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401A - 재봉기계 - Google Patents

재봉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401A
KR20080109401A KR1020070057684A KR20070057684A KR20080109401A KR 20080109401 A KR20080109401 A KR 20080109401A KR 1020070057684 A KR1020070057684 A KR 1020070057684A KR 20070057684 A KR20070057684 A KR 20070057684A KR 20080109401 A KR20080109401 A KR 20080109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wing
fabric
wrinkl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선
Original Assignee
진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병선 filed Critical 진병선
Priority to KR102007005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401A/ko
Publication of KR20080109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8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uching, gathering, casing, or filling lace, ribbons, or bindings; Pleating devices; Cuttlers; Gathering feet; Crimpers; Curlers; Ruffl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24Feed-dog lifting and lower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계에 관한 것으로,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회전반경을 조절하여 원단의 주름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와 연결되는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의 주름양 조절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를 승,하강시키는 톱니제어수단과; 상기 원단분리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재봉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톱니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재봉기계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주름을 형성하는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의 위치설정이 신속하고 간편하여 일반재봉 도중 주름재봉으로의 신속한 전환이 가능하며, 일반재봉 도중 원단의 필요한 부위에 부분적인 주름재봉을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공장의 대량작업시 분할적으로 이루어졌던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을 필요에 따라 한번에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공정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공장의 작업인 원이 감소되어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상부톱니, 하부톱니, 원단분리부재, 톱니제어수단,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 제1에어실린더, 제2에어실린더, 제3에어실린더, 제1스위치, 제2스위치, 제어부

Description

재봉기계{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 재봉기계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톱니제어수단을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보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위치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재봉기 11 ; 재봉헤드
12 ; 상부톱니 13 ; 하부톱니
14 ; 원단분리부재 15 ; 재봉테이블
16 ; 동력모터 17 ; 구동발판
18 ; 로드 19 ; 원단공급면
20 ; 제1주름조절장치 21,31 ; 가이드편
21a,31a ; 가이드구멍 22,32 ; 이송로드
23,33 ; 체결볼트 41 ; 제1에어실린더
42 ; 제2에어실린더 43 ; 제3에어실린더
44 ; 제1스위치 45 ; 제2스위치
50 ; 제어부 51 ; 케이스
52 ; 도어 53 ; 제1솔레노이드밸브
54 ; 제2솔레노이드밸브 55 ; 제3솔레노이드밸브
56 ; 에어조절기 61 ; 제1선택스위치
62 ; 제2선택스위치 63 ; 밸브전원스위치
P ; 바늘
본 고안은 재봉기계에 관한 것으로,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의 작업 전환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재봉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봉기계는 원단의 이송 및 주름 형성을 위한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가 구비되며, 주름재봉시 겹쳐져서 공급된 두 원단의 간격을 유지시켜서 상부 또는 하부 원단에 선택적으로 주름을 재봉할 수 있도록 원단분리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는 원단이 위치된 면을 기준으로 수동으로 승강시키거나 하강시켜서 주름양을 조절하고, 원단분리부재를 수동으로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사이로 위치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재봉기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의 주름재봉시 주름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부톱니 또는 하부톱니의 회전반경을 조절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부톱니 또는 하부톱니를 수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켜서 회전반경을 조절하여 주름양을 조절하였다.
이에 따라,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작업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러웠다.
특히, 공장에서 대량으로 원단의 주름재봉시는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위치 변경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정해진 주름양으로 설정하여 하나의 재봉기계에서는 주름재봉의 작업만을 실시하고, 다른 하나의 재봉기계에서는 주름잡힌 원단을 다른 원단에 덧대어 일반재봉하는 작업만을 실시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작업에 따라 작업을 위한 재봉기계의 수량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으며, 재봉기계를 구동시켜 작업하는 인원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을 하나의 재봉기계로 동시에 실시하기에는 매우 어려움이 있었으며, 공장에서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의 작업이 분할적으로 실시되어 공정수가 증가되고 인원수가 증가되어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를 정위치 시키는 과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 사이에 원단분리부재를 위치시킬시 상부톱니 또는 하부톱니에 원단분리부재의 선단이 걸리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 재봉 및 주름 재봉의 상호 전환이 신속하여 일반 재봉중 원하는 부위에 부분적인 주름 재봉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재봉기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재봉기계는, 재봉헤드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상부톱니와, 재봉테이블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하부톱니와, 재봉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 사이로 이송되어 재봉테이블상에서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 사이로 진입되는 겹쳐진 두 원단이 상호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원단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재봉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회전반경을 조절하여서 원단의 주름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와 연결되는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의 주름양 조절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를 승,하강시키는 톱니제어수단과; 상기 원단분리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재봉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톱니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다른 특징은, 상기 톱니제어수단이,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가 연동되면서 상기 상 부톱니가 상승되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상부톱니를 하강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에어실린더와;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가 연동되면서 상기 하부톱니가 하강되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하부톱니를 상승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이,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사이로 이송시키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3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조절기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측으로 올릴시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에어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고 하측으로 내릴시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2에어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3에어실린더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선택스위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에 전원을 인가하는 밸브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1선택스위치는 작업자가 재봉 작업 중 자세의 변동없이 무릎의 측부로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재봉테이블의 하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일측 무릎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2스위치는 바늘을 구동시키는 구동발판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서 구동발판을 후방으로 누를시 상기 링크에 의해 스위치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재봉기계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밸브전원스위치가 온(ON)설정될시 상기 상부톱니, 상기 하부톱니, 바늘이 일반재봉이 가능하도록 자동 정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재봉기계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적 정면도로써,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재봉헤드(11)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상부톱니(12)와, 재봉테이블(15)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하부톱니(13)와, 재봉기(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 사이로 이송되어 재봉테이블(15)상에서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 사이로 진입되는 겹쳐진 두 원단이 상호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원단분리부재(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톱니제어수단,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 제어부(50), 제1스위치(44), 제2스위치(45)가 구비된다.
먼저, 톱니제어수단은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의 회전반경을 조절하여서 원단의 주름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와 연결되는 제1주름조절장치(20) 및 제2주름조절장치(30)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20) 및 제2주름조절장치(30)의 주름양 조절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를 승,하강시킨다.
여기서, 제1주름조절장치(20) 및 제2주름조절장치(3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으로 만곡되고 중앙에 가이드구멍(21a)(31a)을 가지는 가이드편(21)(31)과, 상기 가이드구멍(21a)(31a)에 지지되어서 상기 가이드구멍(21a)(31a)을 따라 톱니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이송로드(22)(32)와, 이송로드(22)(32)의 이송간격을 조절하여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가 형성하는 주름의 양이 조절되도록 가이드구멍(21a)(31a)에 체결되는 한쌍의 체결볼트(23)(33)로 구성된다.
톱니제어수단은 제1에어실린더(41) 및 제2에어실린더(42)로 구성되는바, 제1 에어실린더(41)는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20)와 연결되도록 도2와 같이 실린더로드(41a)의 자유단이 이송로드(41a)와 연결된다.
이는 실린더로드(41a)의 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20)가 연동되면서 상기 상부톱니(12)가 상승되고, 실린더로드(41a)의 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20)의 이송로드(22)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상부톱니(12)를 하강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에어실린더(42)는 도3과 같이 제2주름조절장치(30)의 이송로드(32)와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2a)의 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30)가 연동되어 이송되면서 상기 하부톱니(13)가 하강되고, 실린더로드(42a)의 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30)의 이송된 이송로드(32)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하부톱니(13)를 상승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은 원단분리부재(14)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단분리부재(14)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단분리부재(14)를 축핀(14a)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며, 이는 제3에어실린더(43)로 구성된다.
제3에어실린더(43)는 도4와 같이 원단분리부재(14)의 일측에 위치되고 실린더로드(43a)가 상기 원단분리부재(14)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43a)의 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14)를 상기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의 사이로 이송시키고, 실린더로드(43a)의 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14)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스위치(44)는, 후술할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 위치단자의 접점시 제어부(50)에서 상기 톱니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1스위치(44)는 도5와 같이 재봉테이블(15)의 하측에서 작업자의 일측 무릎 측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재봉 작업 중 자세의 변동없이 무릎의 측부로 터치가 가능해진다.
제2스위치(45)는, 후술할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2스위치(45)는 도1과 같이 바늘(P)을 구동시키는 구동발판(17)과 링크(18)에 의해 연결되어서 구동발판(17)을 후방으로 누를시 상기 링크(18)가 스위치 단자(45a)를 상측으로 밀어서 스위치를 누르게 된다.
제어부(50)는, 재봉테이블(15)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도6과 같이 도어(52)가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케이스(51) 내부에 구성된 제1솔레노이드밸브(53), 제2솔레노이드밸브(54), 제3솔레노이드밸브(55), 에어조절기(56), 제1선택스위치(61), 제2선택스위치(62), 밸브전원스위치(63)로 구성된다.
제1솔레노이드밸브(53)는, 케이스(51)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에어실린더(41)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44)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에어실린더(41)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한다.
제2솔레노이드밸브(54)는, 케이스(51)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에어실린더(42)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44)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실린더(42)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한다.
제3솔레노이드밸브(55)는, 케이스(51)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에어실린더(43)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45)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3에어실린더(43)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한다.
에어조절기(56)는, 케이스(5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3),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4),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55)에 에어를 공급한다.
제1선택스위치(61)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53),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측으로 올릴시 상기 제1스위치(44)에 의해 상기 제1에어실린더(41)가 작동되도록 하고 하측으로 내릴시 상기 제1스위치(44)에 의해 상기 제2에어실린더(42)가 작동되도록 한다.
제2선택스위치(62)는, 상기 제2스위치(45),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3에어실린더(43)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밸브전원스위치(63)는 상술한 제1솔레노이드밸브(53) 및 제2솔레노이드밸브(54)에 전원을 인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봉테이블(15) 하부에 구비된 동력모터(16)가 재봉기계(100)의 전체 전원이 온(ON)될시 자동으로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 바 늘(P)을 일반 재봉이 가능하도록 자동적으로 정위치 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재봉기계는, 일반적인 재봉 작업중 주름재봉 작업으로의 작업전환이 매우 용이한바, 그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최초 재봉기계(100)의 전원이 온(ON)되면 상부톱니(12), 하부톱니(13), 바늘(P)은 정위치, 즉 바늘(P) 및 상부톱니(12)는 재봉테이블(15)의 원단공급면(19)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로 정위치되고, 하부톱니(13)는 원단공급면(19)의 상측으로 어느 정도 돌출된 상태로 정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재봉 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일반재봉중 주름재봉의 작업으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다.
즉, 서로 겹쳐진 두 원단을 일반재봉하는 중 그 원단의 일부에 미리 정해진 만큼의 부분 주름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50)의 밸브전원스위치(63)를 온(ON)시키며, 제2선택스위치(62)를 온(ON)시킨다.
이후에 바늘을 구동조작하는 구동발판(17)을 후방 즉, 작업자측으로 누르면 구동발판(17)에 연결된 링크(18)가 상승되면서 제2스위치(45)의 스위치단자(45a)를 누르며, 이때 원단분리부재(14)는 겹쳐진 두 원단의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원단에 주름을 잡기위해 제어부(50)의 제1선택스위치(61)를 상측으로 올리면 제1스위치(44)에 의해 제1솔레노이드밸브(53)만이 작동되는 상태로 설정되고, 작업자의 무릎 일측에 위치된 제1스위치(44)를 작업자가 무릎 측부로 누르면 제1에어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1a)가 전진되고, 제1주름조절장치(20)의 연결된 이송로드(22)가 가이드홈(21a)을 따라 이송되어 하강되며, 그 작동에 의해 링크(미도시)들에 의해 연결된 상부톱니(12)는 상승되어서 상부톱니(12)의 회전반경이 제1주름조절장치(20)의 이송로드(22)가 이송된 만큼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부톱니(12)가 회전되면서 원단을 끌어오는 시간적 간격이 조절되어서 원단의 주름양이 조절된다.
조절된 주름양에 따라 상부톱니(12)가 원단의 주름을 형성하면, 이와 동시에 바늘(P)이 상부원단 및 하부원단을 재봉하여 형성된 주름이 펴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주름 작업중 다시 일반재봉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무릎 측부로 제1스위치(44)를 한번 더 누르면 제1솔레노이드밸브(53)가 닫히면서 제1에어실린더(41)로의 에어공급이 차단되고, 제1에어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1a)는 후진되어서 상부톱니(12)를 최초위치로 정위치 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발판(17)을 후방측으로 한번 더 누르면 원단 사이에 위치된 원단분리부재(14)는 원단 사이에서 이탈되어 최초위치로 이송되어 위치된다.
이에 따라, 다시 일반재봉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일반 재봉작업중에 겹쳐진 두 원단 중 하부의 원단에 주름을 형성시는 제어부(50)의 제1선택스위치(61)를 하측으로 내리면 제2솔레노이드밸브(54)만이 작동되는 상태로 설정되고, 제1스위치(44)를 작업자가 무릎 측부로 누르면 제2에어실린더(42)에 에어가 공급되면서 실린더로드(42a)가 전진되어서 하부톱니(13)가 하강되며, 이후는 상부 주름 형성시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고안 재봉기계는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의 승하강이 신속 히 조작되어서 일반재봉 도중 주름재봉으로의 전환이 신속해지며, 이에 따라 최초 공급된 원단에 일반가공 및 부분적인 주름가공의 작업이 필요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일반재봉중 주름재봉으로 전환할시 상부주름 재봉 또는 하부주름 재봉의 작업을 신속하게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공장에서 대량의 원단을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 작업시 주름재봉을 위해 상부톱니 또는 하부톱니의 위치설정이 수동으로 조작되어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러워 하나 이상의 재봉기를 사용하여 각각의 재봉기계에서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으로 분할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던 문제가 해결되고, 이에 따라, 대량의 원단을 재봉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계(100)에서 신속한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을 전환하면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공정 수 감소에 따라 작업인원이 감소되어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계에 의하면, 주름을 형성하는 상부톱니(12) 및 하부톱니(13)의 위치설정이 신속하고 간편하여 일반재봉 도중 주름재봉으로의 신속한 전환이 가능하며, 일반재봉 도중 원단의 필요한 부위에 부분적인 주름재봉을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고, 공장의 대량작업시 분할적으로 이루어졌던 일반재봉 및 주름재봉을 필요에 따라 한번에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공정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공장의 작업인원이 감소되어서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재봉헤드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상부톱니와, 재봉테이블측에 구비되어 원단을 이송시키는 하부톱니와, 재봉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 사이로 이송되어 재봉테이블상에서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 사이로 진입되는 겹쳐진 두 원단이 상호 이격되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원단분리부재를 포함하는 재봉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회전반경을 조절하여서 원단의 주름양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와 연결되는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 및 제2주름조절장치의 주름양 조절 간격에 따라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를 승,하강시키는 톱니제어수단과;
    상기 원단분리부재와 연결되도록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좌,우측으로 이송시키는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재봉테이블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톱니제어수단 및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톱니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반복적인 스위치단자의 접점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제어수단이,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가 연동되면서 상기 상부톱니가 상승되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제1주름조절장치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상부톱니를 하강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에어실린더와;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와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가 연동되면서 상기 하부톱니가 하강되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제2주름조절장치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하부톱니를 상승시켜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분리부재 제어수단이,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위치되고 실린더로드가 상기 원단분리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실린더로드의 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상기 상부톱니 및 하부톱니의 사이로 이송시키고, 실린더로드의 후진시 상기 원단분리부재를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3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도어가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2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3에어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의 접점 작동에 따라 상기 제3에어실린더에 에어를 공급 및 차단하는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조절기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상측으로 올릴시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1에어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고 하측으로 내릴시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상기 제2에어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1선택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상기 제3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제3에어실린더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선택스위치,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 및 제2솔레노이드벨브에 전원을 인가하는 밸브전원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작업자가 재봉 작업 중 자세의 변동없이 무릎의 측부로 터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재봉테이블의 하측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일측 무릎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는 바늘을 구동시키는 구동발판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서 구동발판을 후방으로 누를시 상기 링크에 의해 스위치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전원스위치가 온(ON)설정될시 상기 상부톱니, 상기 하부톱니, 바늘이 일반재봉이 가능하도록 자동 정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계.
KR1020070057684A 2007-06-13 2007-06-13 재봉기계 KR20080109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84A KR20080109401A (ko) 2007-06-13 2007-06-13 재봉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684A KR20080109401A (ko) 2007-06-13 2007-06-13 재봉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01A true KR20080109401A (ko) 2008-12-17

Family

ID=4036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684A KR20080109401A (ko) 2007-06-13 2007-06-13 재봉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4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45B1 (ko) * 2008-06-02 2011-05-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주름형성이 가능한 상하송 미싱
CN111020899A (zh) * 2019-12-09 2020-04-17 湖州宏仔服饰有限公司 一种能够适用于不同尺寸的服装加工用打皱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45B1 (ko) * 2008-06-02 2011-05-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주름형성이 가능한 상하송 미싱
CN111020899A (zh) * 2019-12-09 2020-04-17 湖州宏仔服饰有限公司 一种能够适用于不同尺寸的服装加工用打皱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35034B (zh) 带环缝制装置以及带环缝制装置的控制方法
JPH08117470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におけるテープの供給方法及 びその装置
JP5253947B2 (ja) ベルトループ縫いミシン
KR20080109401A (ko) 재봉기계
CN108691102B (zh) 有朴袖侧加工机构及其方法
JP5689590B2 (ja) ミシン
KR100640302B1 (ko) 벨트루프 봉합 재봉틀
US3434439A (en) Material stitching and guiding apparatus
JP2005130888A (ja) 自動縫製装置
JPH0686882A (ja) ミシンにおける布地保持装置と基布搬送装置
CN111926470A (zh) 缝纫机
JP2655760B2 (ja) 縫製装置
JP2003181170A (ja) ボタン穴かがり縫いミシン
JPH03264087A (ja) 縫製装置の布地自動装填装置
JPH0148030B2 (ko)
CN210856575U (zh) 驳领设备
KR101027591B1 (ko) 재봉틀의 눌러올리는 장치
GB2077777A (en) Sewing unit with worktable
US4559883A (en) Sewing machine for forming a plurality of seams
KR101082400B1 (ko) 포켓세터의 바지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지 가이드 방법
CN220034881U (zh) 用于自动缝纫织物对象的缝纫设备
CN101638832B (zh) 嵌条缝制缝纫机
JP6389665B2 (ja) ベルトループ付けミシン及びベルトループ縫い付け方法
WO1997044516A1 (fr) Appareil de surjetage pour pieces de tissu simples telles que des mouchoirs
JPH10314479A (ja) ミシン用のベルトループ片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