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155B1 -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 Google Patents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155B1
KR101361155B1 KR1020130042327A KR20130042327A KR101361155B1 KR 101361155 B1 KR101361155 B1 KR 101361155B1 KR 1020130042327 A KR1020130042327 A KR 1020130042327A KR 20130042327 A KR20130042327 A KR 20130042327A KR 101361155 B1 KR101361155 B1 KR 10136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und insulation
front frame
sound
fasten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to KR102013004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배면판의 배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과 이웃하는 걸림홈에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여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틈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을 차단할 수 있고, 흡음판과 배면판 사이에 차음판을 설치하되, 흠음판과 배면판에서 각각 이격시켜 공간부(공기층)를 형성함으로써 흡음,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음판이 하나의 일체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틈으로 인한 누음을 막고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NOISE REDUCTION IMPROVED WOOD SOUNDPROOFING WALL}
본 발명은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각의 배면판의 배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과 이웃하는 걸림홈에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여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흡음판의 전면에 보강목을 직접 설치함으로써 설치 부피를 최소화하며, 흡음판과 배면판 사이에 차음판을 설치하되, 흠음판과 배면판에서 각각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단지 주변과 같은 소음공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장소에는 그 주위에 방음벽이 설치되어 그러한 소음이 차단되도록 한다.
방음벽은 크게 흡음형과 반사형으로 나누어진다.
흡음형은 내부공간에 설치된 흡음재와 공기층에 의하여 소음을 흡음 처리하는 방식이고, 반사형은 도로소음을 반사 처리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처리방식의 차이에 의하여 반사형에는 흡음형과 달리 내부공간이 없다. 다만 반사판만 있을 뿐이다.
흡음형에는 내부공간의 후면에 밀폐판이 형성되어있다. 흡음형의 밀폐판이나 반사형의 반사판은 누음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밀폐판과 반사판은 누음 방지라는 기능이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전, 후면판을 결합하여 'H'빔에 끼워 설치하되, 전면판을 평판 또는 요철형상으로 하고, 전, 후면판 사이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장시킨 방음판을 차례로 적층시키는 것으로, 이는 외부의 소음을 흡수 또는 차단시키는 방음벽에 적용된다.
근래 들어 도시는 도시환경 미화에 대한 염려가 많이 제기되고 있고, 철 구조물인 방음벽이 도시의 중심에 설치되거나, 대단위 아파트 근방에 설치되고 있는 현실은 환경미화에 많은 악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종래 평판형 방음판과 같은 기능을 하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목재 방음 막대를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시켜서 된 목재 방음판이 소개된 바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목재 방음벽은,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지지되는 지주와; 배면판, 상기 배면판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흡음재,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흡음재의 전방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전면틀, 상기 전면틀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양측 단부가 상기 전면틀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목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패널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방음벽은 전면틀의 전면부에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보강목이 못 등으로 고정된다. 이때, 전면틀에는 보강목의 위치를 표시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보강목의 위치를 잡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목재 방음벽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보강목의 위치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지정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각각의 보강목이 기울어질 수 있고 아울러 보강목들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다. 즉, 어떤 보강목들 사이의 간격은 좁고 어떤 보강목들 사이의 간격은 넓어 소음이 균일하게 흡읍되지 못하여 흡음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보강목의 위치를 작업자의 감각으로 지정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각각의 보강목이 기울어질 수 있고 아울러 보강목들간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여 시각적으로 불량의 느낌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목이 전면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체결구에 의해서만 고정되기 때문에 보강목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보강목이 전면틀에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목재를 못이나 볼팅으로 직접 방음벽 프레임에 고정시킴에 따라 목재가 갈라지거나 훼손될 수 있다.
한편으로 방음벽에 사용되는 목재는 시간경과에 따라 수분율이 감소됨으로 인하여 최초상태로부터의 휨, 뒤틀림 등과 같은 외형상의 변형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권리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50056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50056호는 사각틀 형태의 전면틀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강목들이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강목과 전면틀간의 결속력을 증대하여 보강목이 전면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50056호는 배면판의 재질이 목재이기 때문에 상호 치합하여도 건조 수축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틈새가 발생하여 소음을 차단하지 못하며, 방음패널만이 적용되기 때문에 차음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500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배면판의 배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과 이웃하는 걸림홈에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여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틈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음판과 배면판 사이에 차음판을 설치하되, 흠음판과 배면판에서 각각 이격시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흡음,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전면틀과; 흡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흡음판과; 상기 전면틀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보강 목재와; 차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틀 내부에서 상기 흡음판의 배면에 삽입 고정되는 차음판과; 목재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전면틀의 배면에서 결합되되,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삽입되고, 정면에 수직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는 배면판; 및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과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경사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은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 브라켓은 일단 또는 양단이 내측으로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 브라켓은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되, 두 개가 상호 분할되고, 분할면에 턴버클이 결합되어 그 폭이 가변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 브라켓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어 일단의 고정핀이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차음판은 상기 전면틀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흡음판과 배면판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면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차음판은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파형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차음판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도록 일부분을 절개하여 관통홀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차음판은 절개 부위가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상기 체결 브라켓과 함께 삽입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차음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차음판을 압입하도록 곡면부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보강 목재는 상기 전면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틀과 면접되는 부분에 보강 브라켓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에 따르면, 각각의 배면판의 배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과 이웃하는 걸림홈에 체결 브라켓을 체결하여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틈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판과 배면판 사이에 차음판을 설치하되, 흡음판과 배면판에서 각각 이격시켜 공간부(공기층)를 형성함으로써 흡음,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차음판이 하나의 일체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틈으로 인한 누음을 막고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보강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배면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체결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차음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배면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체결 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중 차음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1)은 지주(10)와, 전면틀(20)과, 흡음판(30)과, 보강 목재(40)와, 차음판(50)과, 배면판(60) 및 체결 브라켓(70)을 포함한다.
먼저, 지주(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지주(10)는 H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면틀(20)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주(10)와 이웃하는 지주(10)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전면틀(20)은 하기에서 설명할 흡음판(30)의 설치를 위하여 내측 양측면에 제 1결합홈(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음판(30)은 흡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틀(20)에 형성된 제 1결합홈(21)에 삽입 고정된다. 여기에서, 흡음판(30)은 폴리에스테르, PP, PET와 같은 합성 수지재로 제작되는 바람직하고, 각기 다른 주파수를 흡음할 수 있도록 이종 재질의 흡음재를 상호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목재(40)는 횡단면이 반원형인 장방형으로서 전면틀(20)의 정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여기에서, 보강 목재(40)는 전면틀(20)의 상하단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선택에 따라 보강 브라켓(41)이 결합된다. 이때, 보강 브라켓(4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에 보강 목재(40)와 대응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고, 홈에 볼트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보강 목재(40)와 일체로 전면틀(20)에 볼트로 고정시키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에 보강 목재(40)와 대응되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홈의 양단에 볼트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보강 목재(40)를 전면틀(20)에 볼트로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보강 브라켓(41)를 전면틀(20)에 볼트로 고정시켜 이웃하는 보강 플레이트와 겹쳐지도록 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판에 보강 목재(40)와 대응되는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홈의 양단에 볼트홀이 형성된 구조로서 보강 목재(40)를 홈에 삽입하여 전면틀(20)에 보강 목재(40)와 일체로 볼트로 고정시켜 이웃하는 보강 플레이트와 겹쳐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강 브라켓(41)이 전면틀(20)에 직접 못 등으로 고정되면서 보강 목재(40)를 고정하여, 보강 목재(40) 자체에는 못 등이 박히지 않아 보강 목잭(40)의 깨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차음판(50)은 차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틀(20)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여기에서, 차음판(50)은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흡음판(30)과 배면판(6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면에 공간부(51)(공기층)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한, 차음판(50)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음판(50)을 전면틀(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전면틀(20) 내측 양측면에 별도의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차음판(50)이 하나의 일체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틈으로 인한 누음을 막고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배면판(60)은 목재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형성된 요철(61)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치합되어 전면틀(20)의 배면에서 지주(10)와 이웃하는 지주(10)의 사이에 삽입되며, 정면에 수직 방향으로 걸림홈(6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배면판(60)의 걸림홈(63)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경사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체결 브라켓(70)은 배면판(60)의 걸림홈(63)과 이웃하는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 브라켓(7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체결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또는 양단이 내측으로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 브라켓(70)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되, 두 개가 상호 분할되고, 분할면에 턴버클(71)이 결합되어 그 폭이 가변될 수도 있다. 또, 체결 브라켓(70)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삽입되도록 고정핀(73)이 돌출 형성되어 일단의 고정핀(73)이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삽입되고, 타단의 고정핀(73)이 이웃하는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1')은 차음판(50')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 재질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그 평단면 형상이 파형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음판(50')의 파형 크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차음판(50')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설명할 체결 브라켓(70)에 의해 배면판(60)에 고정되도록 일부분을 절개하고, 관통홀(51')을 형성하고, 절개 부위(53')가 배면판(60)의 걸림홈(60)에 체결 브라켓(70)과 함께 삽입된다.
또한, 배면판(60)은 차음판(50')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걸림홈(63)의 그 넓이가 체결 브라켓(70)과 절개 부위(53')가 함께 압입 또는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체결 브라켓(70)은 차음판(50')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음판(50')의 관통홀(51')을 통해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고정되는 경우 차음판(50')을 압입하도록 차음판(50')의 파형과 동일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7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의 설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주(10)를 시공 위치에서 설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시킨다. 이때, 지주(10)의 고정 방식은 말뚝 형식으로 지면에 삽입 고정하거나 터파기를 한 후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에 고정시키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지주(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전면틀(20)을 인양한 후 하강시켜 지주(10) 사이에 고정시킨 다음, 내부에 흡음판(30)과 차음판(50)을 삽입하고, 전면틀(20)의 전면에 보강 목재(4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틀(20)의 배면에 배면판(60)을 고정 설치한 후 요철(61)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시킨다. 이때, 요철(61)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볼트나 못 등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배면판과 상호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배면판(60)의 설치가 완료되면, 배면판(60)의 걸림홈(63)과 이웃하는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 체결 브라켓(70)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체결 브라켓(70)이 자체 탄성에 의해 배면판(60)의 걸림홈(63)과 이웃하는 배면판(60)의 걸림홈(63)에서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요철(61) 사이의 틈 발생을 차단하고, 배면판(60) 전체가 일체로 거동하기 때문에 변형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틈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음판(50)과 흡음판(30)이 이중으로 설치되고, 차음판(50)의 양측면에 공간부(51)가 형성되기 때문에 흡음,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지주 20 : 전면틀
30 : 흡음판 40 : 보강 목재
50 : 차음판 60 : 배면판
70 : 체결 브라켓

Claims (12)

  1. 일정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전면틀과;
    흡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틀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흡음판과;
    상기 전면틀의 전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보강 목재와;
    차음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틀 내부에서 상기 흡음판의 배면에 삽입 고정되는 차음판과;
    목재 재질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복수개가 상호 치합되어 상기 전면틀의 배면에서 결합되되,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삽입되고, 정면에 수직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는 배면판; 및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과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 경사를 갖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일단 또는 양단이 내측으로 경사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디귿자"형태로 절곡 형성되되, 두 개가 상호 분할되고, 분할면에 턴버클이 결합되어 그 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판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 양단에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고정핀이 돌출 형성되어 일단의 고정핀이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배면판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상기 전면틀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흡음판과 배면판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측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되, 파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파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체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도록 일부분을 절개하여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은,
    절개 부위가 상기 배면판의 걸림홈에 상기 체결 브라켓과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차음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면판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차음판을 압입하도록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목재는 상기 보강 목재를 감싸 지지하면서 상기 전면틀에 결합되는 보강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KR1020130042327A 2013-04-17 2013-04-17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KR10136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27A KR101361155B1 (ko) 2013-04-17 2013-04-17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27A KR101361155B1 (ko) 2013-04-17 2013-04-17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155B1 true KR101361155B1 (ko) 2014-02-12

Family

ID=5027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327A KR101361155B1 (ko) 2013-04-17 2013-04-17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1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98A (ko) * 2014-07-21 2016-01-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음벽 흡음 복합 구조 설계를 위한 위상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KR20190074653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새담엔지니어링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2097163B1 (ko) 2019-09-05 2020-04-09 (주)진보위드 목재 방음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728A (ja) * 1994-11-30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90008384U (ko) * 2008-02-15 2009-08-20 최형준 목재 방음벽
KR20100008695A (ko) * 2008-07-16 2010-01-26 안광호 보강된 구조를 갖는 방음벽
JP2012246673A (ja) 2011-05-27 2012-12-13 Ihi Infrastructure Systems Co Ltd 背面板の取付構造及び取付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728A (ja) * 1994-11-30 1996-06-11 Sekisui Chem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
KR20090008384U (ko) * 2008-02-15 2009-08-20 최형준 목재 방음벽
KR20100008695A (ko) * 2008-07-16 2010-01-26 안광호 보강된 구조를 갖는 방음벽
JP2012246673A (ja) 2011-05-27 2012-12-13 Ihi Infrastructure Systems Co Ltd 背面板の取付構造及び取付治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098A (ko) * 2014-07-21 2016-01-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음벽 흡음 복합 구조 설계를 위한 위상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KR101596373B1 (ko) 2014-07-21 2016-03-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음벽 흡음 복합 구조 설계를 위한 위상 최적 설계 방법 및 장치
KR20190074653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새담엔지니어링 방음벽용 방음패널
KR102097163B1 (ko) 2019-09-05 2020-04-09 (주)진보위드 목재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2058155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내진보강 구조
KR100861265B1 (ko) 방음벽
KR101361155B1 (ko) 소음 차단이 향상된 목재 방음벽
KR200450056Y1 (ko) 목재 방음벽
KR101247503B1 (ko) 방음벽 및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1839873B1 (ko) 강관 연결부, 이를 구비한 터널식 방음벽 및 터널식 방음벽 시공방법
KR101271706B1 (ko) 합성목재 방음패널을 이용한 방음벽 조립구조
KR101023524B1 (ko) 보강된 구조를 갖는 방음벽
KR101127291B1 (ko) 슬림형 가설 방음펜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065183B1 (ko) 요철구조를 가진 방음패널을 이용한 무지주형 방음벽 및 시공방법
KR102167918B1 (ko)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KR101419264B1 (ko) 경사 방향 결합용 방음판을 갖는 방음벽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101473302B1 (ko) 흡음형 방음판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KR101309180B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JP4861882B2 (ja) 耐力壁
KR200423187Y1 (ko) 방음벽의 누음차단구조
JP4427601B1 (ja) 懸架式防音壁構築構造
JP2007303214A (ja) 木製壁
JP6664263B2 (ja) 防音パネル及び塀
JP2002302913A (ja) 道路用遮音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