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790U -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 Google Patents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790U
KR19980011790U KR2019960025313U KR19960025313U KR19980011790U KR 19980011790 U KR19980011790 U KR 19980011790U KR 2019960025313 U KR2019960025313 U KR 2019960025313U KR 19960025313 U KR19960025313 U KR 19960025313U KR 19980011790 U KR19980011790 U KR 19980011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rrier
spare
spare wheel
chain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25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790U/ko
Publication of KR19980011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79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에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스페어 휠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4)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2)의 안쪽면에 ㄷ자채널형상의 가이드레일(8)이 대항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8)에 끼워져서 안내이동되는 로울러(9)는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의 측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의 구성도이고,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의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어 휠 캐리어2 : 브라켓
3 : 익스텐션 샤프트4 : 핀
5 : 스페어 타이어 6 : 체인
7 : 타이어 써포트8 : 가이드레일
9 : 로울러
본 고안은 트럭 등에 장착되는 스페어 휠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어 휠 캐리어가 브라켓에 로울러를 매기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페아 타이어를 극히 용이하게 탈.장착시킬수 있도록 된 스페어 휠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특히 주행중에 예기치 못하게 타이어가 펑크되거나 손상되어 더이상 안전주행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를 교체해주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페아 타이러를 자동차에 싣고 다니게 되는 데, 트럭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트렁크룸과 같이 별도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체의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를 매개로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 휠 캐리어를 사용해서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키는 장착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를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4)를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매개로 체인(6)이 스페어 타이어(5)의 휠을 관통해서 늘어지게 한 다음에 체인(6)의 끝부위에 후크를 매개로 상기 타이어 써포트(7)를 걸어주고 나서 다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스페어 타이어(5)가 타이어 써포트(7)에 의해 받혀진 상태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계속해서 돌려주면 스페어 타이어(5)가 차체의 하부나 써포트 등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에 렌치를 끼워서 돌려주기만 하면 상기 체인(6)이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통해 늘어뜰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휠에 끼우어져 체인에 걸려진 타이어 써포트(7)를 체인으로 부터 빼내주면 완전하게 분리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는 종래의 스페어 휠 캐리어에 있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됨과 더불어 이 익스텐션 샤프트(3)의 끝부위에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가 차체안쪽 방향으로 들어간 상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어 휠 캐리어(1)에 체인(6)을 매개로 걸려지는 스페어 타이어도 결국에는 차체의 후단부로 부터 차체 안쪽방향으로 어느 정도 들어간 상태로 장착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스페어 타이러를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탈·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차체 밑으로 들어가서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 밖으로 끌어내어야 하므로,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 작업이 힘이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페어 휠 캐리어가 브라켓에 로울러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탈.장착시킬 때에 스페어 휠 캐리어를 차체 바깥쪽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동시켜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가 핀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를 하부에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의 안쪽면에 ㄷ자채널형상의 가이드레일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에 끼워져서 안내 이동되는 로울러는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의 측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를 잡고서 당기거나 밀어주게 되면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가 차체 안쪽 방향이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이 스페어 휠 캐리어에 체인을 매개로 지지된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의 분리사시도인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고, 명세서를 간략하게 기술하기 위해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각 브라켓(2)의 안쪽면에 ㄷ자채널형상의 가이드레일(8)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8)에 끼워져서 안내이동되는 로울러(9)는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의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로울러(9)를 매개로 브라켓(2)의 가이드레일(8)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레일(8)을 따라 안내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어 타이어(5)를 탈거시키고자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면 스페어 타이어(5)가 차체의 써포트로 부터 이격되어 떨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로울러(9)를 매개로 가이드레일(8)을 따라 차체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이 스페어 휠 캐리어(1)에 체인(6)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는 스페어 타이어(5)도 차체 바깥쪽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작업자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기 위해 차체 밑으로 들어가서 작업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스페어 타이어를 재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차체 안쪽 방향으로 밀어 넣어서 스페어 휠 캐리어(1)를 소정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 익스텐션 샤프트(3)를 돌리면,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나 써포트에 밀착되게 되므로 스페어 타이어가 흔들리거나 위치이탈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의하면, 스페어 휠 캐리어를 가이드레일을 따라 차체 안쪽 혹은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4)를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켓(2)의 안쪽면에 ㄷ자채널 형상의 가이드레일(8)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8)에 끼워져서 안내 이동되는 로울러(9)는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의 측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2019960025313U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199800117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313U KR19980011790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313U KR19980011790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790U true KR19980011790U (ko) 1998-05-25

Family

ID=5397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313U KR19980011790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7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69B1 (ko) * 2000-09-20 2002-09-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69B1 (ko) * 2000-09-20 2002-09-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133A (en) Retractable spare tire carrier
EP0563463B1 (en) A device for loading, unloading and carrying bicycles on the roof of motor vehicles provided with a pair of carrier rails
US6547115B1 (en) Bicycle transporting device for vehicle
JPH11512676A (ja) 車載荷台のための装置
CA1221678A (en) Vehicle lifting device
US6705822B2 (en) Loader for mounting a kayak or similar load onto the roof of an automobile
KR19980011790U (ko)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101961709B1 (ko) 자동차용 문 거치 장치
CA1161081A (en) Sun visor system for trucks
JPH0834295A (ja) 車両用手荷物保持装置
KR19980011789U (ko)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US3433448A (en) Rearview mirror supporting device
JPH1029465A (ja) 車載標識装置
KR20050022923A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19980016091A (ko) 스페어 휠 캐리어의 여유 체인 고정장치
US20020040916A1 (en) Carrying rack for vehicle
JPH0628341Y2 (ja) 移動式鳥居を有したトラック
JPH0629170Y2 (ja) バスのスペアタイヤ格納装置
JP3013807U (ja) 自動車断熱カバー
JPS5830769Y2 (ja) スペアタイヤキヤリヤ
KR900011225Y1 (ko) 차량용 예비타이어 고정장치
JPS6221487Y2 (ko)
KR0132251B1 (ko)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및 탈거장치
SU12635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и креплени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SU16239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на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