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49U -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49U
KR19980016049U KR2019960029334U KR19960029334U KR19980016049U KR 19980016049 U KR19980016049 U KR 19980016049U KR 2019960029334 U KR2019960029334 U KR 2019960029334U KR 19960029334 U KR19960029334 U KR 19960029334U KR 19980016049 U KR19980016049 U KR 199800160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presser foot
sewing
work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6609Y1 (ko
Inventor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최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우 filed Critical 최재우
Priority to KR2019960029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6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6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5/00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 D05B65/02Devices for severing the needle or lower thread controlled by the sew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4Cut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물의 재봉 작업 후 작업물과 작업위치에 잔류되는 잔사가 상승되는 노루발과 연계동작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재봉작업이 용이하며 잔사에 의한 재봉실의 엉킴현상을 제거하여 재봉작업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재봉틀의 재봉작업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폐달에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스위치를 구비하여 각 스위치의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승강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노루발과 연계동작하는 잔사의 제거를 위한 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승강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노루발의 승·하강동작과 상기 제거수단이 연계동작되도록 하여 재봉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본 고안은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물의 재봉 작업후 작업물과 작업위치에 잔류되는 잔사가 상승되는 노루발과 연계동작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재봉작업이 용이하며 잔사에 의한 재봉실의 엉킴현상을 제거하여 재봉작업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은 작업물의 재봉작업을 위하여 작업물을 고정하는 노루발이 승·하강 하며 재봉을 위한 재봉사가 구비된 바늘이 노루발에 의하여 눌려진 작업물을 승·하강하며 작업물의 재봉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또한 노루발에 의하여 눌려진 작업물은 이송장치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이송하여 작업물이 재봉되었으며 재봉이 완료된 작업물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작업물을 누르고 있는 노루발을 상승시켜 고정된 작업물이 해지되도록 하며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과 연결된 재봉바늘에 구비된 재봉사를 절단하여 작업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재봉틀의 동작은 재봉틀의 원활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동스위치를 작업자의 다리로 작업할 수 있도록 재봉틀의 폐달에 구비하여 작업자의 발을 이동하여 작동되었으며 상기 작동스위치의 동작에 의하여 작동되는 재봉틀의 노루발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하여 작동하는 별도의 승강스위치와 상기 승강스위치에 의하여 동작하는 승강장치에 의하여 승·하강 되어 재봉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즉, 재봉틀의 재봉작업을 위하여 작업물을 고정하는 노루발의 작동은 작업자가 별도의 승강스위치를 동작시켜 노루발이 하강되어 작업물을 고정하였으며 작업물의 고정이 완료되면 작동스위치가 설치된 폐달을 밞아주어 노루발에 의하여 고정된 작업물이 이송되며 동시에 재봉작업을 위한 재봉바늘이 상·하 승강하여 재봉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또한 재봉이 완료된 작업물을 교체하려면 작동스위치를 동작시켜 재봉바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재봉바늘이 상승된 상태에서 멈취지게 하며 동시에 승강스위치를 작동시켜 작업물을 누르고 있는 노루발이 상승되도록 하여 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에 연결된 재봉사를 절단한 후 작업물을 다음 작업을 위한 작업물을 교체하여 재봉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이된 종래의 재봉틀은 재봉작업을 시작할 때 재봉바늘에 걸려 있는 재봉사가 길게 늘어져 있는 상태로 작업물에 재봉되어 처음 시작부위의 재봉작업이 깨끗하게 처리되지 못하였으므로 동시에 재봉사가 작업부위를 어지럽혀 재봉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재봉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의 교체를 위하여 상기 작업물을 누르고 있는 노루발은 별도로 설치된 승강스위치를 작동시켜 노루발이 승강되도록 한 것으로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스위치의 조작이 필요로하는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이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재봉틀의 동작을 위한 작동스위치를 동작하는 폐달에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스위치를 일체로 설치하여 스위치의 조작이 용이하며 상기 승강스위치에 의하여 재봉바늘에 잔류되는 잔사에 의한 작업불량을 방지하며 이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재봉작업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는 폐달에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승강스위치를 구비하여 각스위치의 작동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승강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노루발과 연계동작하는 잔사의 제거를 위한 제거수단을 구비하여 승강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노루발의 승·하강동작과 상기 제거수단이 연계동작되도록 하여 재봉작업이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잔사 제거장치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재봉틀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사 제거장치에 압축공기의 공급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로
(a)도는 노루발의 잔사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b)도는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작동부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승강 스위치10 : 제 1분배기
11 : 승강 제어밸브12 : 분사 제어밸브
20 : 제거장치21 : 제 2분배기
22 : 분사노즐23 : 제 1실린더
24 : 작동로드25 : 브라케트
26 : 승강구40 : 승강장치
41 : 제 2실린더42 : 고정 브라케트
43 : 작동로드44 : 작동부재
100 : 재봉틀111 : 노루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잔사 제거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재봉틀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잔사 제거장치에 압축공기의 공급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정면도로 (a)도는 노루발의 잔사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며, (b)도는 노루발의 승·하강을 위한 작동부의 정면도이다.
소정 형상의 작업대(120)위에 작업물의 재봉을 위한 노루발(111)과 재봉바늘(112)이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스위치(131)가 구비되는 폐달(130)이 상기 작업대(120)의 하측에 구비된 재봉틀(100)에 있어서, 상기 노루발(111)의 작동을 위한 승강스위치(1)를 폐달(130)의 소정위치에 구비하며 상기 승강스위치(1)의 작동에 의하여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며 분배하는 제 1분배기(10)와 상기 제 1분배기(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승강 제어밸브(11) 및 분사 제어밸브(12)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노루발(111)의 상. 하승강을 위한 승강장치(40)와 잔사의 제거를 위한 제거장치(20)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 제어밸브(12)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분배를 위한 제 2분배기(21)와 상기 제 2분배기(21)에서 분배된 압축공기는 분사노즐(22)의 상. 하승강을 위한 제 1실린더(23) 및 잔사의 제거를 위한 분사노즐(22)로 구비되는 제거장치(20)와 상기 제거장치(20)의 제 1실린더(23)가 고정되는 브라케트(25)를 상기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브라케트(25)에 고정된 제 1실린더(23)의 작동로드(24)에는 분사노즐(22)의 상·하승강을 위한 승강구(26)가 고정 구비된다.
상기 제 1분배기(10)에서 공급되며 승강 제어밸브(11)에 의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작동하는 제 2실린더(41)와 상기 제 2실린더(41)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12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케트(42)와 상기 제 2실린더(41)의 작동로드(43)에 의하여 회동되며 작동하는 작동부재(44)로 되는 승강장치(40)가 노루발(111)의 승강을 위한 작동부를 동작시켜 노루발(111)이 승·하강 되도록 한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인 (H)는 압축공기의 공급을 위한 연결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봉틀(100)의 작업대(120)와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부착 고정되는 승강장치(40)와 제거장치(20)는 임의위치에 구비된 압축기(도시안됨)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연계작동되며 상기 승강장치(40)와 제거장치(2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승강스위치(1)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승강 제어벨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승강스위치(1)은 재봉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131)가 설치된 폐달(130)에 설치되어 폐달(130)의 동작에 따라 재봉틀(100)의 작동과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40)와 제거장치(20)가 연계 동작된다.
상기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에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제 1분배기(10)에서 분배되어 공급되며 상기 제 1분배기(10)는 압축기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공급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승강 제어밸브(11) 및 분사 제어밸브(1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되어 승강 스위치(1)에 의하여 작동하는 콘트롤러(50)에 의하여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가 단계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콘트롤러(50)는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의 동작을 일정한 간격으로 동작되도록 하며 작업물이나 용도에 따라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의 작동 간격의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거장치(20)는 분사 제어밸브(12)에 의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제 2분배기(21)에 의하여 분배되어 분사노즐(22)의 승하강을 위한 제 1실린더(23)와 상기 분사노즐(22)에 동시에 공급된다.
상기 제 1실린더(23)는 브라케트(25)에 의하여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 1실린더(23)의 작동로드(24)가 압축공기에 의하여 하강된다.
상기 작동로드(24)의 단부에는 분사노즐(22)이 고정된 승강구(26)가 고정 설치되어 작동로드(24)에 의하여 승·하강되며 동시에 분사노즐(22)도 승·하강된다.
상기 분사노즐(22)은 작업부위에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분사 효율을 증대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작업 부위로 분사되도록 구비되며 금속재로 형성하여 승·하강하는 승강구(26)의 가이드 역할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 스위치(1)를 작동하면 콘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하여 승강 제어밸브(11)가 먼저 개방되어 제 1분배기(10)에서 분배되는 압축공기가 승강장치(40)인 제 2실린더(41)로 공급되어 상기 제 2실린더(41)의 작동로드(43)가 작동되며 이와 동시에 작동부재(44)가 작동부를 작동시켜 작업물을 누르고 있던 노루발(111)이 상승된다.
상기 노루발(111)의 상승이 완료되면 분사 제어밸브(12)가 개방되어 제 1분배기(10)에서 분배된 압축공기가 제 2분배기(21)로 공급되며 상기 제 2분배기(21)에서 분배된 압축공기는 제거장치(20)의 제 1실린더(23)와 분사노즐(22)로 동시에 공급된다.
이때 제 1실린더(23)는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작동로드(24)가 하강되며 상기 하강되는 작동로드(24)에 고정된 승강구(26)가 하강된다.
상기 승강구(26)는 제 1실린더(23)에 의하여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일측에 고정된 분사노즐(22)이 작업물의 작업 부위로 근접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이때 상기 제 1실린더(23)를 고정되는 브라케트(25)는 작업물과 접촉이 되지 않도록 적당한 거리로 설치되며 제 1실린더(23)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승강구(26)에 의하여 분사노즐(22)이 작업물과 근접되어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재봉작업을 위하여 폐달(130)에 설치된 작업스위치(131)를 작동하면 승강스위치(1)의 동작이 정지되며 이와 동시에 제거장치(20)와 승강장치(40)에 공급되던 압축공기의 공급이 제거되어 승강장치(40)의 복귀에 따른 노루발(111)의 하강으로 작업물의 고정되며 동시에 제거장치(20)의 분사노즐(22)을 통하여 분사되던 압축공기의 분출이 정지되며 제 1실린더(23)의 작동로드(24)가 상승되어 분사노즐(22)이 고정된 승강구(26)가 상승되어 작업물의 작업대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는 재봉작업시 작업물의 고정을 위한 노루발의 승하강 작업이 작업의 정지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작업물의 작업부위에 잔류되는 잔사의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재봉작업에 따른 편의성의 증대와 이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으로 생산성 증대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효과는 재봉작업시 노루발의 승하강과 잔사의 제거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부위에 잔류되던 잔사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져 재봉작업시 잔사의 엉킴과 뭉침현상을 제거하여 상품의 질을 향상할 수 있어 상품의 고급화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소정 형상의 작업대(120)위에 작업물의 재봉을 위한 노루발(111)과 재봉바늘(112)이 구비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스위치(131)가 구비되는 폐달(130)이 상기 작업대(120)의 하측에 구비된 재봉틀(100)에 있어서;
    압축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며 분배하는 제 1분배기(10)와 상기 제 1분배기(1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며 노루발(111)의 상·하승강을 위한 승강장치(40)로 공급하는 승강 제어밸브(11) 및 잔사 제거를 위한 제거장치(20)에 공급하는 분사 제어밸브(12)와, 상기 분사 제어밸브(12)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분배를 위한 제 2분배기(21)와 상기 제 2분배기(21)에서 분배된 압축공기는 분사노즐(22)의 상·하강과 잔사의 제거를 위한 분사노즐(22)이 구비되는 제거장치(20)와, 상기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0)와 상기 콘트롤러(50)를 작동하는 승강 스위치(1)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40)는 상기 제 1분배기(10)에서 공급되며 승강 제어밸브(11)에 의하여 공급이 제어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노루발(111)의 승강을 위한 제 2실린더(41)와 상기 제 2실린더(41)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작업대(120)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케트(42)와 상기 제 2실린더(41)의 작동로드(43)에 의하여 회동되며 작동하는 작동부재(44)와 상기 작동부재(44)가 노루발(111)의 승강을 위한 작동부를 동작시켜 노루발(111)이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장치(20)는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부착 고정되는 것으로 승강을 위한 제 1실린더(23) 및 잔사의 제거를 위한 분사노즐(22)로 구비되며 상기 제 1실린더(23)의 고정을 위한 브라케트와 상기 상기 브라케트(25)에 고정된 제 1실린더(23)의 작동로드(24)에는 분사노즐(22)의 상·하승강을 위한 승강구(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어밸브(11) 및 분사 제어밸브(1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되어 승강 스위치(1)에 의하여 작동하는 콘트롤러(50)에 의하여 승강 제어밸브(11)와 분사 제어밸브(12)가 단계적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KR2019960029334U 1996-09-14 1996-09-14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KR200146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4U KR200146609Y1 (ko) 1996-09-14 1996-09-14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34U KR200146609Y1 (ko) 1996-09-14 1996-09-14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49U true KR19980016049U (ko) 1998-06-25
KR200146609Y1 KR200146609Y1 (ko) 1999-06-15

Family

ID=1946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34U KR200146609Y1 (ko) 1996-09-14 1996-09-14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6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6609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926B2 (ja) パイピングを付けられたポケット開口の製作のための裁縫設備
US6047654A (en) Sewing installation for the production of a piped pocket opening
KR100209529B1 (ko) 재단헤드에의 자동급유장치
DE102007018984A1 (de) Einfassmaschine
JPS61109617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用中子抜取装置
KR19980016049U (ko) 재봉틀용 잔사 제거장치
US5183987A (en) Cut-out piece removing method in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1832699B1 (ko) 모피 재단장치
DE10215012A1 (de) Knopflochnähmaschine
JP2000254370A (ja) パイピングを付けられたポケット開口の製作のための縫製設備
CN209890871U (zh) 一种缝纫机面线剪线辅助装置
KR102291262B1 (ko) 복합바늘용의 니들베드 세정장치
KR20060056412A (ko) 미싱 및 그 봉제틀의 퇴피(退避) 제어 방법
US4281607A (en) Cutt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DE310227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uegen von flexiblen flachformstoffen
KR20080109401A (ko) 재봉기계
JPH0214781Y2 (ko)
JP4420704B2 (ja) 多頭式ミシン
CN218621320U (zh) 多工位绣眼机
KR940005737Y1 (ko) 양파 탈피기
CN215879052U (zh) 一种流水线辊道上自动吹扫装置
EP0429671A1 (en) Device for applying dross adhesion preventive for plasma cutting
JP3984727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
GB95003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grammed electro-hydraulic control devices
KR200427678Y1 (ko) 미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