기준으로 아래로 진행되도록 설치된다. 반입 모터(31)가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피검사체와 접촉되어 반입 모터(3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반입 스토퍼(32)가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최종단, 즉 최하단에 부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입 체인 컨베이어(30)가 하나가 아닌 3개로 구성되어, 피검사체 3개를 동시에 반입시킬 수가 있고, 따라서 반입 스토퍼(32)도 마찬가지로 각 반입 체인 컨베이어(30)마다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총 3개로 구성된다.
메인 체인 컨베이어(40)가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의 하단 최종단에 직교하에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20)의 정면을 따라 설치된다.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구동원인 메인 모터(41)가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좌측 하단에 장착되고, 피검사체와 접촉되어 메인 모터(41)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토퍼(42,43)가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 2 메인 스토퍼(43)는 유격 측정장치로 반입되는 위치에 부착되고, 제 1 메인 스토퍼(42)는 제 2 메인 스토퍼(43)의 앞쪽에 부착되어, 피검사체를 반입 대기위치에서 대기상태로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메인 스토퍼(43)에서 정지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유격 측정장치(20)로 반입시키고, 또한 측정이 완료된 피검사체를 다시 클램핑하여 제 2 메인 스토퍼(43)로 반출시키는 회전 에어 실린더(60)가 유격 측정장치(20)상에 장착된다. 회전 에어 실린더(60)에는 피검사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61)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 클램핑 기구(61)가 회전 에어 실린더(60)를 중심으로 180。 수평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피검사체를 반입/반출하게 된다.
측정이 완료된 피검사체가 반출되는 반출 체인 컨베이어(50)가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20)의 우측부를 따라 설치된다. 반출 체인 컨베이어(50)도 반입 체인 컨베이어(30)와 마찬가지로 3개로 구성된다. 반출 체인 컨베이어(50)의 구동원인 반출 모터(51)가 반출 체인 컨베이어(50)의 우측 상단에 장착된다.
여기서,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상을 따라 이송되는 측정완료된 피검사체가 반출 체인 컨베이어(50)에 도달하면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회전이 정지되어야 하고, 또한 메인 및 반출 체인 컨베이어(40,50)의 진행방향이 서로 직교되므로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상의 피검사체를 반출 체인 컨베이어(5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어주여야 한다. 따라서, 피검사체와 접촉되어 메인 모터(41)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피검사체를 반출 체인 컨베이어키는 3개의 반출 스토퍼 및 푸셔(52)가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우측 하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정확히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박스(70)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반입 체인 컨베이어(30)를 따라 이송되는 피검사체가 반입 스토퍼(32)에 접촉되면, 반입 모터(31)가 정지되어 반입 체인 컨베이어(30)도 같이 정지되므로써, 피검사체는 그 위치에서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일정시간, 즉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상에 피검사체가 안치될 공간이 구비되면, 그 즉시 반입 모터(31)가 구동되어, 피검사체가 메인 체인 컨베이어(40)로 전달된다. 피검사체는 제 1 메인 스토퍼(42)와 접촉되는데, 이때 앞서 이송된 피검사체는 제 2 메인 스토퍼(43)와 접촉된다. 즉,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상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사체간의 거리는 정확히 제 1 및 제 2 메인 스토퍼(42,43)간의 거리와 동일하게 된다.
앞서 이송된 피검사체의 유격 측정이 완료되면, 본 피검사체가 제 2 메인 스토퍼(43)로 이송되어 정지된 후, 클램핑 기구(61)가 피검사체를 견고히 클램핑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 에어 실린더(60)가 작동되어, 클랭핑 기구(61)가 180。 수평회전되므로써, 피검사체가 유격 측정장치(20)로 반입된다.
유격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클램핑 기구(61)가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역으로 180。 수평회전되어서, 피검사체를 제 2 메인 스토퍼(43)상에 안치시키게 된다. 메인 모터(41)가 구동되어, 메인 체인 컨베이어(40)가 회전하게 되면, 피검사체는 메인 체인 컨베이어(40)의 최종단으로 이송된다.
피검사체는 반출 스토퍼(52)에 접촉되어, 메인 모터(41)의 구동이 정지되므로써 그 위치에서 정지된 후, 푸셔(52)에 의해 항시 구동되고 있는 반출 모터(51)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반출 체인 컨베이어(50)로 전달되어서 반출되어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가 전자동으로 유격 측정장치(20)로/에서 반입/반출되므로써, 유격 측정작업이 매우 수월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피검사체인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의 일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입 체인 컨베이어;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반입 모터;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반입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반입 스토퍼; 상기 반입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의 정면을 따라 설치된 메인 체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메인 모터;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에 부착되고,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 메인 스토퍼; 상기 제 2 메인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180。 회전되어 유격 측정장치내로 반입시키고, 측정이 완료된 피검사체를 클램핑하여 다시 180。 회전되어 제 2 메인 스토퍼로 반출시키는 클램핑 기구가 일체로 구비된 회전 에어 실린더;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직교하게 연결되어 유격 측정장치의 타측부를 따라 설치된 반출 체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체인 컨베이어의 최종단에 부착되어, 측정완료된 피검사체와 접촉되면 메인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피검사체를 밀어서 반출 체인 컨베이어로 전달하는 반출 스토퍼 및 푸셔; 상기 반출 체인 컨베이어의 구동원인 반출 모터;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KR1019960036200A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KR19980016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200A KR19980016588A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US08/725,686 US5826694A (en) 1996-08-28 1996-10-02 System for taking clutch hub and sleeve into/out of a clearance meas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200A KR19980016588A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88A true KR19980016588A (ko) 1998-06-05

Family

ID=1947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200A KR19980016588A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26694A (ko)
KR (1) KR199800165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8382A (zh) * 2023-06-02 2023-06-30 四川雯创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检测用辅助测量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3446B1 (en) * 2016-05-26 2018-09-11 Daniel Wayne Snow Modular quality control center assembly for tubulars
JP6804337B2 (ja) * 2017-03-01 2020-12-2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中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4707A (en) * 1973-11-02 1974-12-17 Park Ohio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inductively heating and quench hardening surfaces on a crankshaft
US4465416A (en) * 1982-05-17 1984-08-14 The Perkin-Elmer Corporation Wafer handling mechanism
DE3228378A1 (de) * 1982-07-29 1984-02-02 Kuka Schweissanlagen + Roboter Gmbh, 8900 Augsburg Fertigungsstrecke (transferlinie) fuer die bearbeitung von werkstuecken
JPS6464759A (en) * 1987-09-03 1989-03-10 Hitachi Seiki Kk Free-flow type produ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8382A (zh) * 2023-06-02 2023-06-30 四川雯创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检测用辅助测量设备
CN116358382B (zh) * 2023-06-02 2023-08-08 四川雯创亿科技有限公司 一种飞机维修检测用辅助测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6694A (en) 199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97135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oints of unbalance on rotary bodies
CN207991489U (zh) 一种轴承用的旋转精度测量装置
CN208188143U (zh) 一种电机转速测试装置
CN210952776U (zh) 一种传动轴角间隙检测结构
CN200996413Y (zh) 一种全自动铁路货车轴承装配设备
US5895867A (en) Device for measuring torque
US5435073A (en) Alignment tool for rotating equipment
US114530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 underfloor wheelset lathe without a calibration wheelset
KR19980016588A (ko)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클러치-허브와 슬리브간 유격 측정장치용 피검사체 반입/반출 시스템
US6492900B2 (en) Rotary switch test sensor
CN102967272A (zh) 链条中心距检测台
JPH04240502A (ja) 差動歯車噛合い間隙測定装置
CN211206081U (zh) 一种单向器刚度测试台
JPH05240609A (ja) ローラ偏心量測定装置
CN207717545U (zh) 一种绝缘子弯扭复合试验机的扭转加载装置及试验机
JPS6145946A (ja) 力伝達機構の効率測定器
CN112629577A (zh) 一种传感器的测试工装及其使用方法
JP2009293965A (ja) トラクション計測用試験装置
CN214308480U (zh) 一种汽车花键轴生产中用的质量检测装置
CN220982609U (zh) 传动轴刚度测量装置
CN107290103A (zh) 多功能参考式扭矩标准机
CN218097531U (zh) 一种轴承径向间隙检具
KR102016412B1 (ko) 철도 차량의 차륜 축 베어링 검사 장치
CN211576026U (zh) 一种能够实现自动居中的检具定位机构
CN219589612U (zh) 一种线性模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