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460A -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 Google Patents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460A
KR19980015460A KR1019960034763A KR19960034763A KR19980015460A KR 19980015460 A KR19980015460 A KR 19980015460A KR 1019960034763 A KR1019960034763 A KR 1019960034763A KR 19960034763 A KR19960034763 A KR 19960034763A KR 19980015460 A KR19980015460 A KR 1998001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mperature sensor
temperature
output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0723B1 (ko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7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5In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refresh, e.g. hidden refresh, self refresh, pseudo-S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26Temperature related aspects of refresh oper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1Modifications of generator to compensate for variations in physical values, e.g. voltage, temperature

Abstract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개시한다.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 셀프-리프레쉬 모드 신호에 의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온도 감지기를 구동시키는 지연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유지하는 샘플 앤 홀드(Sample Hold) 회로; 및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과 셀프-리플레쉬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주기가 제어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와 이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구현함으로써 디램의 리프레쉬 간격을 적절히 크게 하여 디램의 셀프-리프레쉬 모드시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에 의해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휴대용 전자 장비가 널리 사용되면서, 사용되는 소자의 저전력 소비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슬립(sleep) 모드에서의 전류 소비는 리프레쉬(refresh) 동작을 필요로 하는 디램(DRAM)이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디램의 셀프-리프레쉬 모드시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어 왔다.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하는 배터리 백업(Battery backup) 모드에 있어서 소비 전류는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배터리백업 전류 = (리프레쉬전류/리프레쉬간격) + 스탠드바이 전류
위의 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백업 전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리프레쉬 간격(refresh interval)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간격은 셀의 데이타 보존 능력(retention capability)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타 보존 능력은 온도, 전원 전압, 공정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온도가 높아지면 셀의 데이타 보존 시간이 현저하게 감소하므로 리프레쉬 간격의 최대값을 제한하게 된다. 하지만 온도가 낮은 경우는 데이타 보존 시간이 길기 때문에 리프레쉬 간격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다. 우리가 관심 있는 슬립 모드 등 배터리 백업 모드에서는 주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이므로, 셀프-리프레쉬 모드에서는 리프레쉬 간격을 보통 모드에서의 간격보다 길게 가져가는 것이 가능하며, 이렇게 하여 위의 배터리 백업 전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를 구현한 종래의 기술로는 도 1에 도시한 온도 감지기(temperature detector)를 사용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온도 감지기는 6개의 인버터(11, 15, 19, 23, 27, 31)와 2개의 낸드 게이트(35, 37) 및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N웰-, 게이트폴리-저항((13, 17, 21, 25, 29, 33)으로 이루어지며, 주위의 온도가 어떤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 여부를 TEMP_DET 노드의 하이(High)/로우(Low) 출력으로 나타낸다. 이 출력을 받아 2개의 셀프-리프레쉬 카운터 중 어느 하나를 온도에 의해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데이타 보존 시간이 약 40℃부터 70℃ 사이에서 현저하게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반해, 종래의 기술로 구현한 온도 감지기는 다양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출력값을 나타내지 못하고, 오직 하이(High)/로우(Low)의 두 가지 출력만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기준 온도보다 아주 낮은 온도에서도 기준 온도 근처에서와 같은 리프레쉬 간격을 갖게 된다. 즉, 기준 온도 이하에서나 기준 온도 이상에서 온도에 따라 리프레쉬 간격을 변화시킬 수 없고, 같은 리프레쉬 간격을 가짐으로서, 불필요한 배터리 백업 전류를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를 제안하고 이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온도 감지기에 관한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의 일 실시 예에 관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로도.
도 5a 내지 도 5c에는 온도 감지기 출력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각각 40℃, 70℃에서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 시뮬레이션 결과에 관한 그래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 셀프-리프레쉬 모드 신호에 의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온도 감지기를 구동시키는 지연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유지하는 샘플 앤 홀드(Sample Hold) 회로; 및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과 셀프-리플레쉬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주기가 제어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감지기는 온도 의존성이 다른 제1, 제2의 저항 요소가 있고, 상기 두 저항 요소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이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저항 요소 양단에 제1, 제2 전압 강하를 유발시키는 온도 검출단; 과 상기 제1, 제2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저항 요소는 저항체로, 제2 저항 요소는 게이트,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는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커패시터; 상기 전류원과 상기 차동 증폭단을 제어 하는 신호가 이와 연동해서 동작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꺼져 있는 동안 레벨을 홀드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직렬 결합으로 이루어진 홀수 개의 인버터들;과 상기 인버터들 출력단의 전체 또는 일부에 각각 드레인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에 게이트가 접속된 트랜지스터들; 과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는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단자는 파워 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버터들이 바라보는 용량성 부하 값이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실레이터 출력의 진동 주기가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디램의 셀프-리프레쉬 동작 카운터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와, 이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구현함으로써 디램의 리프레쉬 간격을 적절히 크게 하여 디램의 셀프-리프레쉬 모드시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100) 및 이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진동 주기가 조절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조 도면은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100)와 셀프-리프레쉬 모드 신호에 의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온도 감지기를 구동시키는 지연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연 수단(152,154)과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유지하는 샘플 앤 홀드(Sample Hold) 회로(160) 및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과 셀프-리플레쉬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주기가 제어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로 이루어져 있다.
그 동작을 설명하면, 온도 감지기(100)의 출력 v_cont은 샘플 앤 홀드 회로(160)로 입력되고, 샘플 앤 홀드 회로(22)는 셀프-리프레쉬 모드를 나타내는 PSELF 신호를 받아 일정 시간 동안만 온도 감지기(100)를 구동시키는 enable'신호와 거의 같은 위상을 갖는 enable 신호에 의해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커패시터(162)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샘플 앤 홀드 회로(160)가 필요한 이유는 온도 감지기(100)의 전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샘플 앤 홀드 회로(160)의 출력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의 제어용 전압 cont로 입력되어, PSELF에 의해 동작을 시작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의 주기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상기 cont의 전압이 높으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의 주기가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상기 cont의 전압은 감소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의 회로도이다. 이 회로는 크게 온도 검출단(110)과 증폭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온도 검출단은 전류원(114, 116)으로부터 일정 전류를 공급받는 저항(118)과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120) 양단의 전압 a, b(122, 124)를 출력하며, 이 a, b의 차이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단(130)은 차동 증폭기(134, 136, 138, 140)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저항(118) 양단의 전압 a는 온도가 증가하면 높아지며,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120) 양단의 전압 b는 임계 전압의 온도 특성을 따라 온도가 증가하면 낮아진다. 따라서 전압 a, b가 특정 온도에서 교차하도록 하면, 그 특정 온도를 기준으로 a, b의 기호가 바뀌게 된다. 이 정도를 차동 증폭기(134, 136, 138, 140)가 증폭하여서 상기 특정 온도 주위에서 출력 전압 v_cont를 변화시킨다. 만약 이 증폭단(130)의 증폭률이 크다면 출력 전압 v_cont는 디지탈적으로 하이(High)/로우(Low) 천이를 하겠고, 증폭률이 적을 경우에는 출력 전압 v_cont이 아나로그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본 발명을 기존의 방법처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b 노드와 그라운드(GND) 사이에 다이오드형 트랜지스터(120) 대신 저항(118)보다 온도 의존성이 훨씬 작은 저항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온도 감지기 회로는 enable'(16)이 하이(high)인 경우에만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인버터들(102, 104, 106, 142)은 온도 검출단 전류원, 증폭단의 전류원과 상기 차동 증폭단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로도이다.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직렬 결합으로 이루어진 홀수 개의 인버터들(204, 210, 216, 222,228)과 상기 인버터들 출력단의 전체 또는 일부에 각각 드레인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온도 검출단의 출력에 게이트가 접속된 트랜지스터들(206, 212, 218, 224, 230)과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는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단자는 파워 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들(208, 214, 220, 226, 230)로 이루어진다. PSELF 신호에 의해 in 신호가 입력되는 인버터(202)는 오실레이터의 동작을 작동 및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도 2의 온도 감지기(100)의 출력은 샘플 앤 홀드 회로(160)에 의해 저장된 후에 cont 단자의 전압에 의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200)의 진동주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cont 단자의 전압이 높은 정도에 따라 링 오실레이터의 단위 인버터의 용량성 부하(capacitive load) 값이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cont 단자의 전압이 높으면 단위 인버터의 지연 시간이 길어지고 전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기가 길어지게 된다. 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동작은 최초 in 단자가 하이(high)가 될 경우에 시작되며, 여기서는 셀프-리프레쉬 신호인 PSELF가 in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온도 감지기 출력 v_cont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각각 40℃, 70℃에서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 vco_out가 cont 및 enable 신호와 함께 나타나 있다.
도 5a에는 앞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 출력 v_cont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그려져 있는데 설명한 대로 온도에 따라 연속적으로 출력 전압값이 변하였음을 볼 수 있다.
도 5b와 도 5c에는 각각 40℃, 70℃에서의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출력 vco_out가 cont 및 enable 신호와 함께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도 볼 수 있듯이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기가 온도 변화에 따라 거의 2배 이상 연속적으로 변한다. 실제 리프레쉬 간격이 수백 ㎲인 것은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인버터 단수를 늘리고 단위 인버터의 지연 시간을 늘림으로써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기 및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의 주기를 제어하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셀프-리프레쉬용 오실레이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7)

  1. 온도에 따라 출력 전압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갖는 온도 감지기;
    셀프-리프레쉬 모드 신호에 의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상기 온도 감지기를 구동시키는 지연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연 수단;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유지하는 샘플 앤 홀드(Sample Hold) 회로; 및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과 셀프-리플레쉬 모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주기가 제어되는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기는 온도 의존성이 다른 제1, 제2의 저항 요소가 있고, 상기 두 저항 요소에 일정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이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저항 요소 양단에 제1, 제2 전압 강하를 유발시키는 온도 검출단; 과 상기 제1, 제2 전압의 차이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요소는 저항체로, 제2 저항 요소는 게이트, 드레인이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수단은 짝수개의 인버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는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을 샘플링하는 커패시터; 상기 전류원과 상기 차동 증폭단을 제어 하는 신호가 이와 연동해서 동작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가 꺼져 있는 동안 레벨을 홀드하는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는 직렬 결합으로 이루어진 홀수 개의 인버터들;과 상기 인버터들 출력단의 전체 또는 일부에 각각 드레인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샘플 앤 홀드 회로의 출력에 게이트가 접속된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트랜지스터들의 소스는 제1 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단자는 파워 또는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들이 바라보는 용량성 부하 값이 상기 온도 감지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실레이터 출력의 진동 주기가 온도에 따라 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KR1019960034763A 1996-08-21 1996-08-21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KR10020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763A KR100200723B1 (ko) 1996-08-21 1996-08-21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763A KR100200723B1 (ko) 1996-08-21 1996-08-21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460A true KR19980015460A (ko) 1998-05-25
KR100200723B1 KR100200723B1 (ko) 1999-06-15

Family

ID=1947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763A KR100200723B1 (ko) 1996-08-21 1996-08-21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7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97B1 (ko) * 1997-12-29 2005-08-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준전압발생회로
KR100605581B1 (ko) * 2004-12-28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콘택 저항의 온도 특성을 이용한 디지털 온도 감지기 및그를 사용한 셀프 리프레시 구동장치
KR100712554B1 (ko) * 2006-05-0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클럭 신호의 주기 변화를감소시킬 수 있는 오실레이터
KR100546164B1 (ko) * 1998-10-19 2007-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주기 제어장치
KR100832029B1 (ko) * 2006-09-28 2008-05-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정보 출력 장치 및 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0834403B1 (ko) * 2007-01-03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안정적인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장치 및셀프리프레쉬주기 제어신호 생성방법
KR100857856B1 (ko) * 2007-06-26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정보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990B1 (ko) * 2001-12-12 2005-12-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KR100520580B1 (ko) * 2002-07-16 2005-10-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611775B1 (ko) 2003-12-29 2006-08-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변화에 따라 최적의 리프레쉬 주기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KR100666928B1 (ko) 2004-02-19 2007-01-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변화에 따라 최적의 리프레쉬 주기를 가지는 반도체메모리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97B1 (ko) * 1997-12-29 2005-08-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기준전압발생회로
KR100546164B1 (ko) * 1998-10-19 2007-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주기 제어장치
KR100605581B1 (ko) * 2004-12-28 2006-07-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콘택 저항의 온도 특성을 이용한 디지털 온도 감지기 및그를 사용한 셀프 리프레시 구동장치
US7312509B2 (en) 2004-12-28 2007-12-25 Hynix Semiconductor Inc. Digital temperature sensing device using temperature depending characteristic of contact resistance
KR100712554B1 (ko) * 2006-05-0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또는 온도 변화에 따른 클럭 신호의 주기 변화를감소시킬 수 있는 오실레이터
KR100832029B1 (ko) * 2006-09-28 2008-05-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 정보 출력 장치 및 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
US7965571B2 (en) 2006-09-28 2011-06-21 Hynix Semiconductor Inc. On die thermal sensor
KR100834403B1 (ko) * 2007-01-03 2008-06-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안정적인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메모리장치 및셀프리프레쉬주기 제어신호 생성방법
KR100857856B1 (ko) * 2007-06-26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온도정보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072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990B1 (ko) 온도 의존성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전류발생회로와 인버터와 발진회로
KR940009250B1 (ko) 복수개의 동작전압에 대응하는 리프레쉬 타이머
KR0172234B1 (ko) 셀프 리프레쉬 주기 조절장치
JP3752107B2 (ja) 集積回路用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KR970006604B1 (ko) 기준전위발생회로와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집적회로
US4682306A (en) Self-refresh control circuit for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413380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8283609B2 (en) On die thermal sensor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49947B1 (ko) 집적회로용 기준전압 발생회로
US20030132741A1 (en) Low power oscillator circuit
KR100200723B1 (ko) 온도 감지기를 구비한 전압 제어 오실레이터
KR20010107692A (ko) 기판전위 감지회로 및 기판전위 발생회로
US6404690B2 (en) Refresh drive circuit for a DRAM
US6483357B2 (en) Semiconductor device reduced in through current
JP4031630B2 (ja) オシレータ回路等の電子デバイスによって生成される交流信号の振幅制御
US20060229839A1 (en) Temperature sensing and monitoring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20080143449A1 (en) Temperature-sensitive current source
US6385120B1 (en) Power-off sta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JP2003017989A (ja) 低電流クロックセンサ
US6337598B1 (en)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device and gen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26880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장치
KR0169596B1 (ko) 메모리 소자의 셀프 리프레쉬 주기변환 장치
JP2000163955A (ja) リフレッシュタイマー及びそのリフレッシュ周期の調整方法
KR20060011588A (ko) 온도보상 발진회로
KR10052058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