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937B1 -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937B1
KR100547937B1 KR1020020044416A KR20020044416A KR100547937B1 KR 100547937 B1 KR100547937 B1 KR 100547937B1 KR 1020020044416 A KR1020020044416 A KR 1020020044416A KR 20020044416 A KR20020044416 A KR 20020044416A KR 100547937 B1 KR100547937 B1 KR 100547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ndproof
soundproof wall
wal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606A (ko
Inventor
백종원
Original Assignee
백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원 filed Critical 백종원
Priority to KR102002004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937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방음효과를 크게 향상함은 물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로와 경계 지반에 시설되는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 마다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보와; 상기 기둥보간에 전, 후면으로 각각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판 내에 충진되어 흡입되는 소음을 난반사,굴절하면서 흡음하는 흡음체로 구성하여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판을 통해서 흡입하고 이 흡입된 소음은 흡음체로 하여금 자체 소멸시켜 상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도로의 주변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음벽, 흡음체, 도로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 WALL}
도 1 은 본 발명 방음벽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방음벽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 방음벽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 방음벽의 다른 실시예,
도 5 는 도 4 의 방음벽 일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보 11; 고정브라켓
20; 기둥보 21; 고정수단
22; 결합수단 30; 흡입판
31; 전면판 32; 후면판
33; 흡입공 34; 개자
40; 흡음체 50; 방음벽
60; 방음체 61; 고정수단
62; 그물망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하여 방음효과를 크게 향상함은 물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고속 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변에 지면으로 부터 소정 의 높이로 벽을 쌓아 도로 상에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으로 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도로의 마찰음을 차단하여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한 아파트 또는 주택가로 소음이 전달되지 않게 설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방음벽은 통상적으로 전면에 흡음구가 구비된 불투명체 금속재를 이중벽으로 설치하고, 이 이중벽 내에는 흡음을 위한 스폰지를 넣어 방음을 하거나 또는 단순히 콘크리트 재질로 하여 소정의 높이로 설치하거나 또는 투명체인 합성수지의 벽체로 하여 도로변에 설치하여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도로 주변으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불투명체의 금속재 또는 콘크리트 방음벽들의 경우, 도로 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방음벽에 의하여 도로변에 위치한 아파트나 주택에 직접적인 소음은 줄일 수 있으나, 상기 방음벽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아파트 또는 건물에는 상기 방음벽에 반사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어 만족할 만한 방음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또한 방음벽에 차단되어 반사되는 소음은 주행하는 차량에 그대로 전달되는 차량 운전자에게 소음에 의한 피로감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반면에 상기 투명체인 합성수지 방음벽의 경우 가시광선의 투과성에 의하여 사야를 좋게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방음벽에 반사 소음이 그대로 상부에 위치한 아파트나 건물 또는 차량에 그대로 전달되기는 마찬가지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최근 들어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소음에 대한 흡음 및 방음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방음벽이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고, 일예로 소정의 폭을 이루면서 지중에 하단이 매립되는 전면 및 후면 벽체와, 상기 저면 및 후면 벽체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결속줄들과, 상기 전면 및 후면 벽체 사이에 흙 또는 자갈을 채우면서 외측면에 잔디가 심어지는 방음벽이 계단형상을 이루면서 상부에 다단으로 설치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음벽의 경우, 전면 및 후면 벽체 사이에 흙 또는 자갈을 채우고, 이에 잔디를 심어 줌으로써, 환경 친화적이며 조경효과와 더불어 발생되는 소음에 대하여 흡음 효과를 향상할 수 있으나, 상기 비교적 비중이 큰 흙 또는 자갈에 의하여 비록 결속줄 들과 철근봉을 등간격으로 일일이 고정하여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시설작업이 복잡하고, 장마 또는 해빙기의 경우 무너져 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유지보수 및 관리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도로 및 고속화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음하고, 이 흡음된 소음을 난반사,굴절하면서 자체 감쇄 소멸시켜 줌으로써, 주 변 환경에 소음으로 인한 영향을 주지 않는 방음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 비용의 방음 시설작업은 물론,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와 경계 지반에 시설되는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 마다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보와; 상기 기둥보간에 전, 후면으로 각각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는 흡입판과; 상기 흡입판 내에 충진되어 흡입되는 소음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뿔을 갖고 난반사,굴절하면서 흡음하는 흡음체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판을 통해서 흡입하고 이 흡입된 소음은 흡음체로 하여금 자체 소멸시켜 상기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주변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도로의 주변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방음벽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 방음벽의 정면도 이며, 도 3 은 본 발명 방음벽의 측단면도 로서, 주변 환경 여건에 따라 도로변 지반위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보호벽 위에 시설되는 고정보(10)와; 상기 고정보(10)마다에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보(20)와; 상기 기둥보(20)간에 전, 후면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는 흡입판(30)과; 상기 흡입판(30)내에 충진되어 흡입되는 소음을 난반사, 굴절하면 자체 흡음하는 흡음체(40) 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보(10)는 철근 콘크리트 재질 또는 철근재질로 사각 또는 원통 형태로 시설하게 되며 지반으로 부터 소정의 간격과 높이로 시설하거나, 상기 지반을 따라 콘크리트 방호벽으로 시설할 수 있으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근 재질의 고정보(10)에는 이와 일체 또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11)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기둥보(20)는 하부에 상기 고정보(10)와 체결 고정되는 고정수단(21)과, 측부에 결합수단(22)을 갖는 원통 또는 사각 내지 H 비임 형상을 가지며, 주변 환경요건에 따라 기 설정된 높이와 폭을 가지고 금속재질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흡입판(30)은 전면판(31)과 후면판(32)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후면판(32)은 상부와 하부로 분할 구성하거나 또는 일체로 구성하게 되며, 상기 전면판(31)상에는 소음이 유입되는 흡입공(33)을 소정의 배열을 갖고 장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거나, 또는 다공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흡입공(33)에는 원활한 소음 흡입을 위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게 되고, 상기 다수의 흡입공(33)에는 상단측에 흡입 유도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판(30)의 전면판(31)과 후면판(32)는 주변 환경에 따라 투명재질 또는 불투명체로 구성하게 되고, 상기 상부와 하부로 구성되는 전면판(31)과 후면판(32)의 하부는 금속재질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흡음체(40)는 상기 흡입판(30)을 통해서 흡입된 소음을 난반사,굴절하면서 소멸 흡음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뿔을 갖고 다각으로 형성한 다뿔체로 구성 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방파제에서 밀려오는 파도를 소멸하는 효과를 가진 4각뿔인 테트라포트(TETRAPOD)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음체(40)는 내마모성, 내부식성을 갖는 발포성 폴리에틸렌(PE) 또는 흡음이 양호한 스폰지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 혹은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방음벽이 필요한 장소에 지반으로 부터 임의로 설정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의 고정보(1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고정보(10)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붕괴 또는 충격에 의한 파괴를 되지 않은 내구성, 내마모성이 강한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근 재질로 설치하게 되며, 상기 고정보(10)에는 상부에 시설될 기둥보(20)를 고정하여 시설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1)을 형성하여 시설하게 된다.
상기 임의로 설정된 간격으로 시설된 고정보(10)의 고정 브라켓(11)에는 주변 환경에 따라 기 설정된 형태, 즉 하부에 고정수단(21)과, 측부에 결합수단(22)을 갖는 금속재질의 원통 또는 사각 내지 H 빔 형상의 기둥보(20)를 고정 시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보(10)에 시설된 기둥보(20)간에는 주변환경에 따라 하부와 상부로 분활되고, 다수의 장방향 흡입공(33)을 구비한 전면판(31)과 후면판(32)을 상기 기둥보(20)의 결합수단(22)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거나, 삽입하여 시설하게 되고, 상기 삽입 시설시에는 전면판(31)과 후면판(32)사이에는 임의로 설정된 간격으로 개자(34)를 삽입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판(31)과 후면판(32)은 상,하부로 분할되지 않은 전체가 투명재질로 하여 시설하거나 또는 상,하부로 분할된 전면판(31)과 후면판(32)의 하부는 불투명체 또는 금속재질로 하여 시설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둥보(20)에 시설된 전면판(31)과 후면판(32)사이의 공간부에는 소음 즉 음파를 소멸하는 두개 이상의 뿔을 다각으로 가진 합성수지 또는 스폰지 재질의 다뿔형상(테트라포드)인 흡음체(40)를 채워 줌으로써, 방음벽의 시설이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설된 방음벽은 도로 상에 주행하는 차량의 소음과 도로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판(30)의 전면판(31)에 구비된 다수의 장방향 흡입공(33)으로 흡입되게 되고, 이 흡입된 소음은 두개 이상의 뿔이 다각으로 형성된 흡음체(40)들에 의하여 난반사와 굴절이 이루어지면서 감쇄되어 소멸되게 되므로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자체 흡음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주변 지역에 소음의 영향을 최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음을 방음하면서 사용중에 주변의 먼지로 인하여 흡입판(30)및 흡음체(40)에는 먼지가 쌓이게 되는 경우, 상부로 부터 물을 분사하면서 흡입판(30)의 내외 표면을 닦아주고, 상기 흡입판(30)내의 채워진 흡음체(40)는 물 분사와 함께 뒤섞어 가면서 씻어주고, 이때 씻어 줄 때 발생되는 오수는 상기 흡입판(30)에 형성된 다수의 장방향 흡입공(33)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되므로 방음벽의 유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시설 보수시에는 상기 기둥보(20)로 부터 흡입판(30)을 분리한 후 교체 하고, 이어서 교체된 흡입판(30)에 흡음체(40)를 삽입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수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음체(40)가 충진된 흡입판(30)은 상기 도로의 방음벽은 물론이고, 건축물의 내측 방음벽 또는 실내 내장재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 방음벽의 다른 실시예 이고, 도 5 는 도 4 의 방음벽 일부 확대 측단면도 로서,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에 기 설치된 불투명체 방음벽(50)과; 상기 방음벽(50)의 전면에 고정부(61)를 갖는 방음체(60)를 별도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방음체(60)는 충진되는 흡음체(40)가 빠져 나오지 않는 크기로 구획된 아연도금 금속 그물망(62)으로 구성하게 된 것이다.
상기 방음체(60)는 방음벽(50)의 전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웨이브, 또는 엠보싱 형상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 설치된 불투명체 방음벽(50)의 전면에 고정부(61)를 갖는 그물망(62)를 설치하되, 상기 그물망(62)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웨이브 또는 격자 형상으로 하여 설치하고, 상기 그물망(62)내에 흡음체(40)를 삽입 충진하여 방음체(6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방음체(60)는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그물망(62)을 통해서 흡음체(40)에서 난반사되게 되므로 흡음이 이루어져 1차 감쇄가 일어나고, 이후 후면의 방음벽(50)에 구비된 흡음공을 통해서 방음벽(50)내에서 2차 흡음이 일어나 감쇄를 시켜주게 되어 흡음 효과를 배가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존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50)에 방음효과를 향상하기 위해서 기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50)을 분해 또는 철거하지 않고, 상기 방음벽(50)의 전면에 흡음체(40)를 가진 방음체(60)을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방음 효과를 크게 향상할 수 있게 되므로, 방음벽 설치 시공은 물론 유지 보수를 간편함 물론 그 시설 비용 또한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와 경계 지반에 시설되는 방음벽을 흡음체가 충진된 흡입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입판내의 흡음체로 난반사시켜 감쇄를 통한 소멸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주변환경에 소음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소멸시키는 방음 효과 제공은 물론, 시설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면서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로변 보호벽 상단에 시설되는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마다에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 설치되는 기둥보와; 상기 기둥보 간에 전, 후면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어 소음을 흡입하는 흡입판으로 구성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흡입판내에는 흡입되는 소음을 난반사, 굴절하면서 자체 흡음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뿔을 다각으로 갖는 흡음체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는 발포성 폴리에틸렌 또는 스폰지 중 어느하나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7. 삭제
  8. 고속도로 또는 고속화 도로에 기 설치된 방음벽의 전면에 방음체를 구비하여서 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체는 충진된 흡음체가 빠져나오지 않는 크기로 구획된 금속 그물망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체는 방음벽의 전면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웨이브, 격자 또는 엠보싱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고정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1020020044416A 2002-07-27 2002-07-27 방음벽 KR10054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16A KR100547937B1 (ko) 2002-07-27 2002-07-27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16A KR100547937B1 (ko) 2002-07-27 2002-07-27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06A KR20040011606A (ko) 2004-02-11
KR100547937B1 true KR100547937B1 (ko) 2006-01-31

Family

ID=3731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416A KR100547937B1 (ko) 2002-07-27 2002-07-27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7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461B1 (ko) * 2010-11-01 2011-08-08 주식회사 보국산업 친환경 방음벽
KR102167918B1 (ko) * 2019-01-08 2020-10-20 화명이엔씨 주식회사 쇄석을 이용한 방음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2289Y1 (ko) * 2000-08-30 2001-02-15 최홍수 방음패널 조립체
KR200252799Y1 (ko) * 2001-07-06 2001-11-16 주식회사 혜영건설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방음판
KR20020038153A (ko) * 2000-11-16 2002-05-23 국천표,오의진 환경친화적 방음벽의 방음재
KR100338376B1 (ko) * 1999-09-01 2002-05-27 권오훈 소음방지장치
KR20030020055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8376B1 (ko) * 1999-09-01 2002-05-27 권오훈 소음방지장치
KR200212289Y1 (ko) * 2000-08-30 2001-02-15 최홍수 방음패널 조립체
KR20020038153A (ko) * 2000-11-16 2002-05-23 국천표,오의진 환경친화적 방음벽의 방음재
KR200252799Y1 (ko) * 2001-07-06 2001-11-16 주식회사 혜영건설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방음판
KR20030020055A (ko) * 2001-08-29 2003-03-08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06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271A (en) Sound barrier
US3983956A (en) Noise reduction barrier
KR101375769B1 (ko)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US5268540A (en) Sound barrier absorption panel
KR100797771B1 (ko) 집수기능을 구비한 친환경적인 울타리형 방음벽
KR100547937B1 (ko) 방음벽
KR20110137713A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39203B1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5195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블럭체 및 이들로 구성되는 방음벽
KR200410391Y1 (ko) 흡음형 투명 방음벽
KR200462433Y1 (ko) 투명방음판
KR20070093819A (ko) 도로용 방음벽
KR950000592Y1 (ko) 폐타이어 방음벽
KR200420185Y1 (ko) 소음감쇠기
KR100777615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합성 방음벽 설치구조
KR100633384B1 (ko) 친환경적인 도로 방음벽 설치구조
JP2800106B2 (ja) 鋼製壁高欄
KR101542483B1 (ko) 가변 흡음 구조를 갖는 투명 방음벽
KR200271549Y1 (ko) 터널용 방음장치
KR101844869B1 (ko) 옹벽 및 콘크리트 구조물 반사음 저감을 위한 부착형 흡음방음패널 및 이에 의한 흡음방음패널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34893Y1 (ko) 도로경계 차음벽용 차음패널
JP2008111307A (ja) 防音壁
CN214362985U (zh) 一种自平衡式声屏障
KR100930101B1 (ko)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KR200345486Y1 (ko) 방현망 겸용 차음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