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789U -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 Google Patents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789U
KR19980011789U KR2019960025312U KR19960025312U KR19980011789U KR 19980011789 U KR19980011789 U KR 19980011789U KR 2019960025312 U KR2019960025312 U KR 2019960025312U KR 19960025312 U KR19960025312 U KR 19960025312U KR 19980011789 U KR19980011789 U KR 199800117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rrier
chain
spare
extension shaft
spar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25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789U/ko
Publication of KR19980011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78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고안은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럭의 차체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을 매개로 고정되게 정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4)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에 왼나사부(3a)가 소정길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이동부시(8)가 익스텐션 샤프트(3)에 끼워져서 익스텐션 샤프트(3)의 회전력으로 익스텐션 샤프트(3)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왼나사부(3a)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시(8)는 링크(9)를 통해 체인(6)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의 구성도이고,
제 2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의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의 분리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로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어 휠 캐리어2 : 브라켓
3 : 익스텐션 샤프트4 : 핀
5 : 스페어 타이어 6 : 체인
7 : 타이어 써포트8 : 이동부시
9 : 링크
본 고안은 트럭 등에 장착되는 스페어 휠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의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스페어 휠 캐리어에 극히 용이하게 탈.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특히 주행중에 예기치 못하게 타이어가 펑크되거나 손상되어 더이상 안전주행을 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를 교체해주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자동차에 싣고 다니게 되는 데, 트럭의 경우에는 승용차의 트렁크 룸과 같이 별도의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체의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 매개로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 휠 캐리어를 사용해서 스페어 타이어을 장착시키는 장착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흴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 (4)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서 체인길이 조절정치를 매기로 체인(6)이 스페어 타이어(5)의 휠을 관통해서 늘어지게 한 다음에 채인(6)의 끝부위에 후크를 매개로 상기 타이어 써포트(7)를 걸어주고 나서 다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스페어 타이어(5)가 타이어 써포트(7)에 의해 받혀진 상태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계속해서 돌려주면 스페어 타이어(5)가 차체의 하부나 써포트 등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지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에 렌치를 끼워서 돌려주기만 하면 상기 체인(6)이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통해 늘어뜨려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휠에 끼워져 체인에 걸려진 타이어 써포트(7)를 체인으로 부터 빼내주면 완전하게 분리되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체인을 사용하는 종래의 스페어 휠 캐리어에 있어서는,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됨과 더불어 이 익스텐션 샤프트(3)의 끝부위에 상기 스페어 휠 캐리어(1)가 차체안쪽 방향으로 들어간 상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어 휠 캐리어(1)에 체인(6)을 매개로 걸려지는 스페어 타이어도 결국에는 차체의 후단부로 부터 차체 안쪽방향으로 어느 정도 들어간 상태로 장착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스페어 타이어를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탈,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차체 밑으로 들어가서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 밖으로 끌어내어야 하므로, 스페어 타이어의 탈. 장착 작업이 힘이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탈.장착시키기 위해 익스텐션 샤프트를 돌리면 체인의 선단부가 차체 바깥쪽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동되도록 하여 체인에 스페어 타이어를 걸어주거나 스페어 타이어를 탈거시키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가 브라켓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가 핀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에 왼나사부가 소정길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이동부시가 익스텐션 샤프트에 끼워져서 익스텐션 샤프트의 회전력으로 익스텐션 샤프트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왼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시는 링크를 통해 체인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시에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를 회전시키면 이동부시가 익스텐션 샤프트를 따라 이동되면서 체인을 당기거나 풀어주게 되어, 체인에 걸려져 있는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의 분리사시도인바, 종래 기술을 나타내는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고, 명세서를 간략하게 기술하기 위해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에 왼나사부(3a)가 소정길이로 형성됨과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이동부시(8)가 익스텐션 샤프트(3)에 끼워져서 상기 왼나사부(3a)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이동부시(8)는 링크(9)를 통해 체인(6)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를 시계방향이나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이동부시(8)가 익스텐션 샤프트(3)를 따라 차체 바깥쪽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차에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어, 링크(9)를 매개로 상기 체인(6)을 잡아당겨 주거나 혹은 늘어뜨려 주게 되어 있다.
즉,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5)를 탈거시키기 위해 상기 이기스텐션 샤프트(3)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스페어 타이어(5)가 스페어 휠 캐리어(1)로 부터 분리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부시(8)가 익스텐션 샤프트(3)의 회전력으로 익스텐션 샤프트(3)를 따라 차체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링크(9)를 매개로 체인(6)을 차체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주게 되므로, 결국에는 체인(6)에 매달려 있는 스페어 타이어(5)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면 작업자가 스페어 타이어를 체인으로 부터 탈거시키거나 혹은 재장착시키는 작업이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탈거된 스페어 타이어를 손상된 타이어와 교환해준 다음에 재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체인(6)에 타이어를 걸어준 다음에 익스텐션 샤프트(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인(6)이 감겨지면서 스페어 타이어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부시(8)는 다시 차체의 안쪽 방향으로 익스텐션 샤프트(3)를 따라 이동되어 링크(9)를 매개로 잡아 당겨주고 있던 체인(6)을 다시 풀어주게 되므로, 스페어 타이어를 스페어 휠 캐리어(1)를 매개로 차체에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데에 장해를 주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의하면, 익스텐션 샤프트의 조작에 따라 체인에 걸려진 스페어 타이어의 위치가 이동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탈·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럭의 차체 하부에 스페어 휠 캐리어(1)가 브라켓(2)을 매개로 고정되게 장착되고, 이 스페어 휠 캐리어(1)에 내장된 체인길이 조절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익스텐션 샤프트(3)가 핀(4)을 매개로 스페어 휠 캐리어(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길이 조절장치에는 스페어 타이어(5)를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체인(6)이 걸쳐져 있는 한편, 이 체인(6)의 선단부에 후크를 매개로 걸려져 스페어 타이어(5)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타이어 써포트(7)가 구비된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샤프트(3)에 왼나사부(3a)가 소정길이로 형성됨과 더불어 내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이동부시(8)가 익스텐션 샤프트(3)에 끼워져서 익스텐션 샤프트(3)의 회전력으로 익스텐션 샤프트(3)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왼나사부(3a)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이동부시(8)는 링크(9)를 통해 체인(6)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2019960025312U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199800117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312U KR19980011789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312U KR19980011789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789U true KR19980011789U (ko) 1998-05-25

Family

ID=5397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312U KR19980011789U (ko) 1996-08-22 1996-08-22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78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014A (ko) * 2001-04-23 2002-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014A (ko) * 2001-04-23 2002-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3133A (en) Retractable spare tire carrier
US5092504A (en) Bicycle rack for pick-up truck
US3734560A (en) Retractable hinge structure for a truck tailgate
US4598848A (en) Spare tire carrier
US5531558A (en) Spare tire lifting device
KR19980011789U (ko)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WO1999064272A1 (fr) Dispositif servant a transporter une bicyclette dans un vehicule
KR100680831B1 (ko) 와이어 타입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9980011790U (ko) 스페어 휠 캐리어구조
KR0160249B1 (ko) 스페어 휠 캐리어의 여유 체인 고정장치
US3965956A (en) Bumper mounted spring driven tire installer and remover
EP0994011B1 (en) A motor vehicle wheel carrier
KR900011225Y1 (ko) 차량용 예비타이어 고정장치
KR200200113Y1 (ko) 자동차의 스패어타이어 행거장치
KR100461828B1 (ko) 차량용 예비 타이어의 캐리어장치
KR0107721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코일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KR200204149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19980052997U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행거장치
KR19990031288U (ko) 화물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탈, 장착장치
KR200143882Y1 (ko) 자동차의 자키
JPH0131536Y2 (ko)
KR970005629Y1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구조
KR19980078208A (ko) 지프형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리프트
KR19980027239A (ko) 자동차의 예비 휘일 보관장치
KR200153056Y1 (ko) 스페어 타이어 마운팅 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