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0711B1 -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Google Patents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80711B1 KR102680711B1 KR1020220175397A KR20220175397A KR102680711B1 KR 102680711 B1 KR102680711 B1 KR 102680711B1 KR 1020220175397 A KR1020220175397 A KR 1020220175397A KR 20220175397 A KR20220175397 A KR 20220175397A KR 102680711 B1 KR102680711 B1 KR 102680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racing
- building
- water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4 cigaret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01 comb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34 poten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싱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건물의 옥상과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는 상기 건물의 옥상에 집수된 물을 상기 건물의 하부 측으로 배수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용수(用水)의 수요 확대와 수자원 순환 및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빗물을 수집하여 활용하는 저장 수단에 대한 개발 및 개선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의 지붕 우수(雨水)를 받아서 배출시키는 장치로는 처마홈통, 선홈통, 깔때기홈통, 장식통, 누인홈통, 홈걸이, 루프드레인(roof drain) 등의 반원형 통이 사용될 수 있다. 지붕에서 내려오는 빗물을 받기 위해서 지붕의 끝단에 빗물받이 홈통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빗물받이 홈통의 경우, 우수 이동경로가 짧고 우수 지연시간이 늦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수시키면서도 건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의 개발을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건물에서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미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고, 상기 건물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레이싱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건물의 옥상과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는 상기 건물의 옥상에 집수된 물을 상기 건물의 하부 측으로 배수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는 상하 좌우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마름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상단에 상기 건물의 옥상 바닥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 상에는 거름망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를 가로지르면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직선부; 및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직선부와 교차하는 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하단에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건물의 하측 지반에 매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따르면, 우수유출시간이 지연되어 우수가 효과적으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따르면, 우수 배출과 내진 성능 향상의 복합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과 퍼골라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결합된 거름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의한 물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과 퍼골라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결합된 거름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의한 물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과 퍼골라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결합된 거름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의한 물의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은,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레이싱 파이프(100)(bracing pipe)는 건물(10)을 보강할 수 있는 파이프를 의미할 수 있다. 파이프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의 내진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건물(10)의 일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벽(P)이 형성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돌출벽(P)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상단, 하단, 양측단은 각각 돌출벽(P)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는 볼트 및 너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원형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원형의 흄관(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상단은 건물(10)의 옥상(20)과 연결되고,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하단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의 옥상(20)에 집수된 물(예를 들어, 우수)을 건물(10)의 하부 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
건물(10)의 하측 지반(1)에는 저수조(200)가 매립될 수 있다. 건물(10)의 옥상(20)에 집수된 물은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따라 이동하여 저수조(200)에 저수될 수 있다. 저수조(200)의 크기는 건물(10)의 옥상(20)이 수용할 수 있는 우수의 양 이상을 저수할 수 있도록 클 수 있다.
저수조(2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200)는 흡습성, 흡수성이 큰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200)는 외부 지반(1)으로 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지반(1)으로의 물 유출은 기계적, 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조(200)는 홀이 구비된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저수조(200)에 수문이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수문이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외부 지반(1)으로의 물 유출 여부는 지반(1)의 성질,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의 상하를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복수의 지그재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90도만큼 회전된 W자로 형성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상단으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하측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한 지점으로 수렴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이와 같이 두 갈래로 분기되었다가 다시 한 지점으로 수렴하는 형태가 반복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상하 좌우로 서로 연결되는 마름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여러 개의 나비 모양(또는 리본 모양)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싱 파이프(100)에 따르면, 옥상(20)에 집수된 물은 마름모 형태를 따라 분산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유출경로가 길어지고, 유출 시간이 지연됨으로써 배수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빗물 유출관이 상하로 일자로 형성되는 것과 차별화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전체 면적에 대해 상하 좌우로 연결된 마름모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옥상(20)에 집수된 물은 마름모 형태의 여러가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물(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건물(10)을 가로로 가로지르는 가로 파이프(110)와 연결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는 건물(10)의 일면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는 브레이싱 파이프(100)와 연통될 수 있고,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은 가로 파이프(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이동 경로는 더욱 다양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는 건물(10)의 1층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는 건물(10)의 측벽을 통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로 파이프(11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은 건물(10)의 측벽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10)의 측벽에는 퍼골라(pergola)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퍼골라 구조물(300)은 건물(10)의 1층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퍼골라 구조물(300)은, 지지 파이프(310) 및 지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건물(10)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술한 가로 파이프(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반(1)에 설치된 저수조(400)(이하 제2의 저수조(400)라 하며, 이전에 설명한 저수조(200)를 제1의 저수조(200)라 하여 구분함)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로 파이프(11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지지 파이프(310)를 따라 더욱 이동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제2의 저수조(400)로 유입되어 저수될 수 있다.
제2의 저수조(400)는 상술한 제1의 저수조(20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의 저수조(200)와 제2의 저수조(400)는 지반(1)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매립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의 저수조(200)와 제2의 저수조(400)는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수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의 저수조(200)는 건물(10) 하측 지반(1)에 매립될 수 있다. 제2의 저수조(400)는 퍼골라 구조물(300) 하측 지반(1)에 매립될 수 있다.
제1의 저수조(200)와 제2의 저수조(400) 각각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의 저수조(200)와 제2의 저수조(400) 각각은 흡습성, 흡수성이 큰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의 저수조(200)와 제2의 저수조(400)는 외부 지반(1)으로 물을 유출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지반(1)으로의 물 유출은 기계적, 전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의 저수조(200) 및 제2의 저수조(400)는 홀이 구비된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의 저수조(200) 및 제2의 저수조(400)에 수문이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수문이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외부 지반(1)으로의 물 유출 여부는 지반(1)의 성질,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L자(또는 ㄱ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절곡된 상태로 건물(10)의 외측벽에 결합되고 세워질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흐름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2에는 수평 및 수직한 지지 파이프(310)만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파이프(310)의 적어도 일부는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파이프(310)는 건물(10)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지지 파이프(310)는 건물(10) 전면에 가까이 설치되고, 다른 지지 파이프(310)는 건물(10) 후면에 가까이 설치될 수 있다.
지붕부는 한 쌍의 지지 파이프(3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지붕부는 차양 기능을 할 수 있다.
지붕부는 복수의 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320)는 지지 파이프(310) 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또는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보(32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보(320)는 지지 파이프(310)와 연통되고, 물은 지지 파이프(310)와 보(32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보(320)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보(320)는 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부는 커버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350)는 지지 파이프(310) 상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50)는 복수의 보(3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350)는 차양의 기능을 더욱 발휘할 수 있다.
커버부(350)는 복수의 보(3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350)는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투명할 수 있다. 커버부(350)는 접이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와 지지 파이프(310)는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 파이프(310)는 가로 파이프(11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부가 지지 파이프(310) 상에 형성되고, 가로 파이프(1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지붕부 상으로 낙하하게 되면, 물에 의해 시원한 느낌이 제공될 수 있고, 햇빛의 산란 작용이 유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퍼골라 구조물(300)에 의하면, 건물(10) 외측에 휴게 공간,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 햇빛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동시에 퍼골라 구조물(300)이 건물(10)로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구조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상단에는 제1 연결 파이프(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파이프(120)는 건물(10)의 옥상(20) 바닥과 연결될 수 있다. 옥상(20)에 집수된 물은 제1 연결 파이프(120)로 유입되고 브레이싱 파이프(1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 파이프(120)는 ㄴ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옥상(20)의 바닥과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결 파이프(120)의 입구는 옥상(20) 바닥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1 연결 파이프(120)의 입구 상에는 거름망(5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500)에 의하면, 낙엽, 담배꽁초, 쓰레기 등의 이물질(T)이 브레이싱 파이프(100)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물은 거름망(500)을 통과하여 제1 연결 파이프(120) 및 브레이싱 파이프(100)로 유입될 수 있다.
거름망(500)은 제1 연결 파이프(120) 또는 옥상(20) 바닥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름망(500)은 제1 연결 파이프(120) 또는 옥상(20) 바닥에 부착되어 이물질(T)을 거를 수 있다. 거름망(500)은 제1 연결 파이프(120) 또는 옥상(20) 바닥으로부터 탈거되어 걸러진 이물질(T)을 제거할 수 있다.
거름망(500)은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500)의 금속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이 사용될 수 있다.
거름망(500)은 복수의 직선부(510)와 복수의 둘레부(520)를 포함하여 그물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500)은 거미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부(510)는 제1 연결 파이프(120)의 입구를 가로지르면서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직선부(510)는 4개의 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둘레부(520)는 제1 연결 파이프(120)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술한 직선부(510)와 교차할 수 있다. 복수의 둘레부(520)는 동일한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둘레부(520)는 동심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520)는 3 또는 4 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복수의 직선부(510)와 복수의 둘레부(520)에 의하면 거미줄 형태의 구조가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자연 모방 기술에 해당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견고하며, 무거운 이물질(T)에 대해서도 잘 견딜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500)은 중앙 부분이 하측으로 함몰된(오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물의 흐름이 원활하고, 이물질(T)이 잘 포집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하단에는 제2 연결 파이프(13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파이프(130)는 제1의 저수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은 제2 연결 파이프(130)를 통해 제1의 저수조(200)로 이동하여 저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점선 화살표는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냄), 옥상(20)에 우수 등의 물(W)이 유입되면, 제1 연결 파이프(120)를 통해 유입되어 브레이싱 파이프(100)로 유입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경우, 물(W)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물(W)의 양이 많은 경우에 그러할 수 있다. 물(W)은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연장 형태를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다. 물(W)은 제2 연결 파이프(130)를 통해 건물(10) 외부로 배출되고, 제1의 저수조(200)에 저수될 수 있다.
물(W)의 또 다른 경로로서, 브레이싱 파이프(100)로 유입된 후에 가로 파이프(110)로 유입될 수 있다. 가로 파이프(110)로 유입된 물(W)은 지지 파이프(310)로 이동한 후 제2의 저수조(400)에 저수될 수 있다. 또한, 물(W)은 파이프 형태의 보(320) 내부로도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건물(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의 배출 경로가 길어지고, 물의 배출 시간이 지연되어,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수 효율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물이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통해 이동하면서,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특히, 햇빛이 강하고, 강우량이 많은 여름의 경우, 브레이싱 파이프(100)의 온도는 물에 의해 낮아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여러 개의 중간 파이프(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싱 파이프(100)가 상하 좌우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마름모는 인접한 마름모와 상술한 중간 파이프(140, 15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중간 파이프(140, 150)는 직선형이고,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좌우로 연결된 마름모 4개 형태의 브레이싱 파이프(100)를 가정한다면, 좌우로 배치되는 마름모 2개는 제1 중간 파이프(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마름모 2개는 제2 중간 파이프(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건물(10)의 일면의 가장자리에는 돌출벽(P)이 형성되고, 건물(10)의 일면을 복수로 구획하는 구획벽(Q)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벽(Q)은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벽(P)과 구획벽(Q)에 의해 건물(10)의 일면은 복수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된 부분에 마름모 형태의 브레이싱 파이프(100)가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각 구획된 부분에 배치된 마름모 형태의 브레이싱 파이프(100)는 중간 파이프(140, 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중간 파이프(140, 150)의 적어도 일부는 구획벽(Q)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좌우로 배치되는 마름모 2개는 제1 중간 파이프(1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1 중간 파이프(140)는 세로로 배치되는 구획벽(Q)에 매립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되는 마름모 2개는 제2 중간 파이프(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2 중간 파이프(150)는 가로로 배치된 구획벽(Q)에 매립될 수 있다.
한편, 건물(10)의 일면에 구획벽(Q)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술한 가로 파이프(110)는 가로로 배치되는 구획벽(Q)에 매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에 따르면, 브레이싱 파이프(100)에 의해 배수 공간 및 집수 공간이 분산화되어 빗물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으며, 그런 한편 건물(10)의 내진 성능이 우수해지는 다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건물(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10: 건물
100: 브레이싱 파이프
200: 제1의 저수조
300: 퍼골라 구조물
400: 제2의 저수조
500: 거름망
100: 브레이싱 파이프
200: 제1의 저수조
300: 퍼골라 구조물
400: 제2의 저수조
500: 거름망
Claims (5)
- 건물의 보강을 위해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는, 브레이싱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상단은 상기 건물의 옥상과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하단은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된 저수조와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는 상기 건물의 옥상에 집수된 물을 상기 건물의 하부 측으로 배수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최상단에 상기 건물의 옥상 바닥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의 최하단에 상기 저수조와 연결되는 제2 연결 파이프가 결합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싱 파이프는 상하 좌우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 상에는 거름망이 결합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를 가로지르면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직선부; 및
상기 제1 연결 파이프의 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직선부와 교차하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건물의 하측 지반에 매립되는,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5397A KR102680711B1 (ko) | 2022-12-15 | 2022-12-15 |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75397A KR102680711B1 (ko) | 2022-12-15 | 2022-12-15 |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2732A KR20240092732A (ko) | 2024-06-24 |
KR102680711B1 true KR102680711B1 (ko) | 2024-07-01 |
Family
ID=9171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75397A KR102680711B1 (ko) | 2022-12-15 | 2022-12-15 |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071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0855A (ja) * | 2005-09-06 | 2007-03-22 | Yutaka Nishimura | 無落雪屋根用排水流変換器および無落雪屋根用配管構造 |
JP2021055348A (ja) * | 2019-09-30 | 2021-04-0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雨水排水配管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4171B1 (ko) * | 2016-03-21 | 2018-03-14 | 주식회사 예건 | 다목적 빗물 저장고 |
-
2022
- 2022-12-15 KR KR1020220175397A patent/KR10268071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70855A (ja) * | 2005-09-06 | 2007-03-22 | Yutaka Nishimura | 無落雪屋根用排水流変換器および無落雪屋根用配管構造 |
JP2021055348A (ja) * | 2019-09-30 | 2021-04-08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雨水排水配管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92732A (ko) | 2024-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4838B2 (en) | Debris cage | |
CN102910787A (zh) | 一种用于居民小区内的花园式雨水处理回用一体化系统 | |
US20110314748A1 (en) | Water flow apparatus | |
CN102936911A (zh) | 一种裙楼雨水收集利用系统 | |
CN110016886A (zh) | 河道近自然生态堤岸 | |
KR102680711B1 (ko) | Lid 기법을 활용한 브레이싱 구조물 | |
KR102680712B1 (ko) | Lid 기법을 활용한 퍼골라 구조물 | |
JP6910797B2 (ja) | 軒先排水構造 | |
CN210151629U (zh) | 一种环保型市政道路隔离栏 | |
KR101810912B1 (ko) | 배수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시설물 | |
CN113453859A (zh) | 用于浅层应用的流体地下管理用模块和组件 | |
CN207620472U (zh) | 一种防灾净化蓄水立体停车场 | |
CN206308915U (zh) | 一种基于海绵城市理念的屋顶绿化雨水收集浇灌装置 | |
WO1998022665A1 (de) | Regenwassersammelsystem und verwendung einer zugehörigen regenwasserableitvorrichtung | |
CN107939126A (zh) | 一种防灾净化蓄水立体停车场 | |
CN209907548U (zh) | 一种装配式竖直混凝土雨水口 | |
KR102717856B1 (ko) |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신도시형 빗물저류시설 | |
KR102712000B1 (ko) | 화단 경계석과 연계되는 빗물저류시설 | |
KR100880204B1 (ko) | 인공지반녹화구조물 | |
CN206859534U (zh) | 一种屋顶排水系统 | |
JPH10299068A (ja) | 雨水マスシステム | |
CN211058171U (zh) | 一种海绵城市的排水装置 | |
KR102691355B1 (ko) | 빗물이용시설 퍼걸러 | |
CN109898387A (zh) | 一种海绵城市道路排水系统 | |
JP6134948B2 (ja) | 建物外部構築物 |