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8325B1 -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Google Patents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8325B1 KR102688325B1 KR1020230104588A KR20230104588A KR102688325B1 KR 102688325 B1 KR102688325 B1 KR 102688325B1 KR 1020230104588 A KR1020230104588 A KR 1020230104588A KR 20230104588 A KR20230104588 A KR 20230104588A KR 102688325 B1 KR102688325 B1 KR 102688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ound
- soundproofing
- plate
- wa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81 foam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2 pumi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CCEKAJIANROZEO-UHFFFAOYSA-N sulfluramid Chemical group CCNS(=O)(=O)C(F)(F)C(F)(F)C(F)(F)C(F)(F)C(F)(F)C(F)(F)C(F)(F)C(F)(F)F CCEKAJIANROZ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35 volcanic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둘 이상의 H빔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음향을 흡음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방음블록; 및 상기 방음블록을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음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배면에 음파가 관통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블록형 하우징과; 상기 블록형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벽 경량화로 기존교량에 설치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및 철로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교통 소음이 수음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방향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철로변,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바퀴와 레일간의 마찰로 인한 마찰음, 공력소음 등을 흡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그런데 종래 방음벽들은 풍압과 충격에 충분히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강도 유지를 위해서 강도가 높은 메탈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는 외관을 투박하게 하여 자연친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에 사용되는 방음판은 도로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음파를 서로 반사시켜 에너지를 소멸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충분한 방음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음파의 진동을 자체 내에서 흡수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81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9237호 등에는 철망 등으로 이루어진 수납체에 다공성 재질의 흡음재를 충진하여 소음을 흡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흡음재로 발포 콘크리트나 잡석 등을 사용하여 소음제거효과가 미미하거나 방음벽의 중량이 무거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소음, 진동 등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철망 등의 내부에 충진된 흡음재가 다져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방음벽 상부에 공간이 발생하여 방음 효과가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벽 경량화로 기존교량에 설치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시간이 경과하여도 방음효과가 저하되지 않고 일정한 방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방음벽 양측에서 발생된 교통 소음이 수음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중앙 분리대 방음벽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도로변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둘 이상의 H빔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음향을 흡음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방음블록; 및 상기 방음블록을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음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배면에 음파가 관통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블록형 하우징과; 상기 블록형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양쪽 측단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 배면판 및 측면판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화산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못 또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상면 또는 하면에 패킹재가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블록과 방음블록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 내측에는, 상기 흡음재 중 일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흡음재의 하강을 방지하고, 상기 흡음재 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음블록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연장되어 하방으로 이완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흡음재 충진 후 외력에 의해 인장되어 흡음재를 상방으로 지지하여 흡음재 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는 인장 와이어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 와이어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고정되어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인장 와이어의 인장 후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고정클립 또는 쐐기형 정착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블록은, 공기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포켓과; 상기 팽창포켓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팽창포켓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포켓은, 상기 방음블록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포켓들과; 상기 단위포켓들 사이에 연통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단위포켓들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좌우 및 상하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은, 격자형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는 메쉬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다수의 원형 개구홀이 형성된 원형 타공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방음벽은, 전면 타공 알루미늄 수납체를 이용하여 화산석과 같은 다공성 흡음재를 수납체 내부에 충진하여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방음벽 경량화로 기존교량에 설치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화된 다공성 흡음재를 규격화된 하우징에 수납하여 시공하므로, 현장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 음파의 충격 등에 따라 화산석이 하방으로 다져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음재 수납체의 내부에 화산석을 상방으로 인양할 수 있는 팽창포켓을 설치함으로써, 방음벽 상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방음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화된 다공성 흡음재를 규격화된 하우징에 수납한 후 적층하여 시공하므로, 파손/훼손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하우징을 교체하여 보수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하우징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하여 흡음재를 필요에 따라 재 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벽 양측에서 발생된 교통 소음은 음파의 진행방향과 관계없이 하우징을 관통하면서 화산석에 의해 교통 소음이 흡음되므로, 양쪽의 교통 소음을 수음점으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는 중앙 분리대 방음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 중앙분리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H빔이 양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지지돌기 및 인장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설치되는 팽창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팽창포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H빔이 양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지지돌기 및 인장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설치되는 팽창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팽창포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로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교통 소음이 수음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방향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방음벽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 중앙분리대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H빔이 양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 흡음재가 충진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음벽은 상·하방향 교통 소음이 수음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는 양방향 방음벽이다.
즉, 통상의 방음벽은 도로측 소음이 도로 외측(주탁 등)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 의한 방음벽은 양방향으로의 소음 전달을 방지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음벽(1000)은 크게 지지대(100)와 방음블록(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방음벽 전체를 지면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지반에 설치된 기초 구조물 위에 일정 간격으로 중앙분리대등의 설치 지면에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로는 H 빔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음블록(200)은, 상기 지지대(100)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음향을 흡음 및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상기 방음블록(200)은 고정수단(300)에 의해 상기 지지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0)으로는, 나사못 또는 앵커볼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음블록(2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배면이 망 또는 타공 형태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블록형 하우징(210)과, 상기 블록형 하우징(210) 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흡음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블록형 하우징(2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210)은 전면판(212)과, 상기 전면판(212)에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한 장의 판재로 형성되는 배면판(213)과, 상기 전면판(212)과 배면판(213)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바닥판(214)과, 상기 전면판(212)과 배면판(213)을 양쪽 측단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면판(215) 및 상기 전면판(212), 배면판(213), 측면판(215)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판(2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212) 및 배면판(213)에는 다수의 관통공(2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하우징(210)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흡음재(220)로는 다공성 화산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산석은 일반적으로 경석 또는 다공성 현무암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산이 분출한 후 화산 유리와 광물, 기포가 모여서 형성된 다공질석이다. 화산석은 다공성으로 이루어져 가볍고 표면적이 넓어 흡음, 흡착 효과가 뛰어난 특징이 있다. 또한 검정색, 자색 등 다양한 색상과 특이한 외형으로 외관이 미려하여 건축 자재, 여과재, 정원 조경석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화산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형 하우징(210)에 충진되어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산석이 채워진 방음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지반 또는 콘크리트 기초 블록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립된 지지대(100)(H빔) 사이에 복수 개를 적층하여 끼워서 조립한 후에 앵커볼트 등 고정수단(300)에 의해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화된 다공성 흡음재(220)를 규격화된 블록형 하우징(210)에 수납하여 시공하므로, 현장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손/훼손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블록형 하우징(210) 만을 교체하여 보수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블록형 하우징(210) 상부를 개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흡음재(220)를 필요에 따라 재 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하우징(210)의 전면판(212) 및 배면판(213)은 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내부에 충진된 흡음재(220)가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개구홀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면판(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원형 개구홀이 형성된 원형 타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홀의 크기는 효과적인 흡음을 위하여 최대한 크게 형성하되, 내부에 충진된 화산석이 외부로 누출되지 아니하도록 적절한 크기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판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격자형으로 직조된 메쉬 망(2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높은 구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망(218)으로 구성되는 경우, 흡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설계조건에 따라 전면판의 구성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 타공 알루미늄 방음블록(200)을 이용하여 화산석과 같은 다공성 흡음재(220)를 방음블록(200) 내부에 충진하여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방음벽 경량화로 기존교량에 설치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도로변에 노출되는 전면판(212)의 개구홀을 통하여 화산석이 노출되게 되어, 외관이 미려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음블록(200)을 복수 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 방음블록(200)과 방음블록(20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그 사이로 소음이 흡음되지 않고 관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록형 하우징(210)은, 상면 또는 하면에 패킹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블록(200)과 방음블록(200)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재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패킹재가 방음블록(200)과 방음블록(200)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켜 음향을 차단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방음블록(200)에 흡음재(220)를 충진하여 음향을 흡수하는 타입과 같은 방음벽의 경우, 차량의 운행에 의한 지면의 진동, 방음벽에 흡수되는 음향의 진동에너지 등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음블록(200)의 내부에 충진된 흡음재(220)가 다져지는 효과가 발생하여 방음블록(200) 상부에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으로 소음이 통과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방음 효과가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음블록(200)에 충진된 흡음재(220)의 공극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에 지지돌기 및 인장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판(212) 또는 배면판(213)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40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지지돌기(400)들은 흡음재(220) 중 일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흡음재의 하강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흡음재(220) 사이의 공극을 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방음블록(200)에는, 상기 전면판(212)과 배면판(213) 사이에 연장되어 하방으로 이완된 상태로 배치되는 인장 와이어(50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10)에 흡음재(220)를 투입한 후에 상기 인장 와이어(500)를 인장시킴으로써, 흡음재(220)들 사이로 인장된 상기 인장 와이어(500)가 상기 흡음재(220)를 지지함으로써 흡음재(220) 사이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 와이어(50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판(212) 또는 배면판(213)에 고정되어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인장 와이어(500)의 인장 후 고정유닛(510)에 의해 상기 전면판(212) 또는 배면판(2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510)으로는, 고정클립 또는 보다 큰 장력이 요구되는 경우 쐐기형 정착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음블록(200) 내부에 강제로 공기를 주입시킴으로써 흡음재(220) 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는 상기 방음블록에 설치되는 팽창포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방음블록에 팽창포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음블록(200)에는 공기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포켓(610)과, 상기 팽창포켓(610)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213)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팽창포켓(610)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구(6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팽창포켓(610)은, 상기 방음블록(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포켓들(610A, 610B, 610C)과, 상기 단위포켓들(610A, 610B, 610C) 사이에 연통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단위포켓들(610A, 610B, 610C)은, 상기 방음블록(200)의 수용공간 내에 좌우 및 상하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방음블록(200) 내부의 흡음재(220)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져지게 되는 경우, 상기 공기 주입구(620)를 통해 상기 팽창포켓(610)에 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팽창포켓(610)의 부피를 증가시켜, 상기 흡음재(220)가 하방으로 밀착되어 상기 하우징(210) 상부에 빈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철로변 중앙분리대 등에 설치되어, 상·하방향 교통 소음이 수음점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양방향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면 타공 알루미늄 수납체를 이용하여 화산석과 같은 다공성 흡음재를 수납체 내부에 충진하여 소음을 흡수함으로써 방음벽 경량화로 기존교량에 설치할 수 없었던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하고 환경친화적인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지지대 200 : 방음블록
210 : 하우징 211 : 관통공
212 : 전면판 213 : 배면판
214 : 바닥판 215 : 측면판
216 : 상부판 220 : 흡음재
300 : 고정수단 400 : 지지돌기
500 : 인장 와이어 510 : 고정유닛
610 : 팽창포켓 620 : 공기주입구
630 : 연결관 1000 : 방음벽
210 : 하우징 211 : 관통공
212 : 전면판 213 : 배면판
214 : 바닥판 215 : 측면판
216 : 상부판 220 : 흡음재
300 : 고정수단 400 : 지지돌기
500 : 인장 와이어 510 : 고정유닛
610 : 팽창포켓 620 : 공기주입구
630 : 연결관 1000 : 방음벽
Claims (12)
- 도로변에 서로 이격 설치되는 둘 이상의 H빔 형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음향을 흡음 및 차단하는 복수의 방음블록; 및
상기 방음블록을 상기 지지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방음블록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 및 배면에 음파가 관통되는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블록형 하우징과;
상기 블록형 하우징 내의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흡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대향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의 하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을 양쪽 측단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면판; 그리고
상기 전면판, 배면판 및 측면판의 상단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흡음재는 다공성 화산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상면 또는 하면에 패킹재가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블록과 방음블록 사이의 간극을 밀폐시키고:
상기 방음블록은,
상기 방음블록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주입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복수 개의 단위포켓들과. 상기 단위포켓들 사이에 연통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팽창포켓과;
상기 팽창포켓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팽창포켓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못 또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 내측에는,
상기 흡음재 중 일부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흡음재의 하강을 방지하고, 상기 흡음재 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돌기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블록에는,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연장되어 하방으로 이완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흡음재 충진 후 외력에 의해 인장되어 흡음재를 상방으로 지지하여 흡음재 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는 인장 와이어가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와이어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고정되어 체결되며,
타측 단부가 인장 와이어의 인장 후 고정유닛에 의해 상기 전면판 또는 배면판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고정클립 또는 쐐기형 정착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격자형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는 메쉬 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다수의 원형 개구홀이 형성된 원형 타공판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4588A KR102688325B1 (ko) | 2023-08-10 | 2023-08-10 |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4588A KR102688325B1 (ko) | 2023-08-10 | 2023-08-10 |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8325B1 true KR102688325B1 (ko) | 2024-07-25 |
Family
ID=9217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4588A KR102688325B1 (ko) | 2023-08-10 | 2023-08-10 |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832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1712A (ja) * | 2000-10-16 | 2002-04-26 | Nippon Steel Chem Co Ltd | 吸音材を含有するパネル等の吸音体 |
KR20020038153A (ko) | 2000-11-16 | 2002-05-23 | 국천표,오의진 | 환경친화적 방음벽의 방음재 |
KR20090104467A (ko) | 2008-03-31 | 2009-10-06 | (주)이지탑 | 식생게비온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
KR100985183B1 (ko) * | 2010-04-13 | 2010-10-05 | (주)삼정스틸 |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
KR20180118121A (ko) * | 2016-03-04 | 2018-10-30 |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
KR102273816B1 (ko) * | 2020-09-09 | 2021-07-06 | 강현숙 | 유지보수가 용이한 멀티방음판 |
-
2023
- 2023-08-10 KR KR1020230104588A patent/KR1026883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1712A (ja) * | 2000-10-16 | 2002-04-26 | Nippon Steel Chem Co Ltd | 吸音材を含有するパネル等の吸音体 |
KR20020038153A (ko) | 2000-11-16 | 2002-05-23 | 국천표,오의진 | 환경친화적 방음벽의 방음재 |
KR20090104467A (ko) | 2008-03-31 | 2009-10-06 | (주)이지탑 | 식생게비온과 이를 이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
KR100985183B1 (ko) * | 2010-04-13 | 2010-10-05 | (주)삼정스틸 |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용 방음패널 |
KR20180118121A (ko) * | 2016-03-04 | 2018-10-30 | 옴야 인터내셔널 아게 | 개비온, 이러한 개비온을 포함하는 소음 차단벽, 및 이러한 개비온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
KR102273816B1 (ko) * | 2020-09-09 | 2021-07-06 | 강현숙 | 유지보수가 용이한 멀티방음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526221A (ja) | 交通騒音を減衰させるための音響遮蔽デバイス | |
KR102340284B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친환경 고무블록 흡음재, 이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형 방음판, 이의 시공 방법 | |
JP2016027401A (ja) | 吸音構造体 | |
JP2007170166A (ja) | 防音性能に優れた防音構造体 | |
KR102688325B1 (ko) | 화산석을 이용한 양방향 방음벽 | |
EA025977B1 (ru) | Шумозащитная стена со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ими конструктив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 |
KR102688326B1 (ko) | 화산석을 이용한 방음벽 | |
EP0379508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influe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a layer of earth and a structure situated in association with the layer of earth | |
CN114855660A (zh) | 一种声子晶体吸声体、声屏障及使用安装方法 | |
KR101258043B1 (ko) | 친환경 옹벽 구조체 및 그 설치 방법 | |
KR101157194B1 (ko) | 흡음형 경관 지주를 겸비한 방음벽 | |
KR200410391Y1 (ko) | 흡음형 투명 방음벽 | |
CN216194158U (zh) | 一种地表介质消音隔振屏障 | |
JP3954852B2 (ja) | 緩衝機構を有する落石防止壁 | |
KR20090105549A (ko) | 파형 강판과 지오텍스타일을 이용한 피암 터널 및 그 시공방법 | |
RU185876U1 (ru) | Шумозащитный экран | |
KR100584163B1 (ko) | 건축단지 방음구조물 | |
KR102167918B1 (ko) |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 |
KR100545357B1 (ko) | 요철 음파소산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 |
JP4448406B2 (ja) | 独立基礎構造 | |
CN218345825U (zh) | 一种岩溶地区抗塌路基结构 | |
JP2018141349A (ja) | シェッド | |
JP6247896B2 (ja) | 高架構造物 | |
KR20060022450A (ko) | 방음판넬 | |
KR102681242B1 (ko) | 공동주택 단지의 소음흡수 방음벽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