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918B1 -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918B1
KR102167918B1 KR1020190002298A KR20190002298A KR102167918B1 KR 102167918 B1 KR102167918 B1 KR 102167918B1 KR 1020190002298 A KR1020190002298 A KR 1020190002298A KR 20190002298 A KR20190002298 A KR 20190002298A KR 102167918 B1 KR102167918 B1 KR 10216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d stone
blocking film
wire mesh
pill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6100A (ko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화명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명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명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2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9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 E01F8/0058Grate-style,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e.g. rockwool,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을 취함과 동시에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쇄석의 자연미 노출로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의 구성에 후방철망을 더 적용시킴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 사이에 일정크기의 쇄석을 채워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Sound-proof wall used broken stone}
본 발명은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의 구성에 후방철망을 더 적용시킴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 사이에 일정 크기의 쇄석을 채워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주변,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주변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나 열차의 주행 등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벽은 나란하게 일정간격을 가지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단이 고정되는 H형 빔 또는 사각형상 관 등의 기둥 사이에 복수 개의 방음패널을 상하방향으로 적층 설치하여 시공되고 있었다.
이때, 상기 방음패널은 통상 그 외면 부분에 음파의 흡수 및 난반사를 위한 다수의 절개형 돌기와 홈이 형성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의 패널로 구비되어 상기 기둥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적층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은 상기 방음패널이 주로 금속,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음벽 설치 후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되며, 풍화작용에 의해 열화 되어 미관이 저하됨은 물론, 부식에 의해 방음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형 돌기 및 홈들의 일부가 파손되어 방음효과도 그만큼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통상 노후화된 방음패널을 새로운 방음패널로 교체 설치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방음패널의 교체에 따르는 비용이 부담되므로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있어서 경제적이지 못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로주변,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주변 등에 설치된 금속, 플라스틱 구조물로 된 종래의 방음벽은 방음패널이 금속,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음벽은 방음패널이 금속,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소음 발생지에서 보거나 주거지에서 볼 때 금속,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이거나 막혀 있어서 답답함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 열화에 의한 파손 등에 의해 미관이 저하되는 것이다.
더욱이, 금속, 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하여 기둥 사이에 끼워지는 방음패널을 형성함에 있어서 막대한 금속, 플라스틱 자원이 사용되는 것은 물론이고, 금속, 플라스틱 재질의 방음판에 요철부 또는 절개부 등의 형성을 위해 제작시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과 추후 플라스틱은 환경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방음벽의 외관 고려함과 동시에 환경 폐기물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벽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38906호 2011.04.15.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4536호 2006.02.16.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의 구성에 후방철망을 더 적용시킴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 사이에 일정크기의 쇄석을 채워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은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벽체 타입으로 설치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 일정길이 돌출토록 배열되는 한편, 측면 홈이 대향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측면 홈 외측 전방에 양측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소음 발생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전방 차단막; 'ㄷ'자 형상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측면 홈 내측 전방에 폐쇄부분인 전면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전방 차단막과 함께 고정되며, 상기 기둥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후방 측이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이 개재되어 밀착설치되는 전방철망; 상기 전방철망에 대하여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이 개재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전방철망의 전방 측을 결속고정하는 결속수단;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측면 홈 내측 후방에 고정부재를 통해 양측이 고정되며, 주거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후방 차단막; 상기 후방 차단막과 전방 차단막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된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1 쇄석; 및 상기 전방철망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채워지며,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2 쇄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방철망과 대응되어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쇄석이 채워지는 한편, 전방 양측이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측면 홈 외측 후방에 밀착설치되며, 상기 결속수단을 통해 전방 양측이 상기 기둥의 대향되는 측면 홈 외측 후방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속고정되는 후방철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전방철망의 전방 측이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에 일정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전방 차단막과 고정프레임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결속볼트 및 상기 결속볼트의 타단에 체결고정되는 결속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후방 차단막은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 수평방향에 대하여 절곡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라운드 지게 절곡되어 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전방 차단막은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부직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을 고정설치하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의 양단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관통된 단부에 체결고정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을 취함과 동시에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쇄석의 노출로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의 구성에 후방철망을 더 적용시킴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 사이에 일정크기의 쇄석을 채워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을 나타낸 전체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을 나타낸 전체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을 나타낸 전체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평 단면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측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은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C)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벽체 타입으로 설치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으로서, 크게 분류하면 기둥(110), 전방 차단막(120), 고정프레임(130), 전방철망(140),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160), 제1 쇄석(180) 및 제2 쇄석(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은 통상의 소음 발생지인 도로와 이러한 도로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이동하는 주거지의 경계에 경계석 등으로 돌출설치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또한, 후술될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적용되는 기둥(110)은 통상의 H빔으로 제공되어 하단부분이 일정길이만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 내에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둥(110)은 하단부분에 별도의 고정을 위한 판재가 용접고정되어 이러한 판재를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에 하단부분이 매립되어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 상면으로부터 상향 일정길이 돌출된 앵커볼트(미도시)에 관통하도록 배치한 후 앵커볼트(미도시) 상단에 너트(미도시)를 체결시켜 하단부분에 대하여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 상면에 고정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로 하며, 먼저 상기 기둥(110)은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C)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 일정길이 돌출토록 배열되는 한편, 측면 홈(111)이 대향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C)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차단막(120)은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전방에 양측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며, 소음 발생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ㄷ'자 형상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내측 전방에 폐쇄부분인 전면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함께 고정되며, 상기 기둥(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철망(140)은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후방 측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120)이 개재되어 밀착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전방철망(140)에 대하여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120)이 개재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0)과 상기 전방철망(140)의 전방 측을 결속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방 차단막(160)은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내측 후방에 고정부재를 통해 양측이 고정되며, 주거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후방 차단막(160)은 금속재질의 판재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이나 나무재질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쇄석(180)은 상기 후방 차단막(160)과 전방 차단막(120)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된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쇄석(180)은 상기 후방 차단막(160)과 전방 차단막(120)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된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공간에 조밀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입도가 비교적 작은 쇄석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모래에 가까운 크기의 쇄석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제1 쇄석(180)은 모래와 혼합되어 상기 후방 차단막(160)과 전방 차단막(120)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된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쇄석(190)은 상기 전방철망(14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채워지며,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쇄석(190)은 앞서 설명한 제1 쇄석(180)에 비하여 크기가 큰 쇄석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제2 쇄석(190)은 미관상의 미려함을 위하여 적층이 용이하도록 각이진 육면체 타입의 무늬 석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서, 특히 상기 결속수단은 결속볼트(151) 및 결속너트(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속볼트(151)는 상기 전방철망(140)의 전방 측이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에 일정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고정프레임(1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너트(152)는 상기 결속볼트(151)의 타단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서, 상기 후방 차단막(160)은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 수평방향에 대하여 절곡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방 차단막(160)은 높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길이방향 길이에 대하여 취약한 절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라운드 지게 절곡되어 보강부(161)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서의 상기 전방 차단막(120)은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부직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금속재질의 판이나 나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의 판 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서,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후방 차단막(160)을 고정설치하는 상기 고정부재(미부호)는 고정볼트(미부호) 및 고정너트(미부호)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미부호)는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후방 차단막(160)의 양단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너트(미부호)는 상기 고정볼트(미부호)의 관통된 단부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부재(미부호)는 와셔(미부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된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을 나타낸 전체 사시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결합 사시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6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은 실시예는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와는 후방철망이 추가로 더 적용되는 점에서만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도 1 내지 5를 함께 참고하되, 이하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은 전방철망(140)과 대응되어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2 쇄석(180)이 채워지는 한편, 전방 양측이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후방에 밀착설치되며, 상기 결속수단을 통해 전방 양측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후방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속고정되는 후방철망(170)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은 도 1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결속수단이 상기 후방철망(170)의 결속 고정을 위하여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후방철망(170)의 후방 측이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에 일정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후방 차단막(160)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결속볼트(151) 및 상기 결속볼트(151)의 타단에 체결고정되는 결속너트(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후방철망(17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2 쇄석(180)은 제1 쇄석(180)에 비하여 크기가 큰 쇄석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쇄석(190)은 특히, 주거지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후방철망(170)의 내부에 채워지는 것으로서, 주거지 측에서의 미관상의 미려함을 위하여 적층이 용이하도록 각이진 육면체 타입의 무늬 석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을 취함과 동시에 소음 발생지나 주거지에서 볼 때 쇄석의 노출로 외관상 미려함을 돋보이도록 하여 미관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발생지로부터 주거지 측으로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및 후방 차단막이 적용됨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쇄석 등을 적용하여 시공비용을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기둥, 전방 차단막, 고정프레임, 전방철망, 결속수단, 후방 차단막의 구성에 후방철망을 더 적용시킴으로써 전도나 붕괴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전방 차단막과 후방 차단막 사이에 일정크기의 쇄석을 채워 방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기둥 111: 측면 홈
120: 전방 차단막 130: 고정프레임
140: 전방철망 151: 결속볼트
152: 결속너트 160: 후방 차단막
161: 보강부 170: 후방철망
180: 제1쇄석 190: 제2쇄석
C: 콘크리트구조물

Claims (6)

  1.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C)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벽체 타입으로 설치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에 있어서,
    소음 발생지와 주거지 사이의 바닥에 돌출 시공되는 콘크리트구조물(C) 상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 일정길이 돌출토록 배열되는 한편, 측면 홈(111)이 대향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C)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나란하게 설치되는 기둥(110);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전방에 소음 발생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전방 차단막(120);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내측 전방에 상기 기둥(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치되는 고정프레임(130);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밀착설치되는 전방철망(140); 상기 전방철망(140)에 대하여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120)이 개재되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0)과 상기 전방철망(140)의 전방 측을 결속고정하는 결속수단;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내측 후방에 고정부재를 통해 양측이 고정되며, 주거지 측에 배치되어 소음을 차단하는 후방 차단막(160); 상기 후방 차단막(160)과 전방 차단막(120)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된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1 쇄석(180); 및 상기 전방철망(14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채워지며,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제2 쇄석(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 차단막(120)은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전방에 양측이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30)은 'ㄷ'자 형상의 바 타입으로 제공되어, 폐쇄부분인 전면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함께 고정되며,
    상기 전방철망(140)은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후방 측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사이 전방 측에 상기 전방 차단막(120)이 밀착되게 개재되고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전방철망(140)의 전방 측이 걸림고정되는 고리가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에 일정길이만큼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고정프레임(1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는 결속볼트(151) 및 상기 결속볼트(151)의 타단에 체결고정되는 결속너트(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방 차단막(120)은 일정두께와 면적을 갖는 부직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철망(140)과 대응되어 상부가 개방된 철망 타입으로 제공되어, 개방된 상부로부터 내부에 큰 크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쇄석(190)이 채워지는 한편, 전방 양측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111) 외측 후방에 밀착설치되며, 상기 결속수단을 통해 전방 양측이 상기 기둥(110)의 대향되는 측면 홈 외측 후방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속고정되는 후방철망(1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차단막(160)은 외부로부터 충격 발생시 수평방향에 대하여 절곡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라운드 지게 절곡되어 보강부(1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후방 차단막(160)을 고정설치하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전방 차단막(120)과 후방 차단막(160)의 양단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의 관통된 단부에 체결고정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KR1020190002298A 2019-01-08 2019-01-08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KR10216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98A KR102167918B1 (ko) 2019-01-08 2019-01-08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298A KR102167918B1 (ko) 2019-01-08 2019-01-08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00A KR20200086100A (ko) 2020-07-16
KR102167918B1 true KR102167918B1 (ko) 2020-10-20

Family

ID=7183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98A KR102167918B1 (ko) 2019-01-08 2019-01-08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4698A1 (de) * 2021-01-25 2022-08-15 Oberhofer Projektmanagement GmbH Lärmschutzwand mit schallschutzelementen und verbesserter schallabsorp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35B1 (ko) * 2007-03-22 2007-08-06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개비온 벽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937B1 (ko) * 2002-07-27 2006-01-31 백종원 방음벽
KR100666144B1 (ko) * 2004-01-07 2007-01-10 김석균 방음판넬
KR20060014536A (ko) 2004-08-11 2006-02-16 기승철 방음벽
KR20110038906A (ko) 2009-10-09 2011-04-15 강윤석 방음벽 및 리모델링 가능한 방음벽 설치구조물
KR20130088463A (ko) * 2012-01-31 2013-08-08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현장조립형 방음패널 조립체
KR20170029713A (ko) * 2015-09-07 2017-03-16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535B1 (ko) * 2007-03-22 2007-08-06 (주)대호철망한국산재장애인복지진흥회 개비온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100A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382B1 (ko) 터널 방음벽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20200068498A (ko) 고강성구조 c형강을 적용한 방음벽지주
KR102167918B1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EP2163706A2 (de) Wandverkleidung mit Füllmaterial
JPH10121599A (ja) 防音壁
KR101361155B1 (ko)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KR101335673B1 (ko) 구조가 개선된 방음벽용 방음패널
KR20170029713A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JP2010047926A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
JP7033321B2 (ja) 塀構造、塀材及び塀の構築方法
KR200470642Y1 (ko) 기둥형상의 방음구조물
CA2148877C (en) Highway and airport sound barriers pre-stressed hollow core concrete panels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WO2007036231A1 (en) A noise absorbing element and a noise screen with such elements
DE19517583A1 (de) Lärmschutzwand
US20050166504A1 (en) Wall system
KR20120066298A (ko) 수직 기둥구조체를 이용한 개비온 방음벽
RU199997U1 (ru) Огражд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KR102209744B1 (ko) 리모델링 방음벽
KR200233710Y1 (ko) 천공 폐타이어를 이용한 방음벽체
JPH07279186A (ja) プレハブ擁壁
KR102112508B1 (ko) 소일 시멘트와 강성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시공법
JPH0551961A (ja) 建築用パネル
KR100782995B1 (ko) 방음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방음벽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