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1626U -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1626U
KR19980011626U KR2019960025145U KR19960025145U KR19980011626U KR 19980011626 U KR19980011626 U KR 19980011626U KR 2019960025145 U KR2019960025145 U KR 2019960025145U KR 19960025145 U KR19960025145 U KR 19960025145U KR 19980011626 U KR19980011626 U KR 199800116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blade
robot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5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60025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1626U/ko
Publication of KR19980011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162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로봇블레이드의 휨이나 로봇의 위치 틀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여 웨이퍼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는 도드락챔버의 내측면에 발광센서를 설치하고, 로봇블레이드의 측면에 수광센서를 설치하여, 발광센서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센서에서 수광하는지 여부로 로봇블레이드의 휨과 로봇의 위치 틀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로봇블레이드의 휨이나 로봇의 위치 틀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여 웨이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제1도는 종래 화학기상증착장비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2도는 종래 로봇블레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위치감지장치가 구비된 화학기상증착장비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로봇블레이드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위치감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
(a)는 정상상태.
(b)는 비정상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도드락챔버14 : 로봇블레이드
20, 20' : 발광센서21, 21' : 수광센서
본 고안은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블레이드의 변형된 상태를 감지하여 웨이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화학기상증착장비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 로봇블레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학기상증착장비는 공정 챔버(1)의 일측에 도드락챔버(2)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그 도드락챔버(2)의 내부에는 로봇(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로봇(3)의 상단부에는 카세트(4)에 수납된 웨이퍼(W)들을 상기 챔버(1)로 이동시키기 위한 로봇블레이드(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블레이드(5)에는 웨이퍼(W)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6)와 웨이퍼(W)를 흡착하기 위한 진공척(7)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8은 스토리지 엘리베이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화학기상증착장비에서 로봇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착공정을 진행할 웨이퍼(W)가 수납된 카세트(4)를 장비의 입구부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로봇블레이드(5)를 전진시켜서 웨이퍼(W)하면을 진공흡착하는 방법으로 1장씩 스토리지 엘리베이터(8)의 상면에 적재한다. 이와 같이 적재한 웨이퍼(W)가 6장이 되면 도드락챔버(2)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공정 챔버(1)의 내부로 6장의 웨이퍼(W)를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카세트(4)에 수납되어 있는 25장의 웨이퍼(W)를 공정 챔버(1)의 내부로 이동시킨 다음 증착공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증착장비에서는 웨이퍼(W)가 로봇블레이드(5)의 상면에 얹혀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6)는 설치되어 있으나, 로봇블레이드(5) 자체의 휨상태 또는 로봇(3)의 위치틀어짐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장기간 반복사용시 로봇블레이드(5)의 휨에 의하여 카세트(4)의 웨이퍼(W)를 흡착시 다른 웨이퍼(W)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로봇블레이드의 휨 또는 로봇의 위치 틀어짐을 확인하여 웨이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적합한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드락챔버의 내벽면 양측의 소정높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로봇블레이드의 양측면에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센서를 각각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위치감지장치가 구비된 화학기상증착장비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 로봇블레이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위치감지장치가 구비된 화학기상증착장비는 공정 챔버(11)의 일측면에 도드락챔버(12)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그 도드락챔버(12)의 내부에 로봇(1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로봇(13)의 상단부에는 로봇블레이드(14)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도드락챔버(12)의 내부 양측면의 소정높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센서(20)(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로봇블레이드(14)의 양측면에 상기 발광센서(20)(20')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센서(21)(2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발광센서(20)(20')에서 발광하는 빛을 상기 수광센서(21)(21')에서 수광하는지의 여부로 로봇블레이드(14)의 휨이나 로봇(13)의 위치 틀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5는 감지센서이고, 16은 진공척이며, 17은 스토리지 엘리베이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요부인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동작을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착공정을 진행할 웨이퍼(W)가 수납된 카세트를 장비의 입구부에 위치시키고, 로봇블레이드(14)를 전진시켜서 웨이퍼(W) 하면을 진공흡착하는 방법으로 1장씩 스토리지 엘리베이터(17)의 상면에 적재하며, 이와 같이 적재한 웨이퍼(W)가 6장이 되면 도드락챔버(12)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공정 챔버(11)의 내부로 6장의 웨이퍼(W)를 이동시키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25장의 웨이퍼(W)를 공정 챔버(11)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동작은 종래와 동일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챔버(11)의 내부로 웨이퍼를 로딩시키거나 언로딩시키는 동작을 진행시에 도드락챔버(12)의 내측에 설치된 발광센서(20)(20')에서 빛을 발광하고, 제5도의 (a)와 같이 수광센서(21)(21')에서 수광을 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작업을 계속 진행하며, 제5도의 (b)와 같이 수광센서(21)(21')에서 빛을 수광하지 못하면 비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작업을 멈추도록 한다.
즉, 상기 로봇블레이드(14)의 휨이 발생하거나, 로봇(13)의 위치 틀어짐이 발생한 경우에 제5도의 (b)와 같이 발광센서(20)(20')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센서(21)(21')에서 수광하지 못하므로, 이런 경우에 장비를 멈추고 장비를 수리한 후, 작업을 계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는 도드락챔버의 내측 양면에 발광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로봇블레이드의 양측에 수광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발광센서에서 발광한 빛을 수광센서에서 수광하는지 여부로 로봇블레이드의 휨과 로봇의 위치 틀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로봇블레이드의 휨이나 로봇의 위치 틀어짐이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을 계속하여 웨이퍼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드락챔버의 내벽면 양측의 소정높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로봇블레이드의 양측면에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센서를 각각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KR2019960025145U 1996-08-21 1996-08-21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KR199800116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145U KR19980011626U (ko) 1996-08-21 1996-08-21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5145U KR19980011626U (ko) 1996-08-21 1996-08-21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1626U true KR19980011626U (ko) 1998-05-25

Family

ID=5397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5145U KR19980011626U (ko) 1996-08-21 1996-08-21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16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21253A (ja) ウエハ搬送装置、ウエハの傾き検出方法、およびウエハの検出方法
US20150300960A1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operating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010043860A1 (en) Reactor for the processing of wafers, with a protection device
KR19980011626U (ko) 화학기상증착장비의 로봇블레이드 위치감지장치
JP2996491B2 (ja) アーム式搬送装置
US20050110287A1 (en) 200 MM notched/flatted wafer edge gripping end effector
KR200177279Y1 (ko) 웨이퍼 부분파손 검출장치
KR100607752B1 (ko) Smif 장치
KR100504695B1 (ko) 반도체 웨이퍼 매핑 장치
KR20060037092A (ko) 반도체 소자 제조용 장비
KR20040021427A (ko) 웨이퍼 카세트의 로딩상태 확인수단을 갖는 캐리어
KR19990031417U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로봇암
KR19990031288A (ko) 웨이퍼 이송 감지장치
JPH10166289A (ja) 半導体装置搬送装置
KR20020090492A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로드 락
KR20060092595A (ko) 웨이퍼 캐리어 로딩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050101722A (ko) 반도체 제조장치
KR100725095B1 (ko) 반도체 제조용 습식 세정설비의 웨이퍼 디텍터
KR19990012137U (ko) 반도체 에싱장비의 웨이퍼 로딩용 차저
KR20060033155A (ko) 반도체 제조설비에 있어서 맵핑장치
KR20070001473A (ko) 로드락 챔버
KR20060078838A (ko) 카세트커버의 웨이퍼 돌출 감지장치
KR19980025817A (ko) 웨이퍼 로딩/언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딩/언로딩 방법
KR20030006227A (ko) 얼라인 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 장비
KR20060063438A (ko) 웨이퍼 이송용 로봇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